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자재 전통 한의약용구에 관한 연구

        임헌자 한국도자학회 2007 한국도자학연구 Vol.3 No.2

        The human being informs by an instinct protects the body of own oneself, and from primitive time the human being uses an incantation method and an experience method in order to protect oneself from disease. The wisdom of the human being advances and the use of the medicine stuffs and treatment was developed at the same time. In case of our ancestor, orintal medicinal stuff and acupuncture had been developed little by little, and automatically oriental medical science was close with our daily life. With this the Orient medical science was close with a life together and our ancestor requested various instrument to make oriental medicinal stuff & to extract the essence by boiling, Therefore a pipkin for preparing medical decoctions, surgery treatment tool and assistance tool etc., were produced and they were made with ceramics, iron, wood & copper etc. In the multi branch with the materials to be produced, ceramics which does not diminish about ingredient with the materials were used and mainly plentifully as a medical treatment tool and container. When it classifies the type and a feature, there are Yaik-yun-ki(a popkin for grinding medicine stuff), Yaik-tang-ki(a pipkin for preparing medical decoctions), Yaik-sung-ju-ki(a pipkin for contain & pouring medicine stuffs) , Yaik-jang-ki(for keeping medicine stuff-medicine cabinet) and there are surgery treatment equipmente such as smoking tool and fomentation tool etc, and there are assistance equipment such as spittoon & medicine spoon etc. All above explained tools are oriental medical tool. Our ancestor's ceramic orient medical tool is essential goods of life which saved ceramic's material quality and it was produced. It's a part of home appliance in our ceramic history. Our ceramic oriental medicine tool has a great feature & value as a treditional technical art of Korea.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건강과 신체를 보호 하려는 욕구가 있다. 원시시대부터 질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주술적 방법과 경험적 방법 등을 이용하여 왔고 지혜가 발달함으로 약재의 이용과 치료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 조상들의 경우도 한약재 및 침술 등 치료방법이 발전하면서 한의학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한의학이 생활과 밀접하게 되면서 약을 만들거나 달이기 위한 약재 이용을 위한 도구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약재를 담거나 끓이는 용도로 사용되어진 약탕기, 외과적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의료기 및 보조용구들이 제작되었으며. 그러한 도구들은 도재, 철재, 목재, 동재 등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그 중 재료적 특징을 이해하여 약 성분을 감소시키지 않는 도자재로 제작되어진 용기 및 의료용구들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왔다. 그 종류와 특징을 분류하면 약재를 갈기 위한 약연기, 약을 담거나 따르는 약성주기, 약재를 끓이거나 달이는 약탕기, 약을 보관하는 약장기, 외과적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기로 훈연기, 찜질기, 배밀이 등이 있다. 타구, 약수저 등 기타 보조용기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틀어 한의약용구라 한다. 이러한 우리 옛 조상들이 사용해 온 도자재 전통 한의학용구는 그 시대적 생활환경과 양식에 맞게 만들어낸 생활 필수품으로서 도자재가 갖고 있는 재료적 특성을 살려 제작되었으며, 우리 도자기 역사 속에 생활용구로서 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공예적 특징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후보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개선 방안 -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 개최지 이천을 중심으로

        임헌자,이소연 한국도자학회 2010 한국도자학연구 Vol.6 No.2

        Recently, many cities have been focusing on public design field in order to find cultural identity in the steps of globalization, and making efforts continuously to create their own city image. Since the public desig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ity environment, cities have been trying to balance overall appearance of city by using standardized and unified design which emphasizes characteristics of city while conducting comprehensive administration as a part of improvement project. As the main venue of World Ceramic Biennale of GyeongGi-Do which is held biennially, Icheon City might be able to establish city identity with energy and emblem of Icheon City, raise the quality of life in that region, and create new city image and city brand from the effect of creating image in order to express the representation of city which public design requires By utilizing ceramic culture with the longest history. This thesis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how to create unique identity through creation of unique city brand, how ceramic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ative cultural heritage of Icheon City, have been utilized in public design as living culture and how ceramics could be utilized in future. 지자체에서는 세계화에 발 맞춰 문화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도시 단위로 공공디자인 분야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공디자인이 도시환경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면서 도시이미지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각 도시들은 디자인의 통합적인 관리와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해 힘쓰고 있다. 이에 도시의 특징을 살린 표준화되고 통일감 있는 디자인 정책이 필요하다. 이천시는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의 주 개최지로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도시의 대표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문화예술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도자 문화예술을 활용한다면 이천시 특유의 도시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독특한 도시이미지의 창출은 새로운 도시이미지와도시브랜드를 창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공디자인은 몇 명의 디자이너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지자체의 정책수립과 도시주체들과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그 지역 고유의 문화와 경제의 복합체로 인식하고 설계하여 쾌적한 환경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고유의 도시브랜드를 창조하면서 문화의 독특한 정체성을 만들 수 있게 하며, 이천시의 지역특색이며 고유문화유산인 도자가 생활문화로서 공공디자인에 활용되고 있는 분야와 앞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공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여 공공디자인에 도자 문화예술을 접목시킨 도시브랜드를 창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강진 고려 청자 발색분포에 관한 연구

        임헌자,이세우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about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on the glaze color analysis for Koryŏ celadon originated from Gangin province. Koryŏ celadon porcelain from GangJin province of different colors to represent the range of analyzes were considered to standardize the color of Celadon. Also used in this study Koryŏ celadon porcelain pieces in the past Korean producer who was a representative of the old kiln in GangJin samples collected in each region in the evenly (Kyeyulri, Sadangri, Samheungri, Sudongri, Yongunri), age (9~14c) broadly selected by the spectroscopic color difference meter to measure the CIE 1931 standard colorimetric system via on the basis of analyzed. The beauty of the color of Celadon considered to be Beauty. Representing the Koryŏ celadon glaze quality is excellent and a lot of countless small air bubbles in the distribution and is translucent and bright light green(淡綠色) with grayish blue(灰靑色) refers to the glaze color. Peak of pure celadon, turquoise jade color(翡色) the thickness of the thin glaze glazed jade shines green as there are many small bubbles in the glaze(半失透性) of clay is seen faintly. Therefore, an amount of each such delicate engraving and fine delicately packed shows have a higher value and dignity. The characteristic of the glaze, the color of the human eye to look bluish vary, but the result of analysis by a color difference meter, a relatively constant range, it can be seen that the formation. Consider a typical difference measurement results celadon porcelain excavated most of the major producer of GangJin greenish gray color is blue, respectively. Of course, in some cases, tend to also appear yellow was biased towards. Color ranges from L*, a*, b* values of the Green and Red indicates when a* values are 6.72 and -9.61 in b* value representing Yellow Blue in the range of 20.14 to 2.06, respectively. In addition, L* value in a range of 40 to 70, the brightness of the medium is shown. Therefore, L*, a*, b* CIE 1931 standard colorimetric system via i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measure of the color difference of the representative GangJin celadon turquoise jade color range standardized. 이 연구는 고려청자 유약의 발색분포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본 고에서는 고려시대 청자를 대표하는 강진지역 청자의 다양한 색상범위를 분석하여 고려청자의 색채를 표준화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고려청자도편은 과거 우리나라 대표적 청자생산지였던 강진지역의 청자도요지 전역에서 골고루 수집된 도편들 중 각 지역별(계율리, 사당리, 삼흥리, 수동리, 용운리), 시대(9~14c)별로 광범위하게 선정하여 분광색차계를 통해 측정하고 CIE 1931 표준 측색 체계(standard colorimetric system)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은 색의 아름다움에 있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청자는 품질이 우수하며 유층에 작은 기포가 수없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반투명하며 밝은 담녹색(淡綠色)을 띠는 회청색(灰靑色)의 독특한 유약 색을 나타낸다. 순청자 절정기의 비색(翡色)은 시유된 유약두께가 얇고 비취옥과 같이 녹색이 비쳤으며 유약 내에 미세한 기포가 많아 반실투성(半失透性)으로 태토가 은은히 비춰 보인다. 그러므로 섬세한 음각이나 세밀한 양인각 등이 아름답게 발현되어 한층 높은 가치와 기품이 서려있다 유약에서의 특징을 육안으로 보면 청자의 색상이 다양하지만 색차계에 의한 분석의 결과, 비교적 일정한 범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색차 측정결과 대표적인 고려청자 주산지인 강진 출토 청자 대부분의 색상이 청 녹색을 띤 회색을 나타내었다. 물론 일부의 경우 황색 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색상범위는 L*, a*, b* 값으로 볼 때 Red에서 Green을 나타내는 a* 값은 –9.61에서 6.72와 Yellow에서 Blue를 나타내는 b* 값은 20.14에서 2.0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밝기를 나타내는 L* 값의 경우 40에서 70의 범위로 중간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밝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L*, a*, b*를 통한 CIE 1931 표준 측색 체계(standard colorimetric system)로 국제 공인의 색차 측정값으로 강진 고려청자 비색의 대표적 색상범위를 표준화 하였다.

      • KCI등재

        花鳥圖 도자 부조 벽화에 관한 연구

        임헌자,김종현 한국도자학회 2015 한국도자학연구 Vol.12 No.2

        Modern society is witnessing continuous addition of functionally specialized buildings, and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s to suit such functionality are getting diverse. Such trends provide vigor to the ceramic industry, leading to a variety of attempts for interior designs utilizing ceramics at home and public institutions. The trend also resulted in increase of specialized providers of exterior and interior designs with ceramic tiles that pursue eco-friendly functionality and diverse designs. As a part of efforts to improve urban landscapes, demand for ‘art tiles’ is on the rise too.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ceramic-based art tile industry has bright future along with increased demand for aesthetic design of public spaces and demand for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s. Recent installation of ceramic walls in cities attemp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art walls by construction companies support such an atmosphere. Thus the ceramic wall decorations and decorative tiles provide the market that requires currently active ceramists to expand their scope of activities. Rather than mass-produced, uniform and commercial designs from companies, ceramic tile designs with emphasis on differentiated artistic pictoriality and formativeness are required. This study has attempted for a research and formative exploration into the new realm of relief tiles with the ‘Hwagiaeae2)’ series that combines traditional aesthetics and modern beauty. Such formative exploration evades standardized square plate decorations and sequences of single pattern, while the study on the relief tiles has enabled production of relief tiles with traditional and familiar patterns of flowers and birds. The relief tiles with flower and bird patterns seeks the beauty of space, which is a feature of Korean beauty, and the manual production system of handcrafted and diverse decorative ceramic art tiles can be evolved into the mass-production system for the ultimate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ceramic art and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현대 사회의 주거 및 생활공간들은 단순한 기능적 공간의 개념에서 심미적 기능을 강화 시켜생활의 편리함과 더불어 독창적이고 미적인 면을 강조한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른 건축 내⋅외장 인테리어도 다양한 소재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건축 내⋅외장 장식용 소재 개발 시도로 나타나는 경향은 도자분야에도 관심이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외장 도자기 타일 생산과 판매에 나서는 전문 기업들이많아졌으며, 친환경적인 기능과 다양한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도시 미관을 개선하기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자벽화에 대한 수요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특히 근래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이 커지고 도시 환경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도자 벽화에 대한 전망이 밝다. 근간 공공기관에서 시도하고 있는 도심 속 도자벽화의 설치와 건축 시공사의 주거 공간 아트월(art wall) 설치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뒷받침한다. 이에 도자벽화와 장식 타일은 현재 활동하는도예가들에게 보다 더 적극적인 활동 범위를 넓혀 나가야 할 시장이라 생각한다. 기업들이 대량생산하는 상품화된 디자인 보다는 차별화된 공예적 회화성과 조형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도자 벽화 및 타일디자인이 필요하다. 이에 수공예적 방식으로 제작한 전통미와 현대미를 융합한 화기애애(花器愛靄)1) 시리즈 도자부조벽화에 대한 조형적 연구는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수 있는 영역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조형 탐색들은 기존에 획일적인 사각형 도판 장식과 단일 패턴 배열 형식에서 탈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유로운 공간적 배치를 통해 회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우리에게 친근한 전통의 민화의 주제인 화조 문양의 도자로 제작한부조 벽화는 한국미의 특징인 여백의 미를 수용하고, 수공예적인 장식용 도자로서, 생활환경과 밀접한 도자예술로서 주거 공간의 개선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茶문화 행사와 도자 문화 연계성 연구

        임헌자 한국도자학회 2021 한국도자학연구 Vol.18 No.3

        The 'tea culture festival', a regional festival, and the 'tea fair'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ea and wholesale and retail trade of tea tools and tea-related derivative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status of ceramic craft in the event and to establish the connection with ceramic craft. studied. The regional festival is a promotion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green tea industry, which is a regional specialty, and is conducted with tea ceremony demonstrations, sales of tea tools, and exhibition promotion. Most of them focus on selling tea-related crafts. Tea culture festivals and exhibitions have been held in earnest since the 2000s, and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14. This indicates that it is expanding into a space where consumers actively observe and purchase. By analyzing the role of ceramic crafts in tea culture festivals and tea exposition events, this thesis tried to enhance the field of ceramics expandability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ea and ceramic culture. , it can be seen that the utility of ceramic craft as a tea tool is a relationship that can develop together and coexist. In the progressive aspect of tea culture, ceramic crafts with functional and convenient designs suitable for drinking methods can be an opportunity for mutual growth between tea culture and ceramics crafts if we strategically respond to the demands of buyers. 목차지역축제인 ‘茶문화 축제’와 차의 생산과 소비, 다도구와 차 관련 파생상품의 도소매 거래를 위한 ‘茶박람회’를 연구대상으로 행사에서 차지하는 도자공예의 위상을 분석하고 도자공예와 연계성을 연 구하였다. 지역축제는 지역특산물인 녹차 산업의 생산과 소비를 위한 홍보로서 다례시연, 다도구 판매 및전시홍보로진행되며, 茶박람회역시차산업홍보부스및차시음과품평회, 다례시연등행사 가있다. 대부분차와관련된공예품판매에비중을두고있다. 차문화축제및 박람회개최는2000 년대 이후 본격화되었고, 2014년 이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관과 구매가 이루어 지는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본 논문은 차문화 축제와 차박람회 행사에서 차지하는 도자공예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차와 도자 문화 연계성을 통해 도예인들의 영역 확장성을 제고 해보았으며, 이를 통해 차문화의 양대 요소인 차 의생산과보급, 다도구로서도자공예의효용성은동반상생의발전할수있는관계임을알수있었다. 점차 차 문화의 발전적 측면에서 음용 방식에 맞는 기능적이고 편리한 디자인의 도자공예품은 구매자 의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적으로 대응하면 차문화와 도자공예가 공동 상생의 기회가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청자와 현대청자의 발색에 관한 비교분석연구

        임헌자,이세우 한국도자학회 2013 한국도자학연구 Vol.10 No.1

        Analysis ofthis study on the distribution ofthe chromophore Celadon research.Firstpast modernceladoncolordifferenceswereidentifiedthroughthecoloroftheceladonglazeanda comparativeanalysisthatiscurrentlybeingusedto evaluatearangeofdifferentcolorsofthe Koryŏ Dynasty celadon glaze.Koryŏ Dynasty celadon used in this study,the side evenly collected Celadon Museum ofceladon piece producerrepresentative ofthe past,ourcountry was in the GangJin area throughoutthe region ofold celadon kiln each place,era,and characterizedbyrepresentativesofpiecewereselected.Andmodernceladonpottery,Dankook UniversityInstitute ofGangJin the glazed manufacturing freedom made,modern celadon ware wereanalyzed.SpectrophotometerColorimeterforcomparativeanalysisofmodernproductionin ChinaJuWare(汝窑)celadonmeasuredandanalyzed. In the beauty ofthe colors,the beauty ofthe Koryŏ celadon.Celadon Koryŏ Dynasty representthe qualityisexcellentandinstratified smallbubblesdistributedandtranslucentand brightsoft& lightgreencolor(淡綠色)whichreferstothecolorgray-blue(灰靑色)oftheglaze. Greenshoneandgreenjadeiteasalotofmicroscopicbubbleswithintheglazepureceladon peakofcolorimetric(翡色)bestthatglazethicknessofathinclaysomemistyriddled(半失透性)assonorousshinelooks.Therefore,eachsubtleanddelicateorfineengraveddependents,you mayreceiveahighervalue,levelandelegance. Untilnow,manyscholars and artistic aspects ofceladon colored beauty in comparison has However,scientificcomparativestudyofceladoncoloredrare.Inthisstudy,chosenbyamajor GangJininorderto analyzetheceladoncoloredoldkilns,usingthemicroscopyand Spectro Photometeranalysis. Looktotheeye,theceladonglazeofavarietyofcolors,butthecharacteristicsoftheglaze onthecolorimeterbytheresultsoftheanalysis,arelativelybelongingtoacertainextent.Are lowermiddle below the overallcharacteristics ofthe Koryŏ Dynasty celadon,gray-green,orgreenish colorsaturation gray-yellow-green formation.In addition,by using this study as a measureofthe range ofcolorsthatisthebasisofthe Koryŏ Dynastyceladon,celadon was vagueandambiguoustostandardizethecolorswillbehelpful. 이 연구는 청자 유약의 발색분포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먼저 고려시대 청자유약의 다양한 색 상의 범위를 알아보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청자유약의 색상과 비교분석을 통해 과거청자와 현대청자의 색상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고려시대 청자도편은 과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청자 생산지였던 강진지역의 청자도요지 전역에서 골고루 수집된 청자박물관 소장 도편들 중 각 지역별, 시대별로 대표적이고 특징적인 도편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현대의 청 자는 현재 단국대학교 강진도예연구소에서 제조한 청자유를 시유하여 제작한, 현대 청자기물 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색상의 비교분석을 위해 중국 여요에서 생산된 현대의 청자기 물 일부를 분광색차계를 통해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은 색의 아름다움에 있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청자는 품질이 우수하고 유층에 작은 기포가 수없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반투명하며 밝은 담녹색(淡綠色)을 띠는 회청색(灰靑色) 유약의 색을 일컫는다. 고려 사람들은 그들의 청자 유색에 대해 대단한 긍지를 지니고 있었다. 순청자 절정기의 비색(翡色)은 시유된 유약의 두께가 얇고 비취옥과 같이 녹색이 비쳤으며 유약 내에 미세한 기포가 많아 반실투성(半失透性)으로 태토가 은은히 비춰 보인다. 그러므로 섬세한 음각이나 세밀한 양인각 등이 은은하게 나타날 수 있어 한층 높은 가치와 기품이 서려있다. 지금까지 청자의 유색을 많은 학자들이 예술적인 측면으로 아름다움을 비교하여 왔 다. 그러나 청자의 유색을 과학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자 유색을 표준 화하기 위하여 분광측색계와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객관적,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유약에서의 특징을 육안으로 보면 청자의 색상이 다양하지만 색차계에 의한 분석의 결과, 비 교적 일정한 범위에 속해있다. 고려시대 청자의 전체적인 특징을 보면 회녹색, 혹은 회황녹색 을 띠며 밝기가 중간이하로 낮게 형성되어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고려시대 청자의 색상범 위 기준이 되는 척도로 사용함으로써 애매하고 모호했던 청자의 색상 표준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 허난성 균요(钧窑)의 다구(茶具) 예술 특색 연구

        쥬아레이,임헌자 한국도자학회 2023 한국도자학연구 Vol.20 No.1

        The study takes the artistic features of Jun kiln tea sets in Henan Province of China as the research subject. As a ceramic variety with local features in Henan Province, the Jun porcelain was mainly used as furnishings for decorative purposes in the past.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Jun porcelain tea sets have developed vigorously in the past decade. The market of Jun kiln tea sets has changed from niche to mainstream, and their shapes have changed from rough to exquisite, which has opened up a new development path for the development of Jun porcelain. This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and artistic features of Jun kiln ceramic tea sets. The artistic features of Jun kiln tea sets follow the changing glaze color of the traditional Jun kiln, make a number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based on traditional crafts, and learn the shapes from the Kung Fu tea set in southern China. This article systematicall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Jun Kiln tea sets from three aspects, namely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artistic features, and representatives of Jun Kiln tea sets in Henan. As for the aesthetic features of Jun kiln, it is analyzed from four aspects, including the shape, glaze color, decorations and practical function of Jun kiln tea sets. The results show that the Jun kiln tea set has obvious artistic features, effectively inheriting the beauty of the glaze color of the traditional Jun kiln; after technical improvement and adjustment, a new style of Jun kiln tea sets has been formed. The Jun porcelain tea set has gradually formed its own design language with a collection crowd and market for Jun kiln tea set, holding a certain market share in China's tea set market. 본 연구는 중국 허난성(河南省) 균요(鈞窯) 다구(茶具)의 예술 특색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균요는 허난성 특색의 도자 품종이며, 옛날에는 대부분 환경을 미화(美化)하는 진열품으로 사용되었으나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최근 10년 동안 균요 다구가 빠르게 발전하였다. 그 결과 균요 다구의 시장점유율이 과거 매우 낮았으나 현재 주류가 되었고, 또한 과거의 거친 조형이 더욱 정교해져 균요 발전에 새로운 계기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균요 다구의 발전과 예술 특색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균요 다구의 예술 특색은 전통 균요의 유색 변화를 연속하고, 전통 공예에 기초하여 적극적으로 기술적 창의를 진행했으며, 중국 남방(南方) 지역의 쿵푸다구(功夫茶具) 조형 특색을 흡수한 것이다. 본 연구는 허난 균요 다구의 계승과 발전, 예술 특색, 대표적인 예술가 등 3가지 측면에서 균요의 다구 현황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균요의 미학적 특징을 균요 다구의 조형의 미(美), 유색의 미, 장식의 미, 실용 기능 등 4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균요 다구의 예술 특색이 뚜렷하고, 전통 균요가 지닌 유색의 미를 효과적으로 계승하는 동시에 기술 개선과 맞춤형 제작을 통해 균요 다구의 새로운 모습을 형성하였다. 이를 통해 균요 다구는 점차 자신만의 디자인 언어뿐만 아니라 균요 다구의 소장 집단과 시장을 형성하여 중국 다구 시장에서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 KCI등재

        도태칠기의 소성 온도와 태토에 따른 옻칠의 발색 연구

        박미란,임헌자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2

        Lacquer is a general coating method which is applied on vessels based on an ordinary wooden mold. It can also be applied on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leather, bamboo,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plastic, geonchil, ceramics, etc. The dry method and the coating method are slightly different when applied to different materials, but they share similarities when looking at it in a bigger picture.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lacquer applications on various materials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lacquer. Particularly, products made through the traditional lacquer ceramic surface Technique in which one uses lacquer on unglazed ceramics, or the first or the second fired ceramics became the trend in the field of ceramic arts. The traditional lacquer ceramic surface Technique must be followed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two fields - lacquer and ceramics. Although one can easily learn and search about traditional lacquer due to the expansion of bases, it is still hard for one to obtain specific data or know-how about it. It is because personal experiences and know-how of artisans are difficult to be shared and docu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lor of lacquer according to the type of clay and firing temperature, which is the most basic basis of traditional lacquer ceramic surface techniques for the purpose of systematization. The color formations(pigment) of lacqu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making broken pieces of chinaware(porcelain) chips. As a result, even though they are all fired at the same temperature, it turns out that the elements of color formation and high/low density can influence the formation of color. The comparison result of color formation in lacquer shows that light color specimens with low iron content and organic content and high firing temperature have high strength and waterproofing ability. Also, dark color specimens with high iron content and organic content, and low firing temperature have high absorption and adhesion. We expect to obtain a more systematic data through these results which can be the bases of the traditional lacquer ceramic surface technique production.

      • KCI등재

        경덕진 현대 도자조소의 인물조형에 관한 연구

        장췬에이,임헌자 한국도자학회 2023 한국도자학연구 Vol.20 No.2

        Jingdezhen is a ceramic production area that has been developing for decades. It has a superior topography and technology, a number of pottery stitchers, an inclusive cultural environment and a culture accumulated over many decades. Since China left behind the upside-down opening, the modern ceramic sculpture art world in Jingdezhen has developed stiffly. Accordingly, the style of art was constantly interrupted, and the arts were also constantly developed. Jingdezhen's pottery also continued in the field of ceramic sculpture for a long time, and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modern ceramic sculptor in Jingdezhen came to have various artistic qualities of formative art. In this paper, among the modern ceramic sculpture arts produced in Jingdezhen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s centered on figures were studied, and the changes in the formative art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s a research method, by stud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methods of five representative works of Gyeongdeokjin Ceramic Sculpture Artists, the expression form and formativ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figure ceramic sculpture art were identified.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exploration of figure formation in modern ceramic sculpture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continuing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modern ceramic sculpture in China. 경덕진은 수천 년의 발전을 이어온 도자 생산지로서 우월한 지리 조건과 기술이 뛰어난 도자 장인그리고 포용적인 예술 분위기 및 수천 년 동안 축적된 문화 소양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이 개혁개방정책을 시행한 이후부터 경덕진의 현대 도자조소 예술 분야는 신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따라예술의 양식이 계속해서 혁신을 이루고 예술에 관한 사상도 끊임없이 발전하였다. 경덕진의도예가들도 도자조소 분야에 종사하면서 탐구를 이어왔고, 도자조소 예술작품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경덕진의 현대 도자조소는 다양한 조형의 예술성을 지니게 되었다. 본문은 중국 개혁개방 이후에 경덕진에서 제작된 현대 도자조소 예술 가운데 인물을 중심으로 한조형의 특징을 연구하고 조형에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여 분류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경덕진도자조소 예술가의 5인의 대표작품의 조형의 특징 및 제작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현대 인물도자조소예술의 표현 형식과 조형의 변화와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에 현대 도자조소의 인물조형탐구가 중국의 현대 도자조소 조형의 새로운 가능성을 계속해서 모색할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바란다.

      • KCI등재후보

        중국 운남성 건수자도(建水紫陶)의 제작 기법과 사례연구

        호원원,임헌자 한국도자학회 2022 한국도자학연구 Vol.19 No.1

        Pottery was one of the first living instruments used by mankind, and was the first natural substance created and embodied human civilization at that time.The unique chado art that appeared in the Neolithic period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Yangsao culture, and the Heukdo, which appeared in the late Neolithic period, also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Chinese earthenware culture.Geonsujado Island is a traditional craft of the Han Chinese with a long production history, and Geonsujado Island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Wonmalmyeong and was loved and popular in the Qing Dynasty.Therefore, the phrase "Song has celadon, Won has Cheonghwa, and Cheong has Jado" is historically passed down. Geonsujado Island is a product of the fusion of traditional ceramic crafts in Unnam and the national culture of the outskirts. Jado is an earthenware whose main crafts are production crafts and muyumagwang crafts that fill paintings with sculptures and colored soil as decorative themes. The biggest difference from other earthenware works is that they decorate the remaining objects, fill the place where the patterns are made with intaglio techniques, and shine without glaze. This study summarized and examined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making pottery, special soil materials, and production crafts of Jado Island.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decorative art of pottery, it is hoped that many directions will be presented for ceramic production, and that various artistic elements will be complemented to develop pluralistically. 도기는 선사시대 이후 인류가 창조한 비자연적 물질로 당시의 문명을 보여주는 사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신석기 시대에 양사오 문화로 출현한 독특한 채도와 신석기 말기에 등장하는 흑도기는 중국 도기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건수자도(建水紫陶)는 오랜 제작 역사를 지닌 민족 전통 공예품이며 건수자도는 원말 명초에 출현하여 청나라에서 사랑을 받고 유행했다. 그러므로 “송에는 청자, 원에는 청화, 명에는 조도, 청에는 자도가 있다”(“宋有青瓷,元有青花,明有粗陶,清有紫陶”)는 말이 역사적으로 전해진다. 건수자도는 운남의 전통 도자기공예와 변방의 민족문화가 서로 융합된 산물이다. 자도(紫陶)는 서화를 장식 주제로 하는 조각분니(雕刻粉泥)기법과 무유마광(無釉磨光) 기법을 주요 공예로 하는 도기다. 다른 도기 작품들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반건조 상태인 기벽에다가 장식한다는 것과 음각 기법으로 문양을 만들어낸 자리에 색 화장토를 채운다는 것, 또한 유약 없이도 광택을 만들어낸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자도기를 만든 역사적 이론적 배경과 자도의 특수 점토원료와 제작기법 및 현대 자도 공예의 사례를 정리하고 살펴보았다. 자도기의 장식예술에 대한 탐구를 통해 도자기 제작에 많은 방향을 제시하고, 다양한 예술적 요소들이 상호 보완되어 다원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