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전공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임체리,LI XU NING,박윤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major courses for 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account for more than 70%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n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using Caffarella and Daffron's interactive model. Due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study in Korea for degree courses has already exceeded 100,000, but the dropout rate has increased due to the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More specifically, they face difficulties in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of a lack of understanding lecture contents, conducting research, and presenting in class.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the Chinese students in the graduate course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needs in their study of major courses and to reflect those needs (major knowledge, communication, assignment writing, and presentation) in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ir learning competencies of major courses rather than simply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s or adapting to university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Chinese Graduate students perform well in their major course studies and make their study abroad successful.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7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전공학습역량 향상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의 국제화로 한국에 체류하며 학위과정에 있는 외국인 수는 이미 10만 명을 돌파하였으나, 이들은 대학생활의 부적응으로 중도탈락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학업에서 강의내용의 이해부족, 연구수행과 발표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학업 성취도 저하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원 과정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전공학습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Caffarella와 Daffron의 상호작용모델을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학업 측면에서의 어려움과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요구(전공지식, 의사소통, 과제작성, 발표)를 반영하여 전공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단순한 한국어 능력 향상이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전공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대학원생이 전공에 대한 학업을 잘 수행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유학생활을 원만하게 이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구체적인 교과목 및 교육과정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국 유학 귀국자의 문화지능과 글로벌역량이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임체리(Che-Ri Im),박윤희(Yoon-Hee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국 유학 귀국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지능과 글로벌역량이 귀국 후 국내기업에서의 조직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위계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10월 2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208부의 설문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지능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지능은 조직적응의 하위변인인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초인지적 지능과 행동적 지능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역량의 하위요인인 세계융합 마인드는 조직적응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세계융합 마인드, 주도적 적응성과 다양성 추구는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문화지능과 조직적응, 글로벌역량과 조직적응 간의 관계에서 위계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연구대상 및 학문 영역의 확장, 현재까지 진행되지 않은 변수들의 관계 규명 등 학문적 의의와 글로벌 인재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cultural intelligence and global competence of the Korean college graduate returnees from China on the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process.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from November 10th to October 21st, 2020, through a survey, and 2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omputerized statistics with SPSS 26.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cultural intelligence had a partially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Global competence as well had a partially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showed no moderating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academic implications and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of effectiv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global talents in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주관적 경력성공에 관한 통합적 문헌 분석 연구: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2014~21년)

        임체리 ( Cheri Im ),박윤희 ( Yoonhee Park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1 휴먼웨어 연구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관한 주제에 대해 Torraco(2005)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학술지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관한 키워드로 2014년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47편의 양적연구를 대상으로 통합적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경력성공의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93%를 차지하였다. 둘째, 주관적 경력 성공은 교육학(22편,47%) 경영학(9편, 19%과 HRD(8편, 17%) 분야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주관적 경력성공은 전체 47편 논문에서 단 2편만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되었고, 1편만이 조절변인으로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44편은 종속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넷째,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성요소로는 경력만족(38개), 직무만족(27개) 및 고용가능성(28개)을 주로 사용하였다. 경력만족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Greenhaus 등(1990)의 조사도구가 주로 사용되었고, 직무만족은 Mobley, Jaret, Marsh와 Lim(1994)의 측정도구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고용가능성은 Johnson(2001)의 측정도구가 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 경력성공은 향후 변인들 간의 관계 확장을 위해 다양한 변인과 함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 중 고용가능성은 외재적 고용가능성과 내재적 고용가능성으로 나누어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측정도구 역시 주로 해외 학자들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므로 국내의 경력 패러다임과 고용시장을 고려한 한국형 주관적 경력성공 측정도구의 개발과 사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cent research trends about subjective career success by conducting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This study followed Torraco’s guidelines(2016) of conducting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nd selectied 47 quantitative studies that were published between 2014 and May 2021. This study drew out following reseutls. First, research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ccounted for 93% of research on office workers. Second,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edagog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nd HRD. Third, the two of studie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only one study used it as the moderating variable. The remaining studies used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s the dependent variable. Finally, the main component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were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