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정식 풍력발전시스템 설계를 위한 IEC 61400-3-1 소개

        임진석(Jinseok Lim)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GLOBAL WIND REPORT 2021에 따르면 풍력발전시스템 설치가 2020년에는 전년대비 53% 증가한 93 GW의 신규 용량이 설치되었다고 한다. 이 중 영국은 해상풍력발전 부분에서 2019년 대비 2020년 30% 증가한 40.7 TWh로 39% 가정에 전력 공급이 가능 해졌다. 국내는 정부의 3020정책 및 그린뉴딜 정책으로 인하여 해상 풍력이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12월에 발표된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 계획에 따르면, 발전량 기준 국내 신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2020년 7.4%에서 2034년 25.8%로 증가할 전망이다. 그 중에서도 해상풍력 발전량 비중은 2022년 기준 3.0%에서 2034년에는 27.5%까지 늘어날 예정이다. 현재 추진 중인 해상풍력 사업은 풍황 자원이 우수하고 수심이 낮고 고른 서남해 권역에 집중되는 형태이다. 또한 수심이 60 m 이하에서는 고정식 풍력발전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서남해 권역이 이에 해당되며 22.4 GW 규모가 예정 및 건설이 추진 중이다. 이러한 고정식 풍력발전시스템의 설계는 선급 규격이나 IEC 61400-3 시리즈 등과 같은 국제 규격에 따르고 있다. 이중 고정식 풍력발전시스템의 경우 IEC 61400-3-1 : 2019에 따라 설계를 하고 있으며, 이 규격은 외부 조건, 구조 설계, 제어·기계·전기시스템, 기초 및 하부구조 설계, 조립·설치 및 현장시공, 시운전·운영 및 유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IEC 61400-3-1:2019 규격의 소개를 통해 고정식 해상풍력발전시스템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염화칼슘에 의한 라디에이터 엔드 탱크 크랙에 대한 실험적 고찰

        한정완(Jeongwan Han),임진석(Jinseok L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09 No.11

        Radiator end tank made with PA66 is cracked under very low stress when end tank is exposed to de-icing products especially CaCl₂. This phenomenon is called as ESC (Environment Stress Cracking). The effect of radiator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nd tank shape on radiator tank crack by CaCl₂ is studied in this paper. Down flow type radiator is more vulnerable than cross flow radiator. Lots of CaCl₂ accelerate the end tank crack.. And no coolant is in the radiator, no crack was found.

      • KCI등재

        해저케이블용 유연보호튜브의 기계적 성능 연구

        안경수 ( Kyeong Soo Ahn ),김윤재 ( Yun Jae Kim ),최진욱 ( Jin-wook Choe ),임진석 ( Jinseok Lim ),최성웅 ( Sung Woong Choi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4 Composites research Vol.37 No.2

        해저케이블은 케이블의 손상 시 높은 유지 보수 비용과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보호기자재를 사용한다. 특히 파랑 및 해류 등의 외력 요소 들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호 기자재로 유연보호튜브를 들 수 있다. 유연보호튜브는 폴리우레탄 85A 초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기계적 거동을 계산하기 위해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한 물성치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연 보호 튜브를 대상으로 해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휨 성능과 인장 성능을 살펴보았다. 해석에 사용된 물성치는 폴리우레탄 85A의 다축인장 실험을 통해 확보된 물성 값을 이용하였다. 유연보호튜브는 최대 굽힘 모멘트 기준치인 15 kN·m와 인장하중의 기준치인 50 kN에 대해 휨 성능과 인장 성능을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유연 보호 튜브의 최대 굽힘 모멘트가 15 kN·m일 때 MBR은 13 m로 휨 성능이 확보되었으며, 인장하중이 50 kN일 때 최대 수직 변위가 968 mm를 나타내 인장성능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mand for submarine cable is increasing due to advances in submarine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and submarine cable manufacturing technology. Submarine cable use various types of protective equipment to prevent problems such as high maintenance costs in the event of cable damage and power outages during maintenance periods. Among them, flexible protection tube is a representative protective equipment to protect cables and respond to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and current. The flexible protection tube is made of polyurethane 85A hyperelastic material, so the calculation of mechanical behavior is carried out using mechanical properties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bending performance and tensile performance of flexible protection tube through analytical methods. The physical properties obtained through the multiaxial tensile test of polyurethane 85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ending and tensile performance were determined for the maximum bending moment standard of 15 kN·m and the tensile load standard of 50 k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maximum bending moment of 15 kN·m of the flexible protection tube occurred, the bending performance of the MBR was secured at 13 m and when a tensile load of 50 kN, it was applied the maximum vertical displacement was 968 mm, confirming that the tensile performance was secured.

      • KCI등재

        해저케이블용 피기백 클램프의 기계적 성능 연구

        김윤재 ( Yun Jae Kim ),안경수 ( Kyeong Soo Ahn ),최진욱 ( Jin-wook Choe ),임진석 ( Jinseok Lim ),최성웅 ( Sung Woong Choi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4 Composites research Vol.37 No.2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세계적인 전력수요로 인해 고전압 해저케이블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해저케이블은 고가의 제작 비용과 높은 단가의 포설 비용 등이 해결되어야 할 부분 중 하나이다. 해양 환경에 노출된 해저케이블은 파랑 및 해류 등의 외력들에 의해 케이블 손상이나 사고 시에는 높은 유지 보수 비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케이블은 다양한 종류의 보호 기자재를 통해 해저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보호 기자재인 피기백 클램프(PBC)와 클램프에 사용되는 스트랩(strap)을 대상으로 해석적 방법을 통해 휨 성능을 살펴보았다. 피기백 클램프의 구조적 성능 검토를 위해 유연 보호 튜브의 최대 굽힘 모멘트 기준치인 15 kN·m 값을 토대로 휨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기백 클램프 및 strap의 굽힘 모멘트에 대한 휨 성능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ue to the continuously increasing global demand for electricity, the demand for high-voltage submarine cables is also increasing. One of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for submarine cables is the high production cost and expensive laying costs. Submarine cables exposed to the marine environment encounter external forces such as wave and current, leading to issues such as cable damage due to external factors or high maintenance cost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refore, we are preparing for the uncertainty of the submarine environment through many protective materials and protective equip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bending performance of piggyback clamps (PBC) and strap, which are representative protective equipment, in response to the submarine environment through analytical methods. To examin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PBC, the bending performance were assessed under the maximum bending moment criterion of 15 kN·m for the flexible protection tub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al performance regarding the bending moment of both PBC and straps was ens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