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마을 생산공간 리모델링 평가등급체계 구축

        임창수 ( Chang Su Lim ),문호경 ( Ho Gyoung Moon ),김은자 ( Eun Ja Kim ),김상범 ( Sang Bum Kim ),김혜란 ( Hye Lan K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최근 우리나라의 농촌에서는 낙후된 시설과 무분별하게 설치되는 건축물로 인하여 점점 농촌다움을 잃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여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농촌마을 리모델링 사업 등의 마을정비사업들이 시행되어 왔다.(농어촌 연구원, 2007) 이러한 사업들은 정주체계 재편이라는 당초의 정책목표가 희석되어 한정적인 효과에 국한되고 이전과 유사한 물리적 생활환경개선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농어촌연구원, 2008) 당초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농촌주택 및 건물 치중되었던 리모델링 기술을 마을단위 공간범위로 확대하여 농촌공간을 통합적으로 리모델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추출되었던 농촌공간 유형 중 생산공간에 해당하는 대상요소에 대하여 리모델링평가등급 기준을 설정하고 평가유형별 점수 배분을 통하여 생산공간 리모델링 평가등급 체계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산공간 관련 연구문헌, 사업기준 및 지침서를 통하여 평가지표 초안을 도출 하였으며 중복되거나 유사한 의미의 지표는 통합하여 최종 19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19개의 평가지표의 속성에 따라 4가지 평가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전문가평가 결과와 주민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평가 지표별로 기준점수를 부여하였다. 전문가조사 및 주민평가 설문은 농촌지역개발 관련 연구문헌, 생산시설 평가지침 및 설계기준 등에 제시된 평가지표를 재정리하고 유사성을 가진 항목별로 분류하여 전문가 평가를 위한 조사표를 작성하였으며 전문가평가 결과와 거주민들의 의견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주민수준에서의 평가설문지 작성하였다. 작성된 전문가 평가 조사지 및 주민평가 설문지는 농촌마을 리모델링 시범마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평가등급 체계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Recently outdated facilities in rural areas of our country and the building is being installed due to the indiscriminate quality of rural losing more and more, and in response to this phenomenon has been performed by various businesses. The original goal of this project is limited dilution effect is staying focused on rural housing and remodeling skills by expanding the number of villages in rural areas as an integrated system to evaluate the ratings need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we set the standards and evaluation ratings remodeling score distribution by type of production space remodeling ratings system was developed.

      • 건축관련 잡지에 나타난 농촌주택 경향 분석

        임창수 ( Chang Su Lim ),홍광우 ( Kwang Woo Hong ),김은자 ( Eun Ja Kim ),김혜란 ( Hye Lan Kim ),최진아 ( Jin Ah Choi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농촌지역에서 서양식 전원주택과 펜션 형태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농촌마을이 근·현대화를 거치면서 전통적 주택은 사라지고 이국적 주택형식이 급격히 신축·확산되어 왔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근래 농촌지역에 들어서고 있는 서양식 또는 국적불명 형태의 농촌주택들은 경관과 부조화될 뿐만 아니라, 우리 농촌지역 고유의 정체성까지 변형시키고 있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를 증명할 수 있는 실제적인 농촌주택의 건축 현황과 실태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사회적 문제제기와 정책적 입안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농촌주택의 확산 경향이 어떤 건축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조사 분야 중에서 먼저 건축관련 잡지 분야에 한정하여 조사를 시행하고, 이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1차적으로 주택 및 농촌관련 출판사에서 발행한 건축관련 잡지에 대해 목록을 작성하고, 창간호부터 2013년까지 1,963권의 자료를 조사하여 ‘농촌주택’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거나 농촌지역(읍면지역)에 위치한 주택들을 추출하였다. 2차적으로는 농촌주택 항목 분류에 의한 사례조사 분석표를 작성하고, 추출된 농촌주택 소개 기사 614건에 대해 분석표에 의한 항목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 건축관련 잡지에 나타난 농촌주택의 경향을 분석·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 농촌주택의 올바른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데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농촌지역 재난마을의 리모델링 항목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임창수 ( Chang Su Lim ),오윤경 ( Yun Kyung Oh ),김승수 ( Seung Soo Kim ),김은자 ( Eun Ja Kim ),박미정 ( Mi Jung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는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중 태풍과 호우로 인한 풍수해가 전체 자연재해 피해의 95%이상을 차지하며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 피해 이후에 현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복구는 주먹구구식 피해조사와 임기응변식 복구, 엉터리 복구,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은 수방시설, 복구의 지연, 피해 재발 등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이재은, 2011). 또한 현재의 복구계획수립지침은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마을 단위의 현실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농촌마을 단위를 대상으로 공공시설뿐 아니라 사유시설까지 효율적인 복구 및 리모델링을 위한 항목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1단계로, 각 도별 피해가 가장 많은 지자체에 대해 최상위 방재계획보고서인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확보하여 풍수해 유형별로 피해시설 항목을 도출하였다. 2단계로, 자연재난 발생시 대책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계획수립지침(2014, 국민안전처)의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수립 항목을 분석하였다. 3단계로, 농촌마을의 리모델링을 위하여 공공시설, 사유시설에 대한 항목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일반 농촌마을 리모델링 항목체계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으로 도출한 항목을 종합 분석하여 농촌지역 재난마을 리모델링 항목체계를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풍수해 유형별 피해시설 항목은 지자체마다 중복된 항목을 제외하여, 총 142개를 도출하였다. 복구계획 수립 지침의 항목은 재난발생시 복구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공공시설의 경우 11개의 소관부처별로 총 84개 피해시설 항목이 도출되었고, 사유시설은 총 47개 피해시설 항목이 도출되었다. 일반 농촌마을 리모델링 항목체계에서는 생산공간 34개, 주거공간 38개, 커뮤니티공간 37개 항목을 검토하였다. 위와 같이 도출한 풍수해 유형별 피해시설항목, 지침에 따른 보상가능시설항목, 일반 농촌마을 리모델링 항목들을 조정하여 농촌지역 재난마을 리모델링 항목체계를 구축하였다. 일반 농촌마을 리모델링 항목체계는 공간 특성에 의해 생산공간·주거공간·커뮤니티공간으로 분류 체계가 구축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재난마을의 리모델링 항목체계 적용을 위해서는 공공시설, 사유시설 분류체계로 재분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공공시설과 사유시설 대분류를 토대로 참여 연구원의 집단토의를 통해 공공시설의 중분류는 커뮤니티시설, 복지시설, 문화체육시설, 가로환경시설, 도로시설, 상하수도시설, 생산시설, 수리시설, 하천시설, 해안시설로 나누었고, 사유시설의 중분류는 농림시설, 수산시설, 축산시설, 개인생산시설, 주거시설로 나누었다. 최종적으로 사유시설에서 총 60개 세부항목, 공공시설에서 총 226개 세부항목으로 항목체계를 확정하였다. 향후 농촌마을 현장검증을 통하여 농촌지역 재난마을 리모델링 항목체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농촌마을 그린로드 관리실태 및 개선 방안

        임창수 ( Chang Su Lim ),홍광우 ( Kwang Woo Hong ),김은자 ( Eun Ja Kim ),김혜란 ( Hye Ran Kim ),박미정 ( Mee Jeong Park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3

        Since 2010, RDA has discovered 30 Green-Road as the way of developing rural area. However, results from conference with expert and village leaders of Green-Road conclud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ittle financial benefits due to mismanagement and need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issues, this research has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status, management of Green-Road and its influences on local area. Main purposes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reveal the various obstacles in road management, and to find better ways of road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goal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nd interviews with leaders in villages. Particularly, the investigation had focused on the specific management issues suggested by village lead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establishing a committee for creating leaders network and developing effective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improve road management and its consequences.

      • KCI등재

        기술논문 : 전문가 집단평가에 의한 4대강 농업복합단지 조성 모델 개발

        임창수 ( Chang Su Lim ),김은자 ( Eun Ja Kim ),이상영 ( Sang Young Rhee ),신창민 ( Chang Min Shin ),최진아 ( Jin Ah Choi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농촌계획 Vol.17 No.4

        To revitalize rural economy and to generate job opportunities in the Korean countryside through the specialized production of high-valued/environment-friendly farm products and the active promotion of green tourism in the farmland-remodelling project sites in 4 main riverside areas, this study developed the regionally differentiated development models of future-oriented agri-business complex. Through two rounds` expert group consulting/checking, related literatures review and similar case-projects benchmarking, a tentative model system was made and corrected, and finally, 6-development types with 24 model complexes proposed.

      • KCI등재

        농촌지역 주거약자를 위한 주택 리모델링 지원사업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김혜란 ( Hye Lan Kim ),임창수 ( Chang Su Kim ),김상범 ( Sang Bum Kim ),김은자 ( Eun Ja Kim ),홍광우 ( Kwang Woo Hong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2

        In rural areas, in spite of the development projects of town and houses has been performed after the New Community Movement,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hich lasted until the 2000s from the 1980s, out-migration to the cities,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rapid aging was carried. As a result, the gap of housing environ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became more serious. The meantime, the housing problem is recognized only to the problems of the big cities, mostly urban public housing policy oriented. However, when you check the indicator of the housing environment, such as the percentage of aging housing, rural environment has become a relatively poor compared to the city. In addition, due to a decrease in income and aging of the population living in rural areas of existing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is weakened. And inside of the rural areas, changes in the housing environment and polarization phenomenon is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Therefore, in this study, there is a purpose to be presen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house remodeling support program for underprivileged group in rural areas and requires immediate attention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Previously, House remodeling support project in rural areas was carried out at the initiative of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mainly.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due to limited institutional, to reflect the necessary parts directly to the real life of the residents. And,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need modification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life of residents directly in many cases. It is considered that community-based house remodeling support project is to be carried out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 농촌마을 수준에서의 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 항목체계 구축

        임창수 ( Lim Chang Su ),최수명 ( Choi Soo Myung ),김영주 ( Kim Young Joo ) 한국농공학회 200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6 No.-

        Usually, amenity elements coexist with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group discussion of participant research staffs in this study,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s of amenity and disamenity elements was proposed with 4-tier hierachial order; for amenity 3-7-29-76 (numbers of the high, medium to low categories and elements) and 3-6-16-32 for disamenity. Finally, through case studies of 4 sample villages representing the flat-plain, upland, seashore and periurba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