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행서사의 재난 모티프를 통해 본 포스트모던 관광의 진정성 함의 김인숙의 『미칠 수 있겠니』와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을 중심으로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7 No.1

        이 논문은 2000년대 여행서사를 통해 포스트모던 관광의 진정성과 윤리성의 함의를 재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인숙의 『미칠 수 있겠니』와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은 포스트모던 관광형태인 다크투어리즘을 변주하는 방식으로 진정성 자체가 상연되고 코드화되는 후기 자본주의 여행의 실체를 비판적으로 적시한다. 후기 자본주의 관광객은 재난조차도 실재가 아니라 이미지로 소비한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관광지의 실체가 아니라 ‘각색’되고 ‘무대화된 진정성(staged authenticity)’이다. 관광 자본에 점령당한 여행지에서 현지인들은 실존의 장소를 상실하고 자신들의 고유한 장소에서 추방당한 난민의 처지에 놓인다. 이런 상황은 후기 자본주의 관광 욕망이 낳은 진정성 여행의 부정적 측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여행은 진짜 재난과 현지인과의 사랑이라는 코드화되지 않은 우연성이 개입함으로써 실존적 진정성 경험으로 전환된다. ‘재난’과 ‘사랑’은 진정성을 매개하는 사건으로 ‘외부인’의 시선에서 ‘현지 시선(local gaze)’으로 초점을 이동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재난 가운데서 서로를 치유하고 보살피는 생명 중심의 상호유기체적 관계성은 여성주의적 가치와 윤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인물들은 남성형 관광객 ‘플라뇌르(flaneur)’에서 현지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여성형 여행자 ‘코라스터(Choraster)’의 정체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지배와 폭력, 자본과 위계질서가 작동하던 관광지는 공존과 관용, 생명력이 넘치는 코라 공간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두 소설은 여행자의 시선과 여행의 계급성이 전복되는 과정을 통해 여성주의 여행의 의미를 형상화함으로써 21세기 여행의 윤리성과 진정성 문제를 환기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rethink the connotation of authenticity and ethicality of postmodern tourism through travel narrative in the 2000s. Kim In-sook’s madness and Yoon gho-yeun’s The travelers on the night critically describes the commercialized travel of late capitalism, a form of postmodern tourism. Tourists want the image of disaster not disaster itself and “staged authenticity” as product. Local people’s lives at tourist-capitalized places are either dependent on tourists or strictly excluded. Local people, deported and abandoned from their own places, are a by-product of authenticity travel, born of late capitalist tourism. In both novels, however, the trip turns into a authenticity experience through the uncoded coincidence of real disasters and love with local people. Disaster and Love are authenticity events, which serve 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shift from external gazes to local gazes. Interaction relationship among the disaster can be a values and ethics at the heart of the feminism. Such behavior suggests that the two characters have acquired the identity of a female traveler, ‘Choraster’ who interacts with locals not ‘Flaneur’, a male tourist. The two novels evoke the meaning of ethical travel through the process of reversing the traveler’s gaze and the classiness of the travel by describing tourist site, which was a capitalist patriarchal place, that became the Cho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