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翻訳における日本語「-てくるㆍ-ていく」と 韓國語 「아/어 오다ㆍ아/어 가다」について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てくるㆍていく」가 한국어의 소설 안에서 어떻게 번역이 되고 있는지, 공간적 이동과 아스펙트로 나뉘어 번역상의 특징을 고찰 하였다. 3권의 작품에서 총 460개의 용례를 발췌하여, 일본어「-てくるㆍていく」와 한국어「-아/어 오다 ㆍ아/어 가다」가 대응하는 용례와 대응하지 않는 용례로 나뉘었다. 또한 대응하지 않는 용례는 그 이유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는 일본어와는 달리 「-て くるㆍていく」에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아/어 오다ㆍ아/어 가다」가 생략되거나 의역이 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먼저 공간적 이동에서,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대응하지 않았다. (1)선행동사가 방향성을 나타내는 경우 (2)같은 의미의 단어가 중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3)선행동사가 화자의 시점(視點)과 관련되는 경우 다음으로 아스펙트에서,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대응하지 않았다. (1)선행동사로 “되다”의 의미가 올 경우 (2)선행동사가 심리상태(心理狀態)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3)선행동사가 지각(知覺)이나 감각(感覺)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4)선행동사가 발생(發生)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5)선행동사가 시선(視線)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6)선행동사가 질문(質問)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7)선행동사가 소멸(消滅)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In this study, Japanese ‘-tekuruㆍ-teiku’ were studied in translation to Korean novel, divided by aspect and spatial movement meaning. Investigating a total of 460 examples from the work of three volumes, Japanese ‘-tekuruㆍ-teiku’ and Korean ‘-a/o odaㆍ-a/o gada’ was split into usag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examples. Also been investigated for the reason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examples. As a result, Korean ‘-a/o odaㆍa/o gada' has been paraphrased or omitted in case of such a verb comes after Japanese ‘-tekuruㆍ-teiku’. following example. First, in the spatial movement, followings were not responded. (1) If the preceding verb is showing the direction leading (2) When us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word is duplicated (3) If the preceding verb is relevant to the speaker's view Next, in the aspect, followings were not responded. (1) If the preceding verb means “become” (2) If the preceding verb presents emotion (3) If the preceding verb indicate the sensing or perception (4) If the preceding verb means “occurrence” (5) If the preceding verb means “line of sight” (6) If the preceding verb means question (7) If the preceding verb means “extinction”

      • KCI등재
      • KCI등재

        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 -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 연구는 서구 근대 사상을 수용하고 그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수적 단어인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의 과정을 한중일 근대 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사회(社会)]는 근대 일본(메이지기)에서 중국 고전(한적)의 어형을 차용하여 만들어낸 [society]의 번역어이다. 원래 [사회]는 중국 고전에서 [제사를 같이 모시는 집단]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1867년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서양의 근대 문명을 받아들이고, 이를 일본어로 번역하게 된다. 메이지 유신이 발발한 지, 10 여년이 지난 1870년 중반, 메이지 일본에서는 [society]의 번역어로 [사회]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메이지기에 만들어진 [society]의 번역어에는 [사회]이외에도 40 여개가 더 존재한다. 이렇게 많은 수의 번역어가 만들어진 이유 는 [society]의 개념이 당시의 일본에는 부재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가 [society]의 번역어로 어느 정도 일반화되었다고 판단되는 1880년까지도 계속된다. 한편, 개화기 조선, [society]의 번역어 [사회]는 1895년 『서유견문』과 학부편제교과서 『고등소학독본』에 소개된다. 이후, 1899년에는 독립신문에 사용될 정도로 일반 대중에게 전파된 상태으며, 1910년 이후에는 사전에 등재될 정도로 한국어에 완전 정착하게 된다. It is about 1875 when the word [sa-hwae(社会)] appeared as the translation word for [society]. Even after the translation word for [society], [sa-hwae], became popular and generalized to the public, there still existed 40 different versions of the word [society]. Which means that various versions of translation for [society] have been competing in Meiji Japan. The reason many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word existed is because Japan at that time did not have the concept [society].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the society to accept a concept that has never experienced and to use a word that contains that idea. The reason many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word built up may be originated in the absence of the concept [society] which was afraid of giving trouble on the word of understanding Japan at that time. As the creative imagination of the Meiji Japanese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 a concept that has never experienced and to use a word that contains that idea, we may appreciate to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modernization to the public which had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s by translation solely between Japan and the West at that time.

      • KCI등재

        일본어 잔재의 사용실태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425명을 세대별(청년층, 중년층, 노년층)로 나누어 식품 명칭 6개, 생활도구 명칭 6개, 기타(색깔 및 복장) 3개 등, 15개 일본어 잔재에 대한 사용빈도를 유형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멸형(모든 연령층에서 사용비율이 30% 이하이면서 연령이 낮을수록 사용빈도가 감소하는 일본어 잔재)-다쿠앙, 다마네기, 쓰메키리, 와리바시, 마호병, 자부동, 구루마, 소라색. (2) 정착형(연령에 관계없이 일본어 잔재의 사용비율이 60%가 넘는 잔재 일본어)-와사비, 오뎅, 곤색. (3) 확산형(청년층의 사용비율이 60%를 넘고 연령이 낮을수록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일본어 잔재)-스시, 소데나시. (4) 공존형(중년층, 노년층의 사용빈도가 30%넘거나 세대(연령층) 간 사용률의 차이가 3% 이하인 잔재 일본어)-사시미, 요지. 즉 ‘요지’를 제외한 5개의 생활도구 명칭과 ‘다꾸앙’ ‘다마네기’와 같은 식품 명칭은 앞으로 점차 소멸해 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나머지 10개의 잔재 일본어는 앞으로도 소멸하지 않고 한국어와 함께 공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The 425 people living in Metropolitan City of Daegu are divided into households(young, middle-aged and older group), and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usage status of 15 Japanese residues including 6 food names, 6 household tools names, and 2 others(colors and costume) are classified by type as follows; (1) Extinction type-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e decreases as the lower aged group in all ages with less than 30% of the usage ratio: Takuang(pickled radish), ‘Tamanegi(onion)’, Tsumekiri(nail clipper), Waribashi(wooden chopsticks), Maho Byung(thermos bottle), Jabudong (sitting mat), Kuruma(cart). Haneulsaek(sky blue). (2) Settled type-Japanese residues with over 60% of the usage ratio regardless of any age group: Wasabi, Oden(fish cake), Konsaek(navy blue color). (3) Diffused type-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io of young group is higher than 60%, and usage ratio is decreased as the lower age group: Sushi, Sodenashi(sleeveless clothes). (4) Coexisted type – 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io of middle-aged and older age group with over 30% or Japanese residues with a difference of 3% or less between generations: Sashimi, Yohji(toothpick).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he name of 5 living tools excluding ‘Yohji’ and the names of foods such as ‘Dakuang’ and ‘Damanegi(onion)’ will gradually disappear, but the remaining 10 Japanese residues are expected to coexist with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ODA 정책에 대한 평가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일본의 ODA는 6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나 그동안 원조의 대부분은 아시아, 특히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경제인프라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해 왔다. 이는 일본 입장 에서 볼 때 동남아시아가 경제ㆍ정치ㆍ외교적으로 중요한 전략적 지역이면서 일본이 실리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일본은 국제원조사회에서 ODA의 이념과 취지에서 벗어나 경제적ㆍ상업주의적 ODA 정책을 실시해 왔다는 비난을 받아왔 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부터는 지나친 상업주의적 원조, 아시아에 치우친 원조라는 누명이 어느 정도 사라지면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과거 일본의 국제개발협력의 부정적 역사를 비슷하게 답습하 고 있고, 또 한국만의 독자적인 원조이념이나 철학이 부재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 일 본을 비판할 입장이 못 된다. 따라서 향후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는 일본의 시행착오로부터의 학습효과를 통해 한국만의 독자적인 원조이념과 철학을 수립하여 수혜국의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지원방식을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 Japan’s ODA has a history of 60 years. During those 60 years of history, Japan has supported most of its aid on Asia especially concentrating on Southeast Asia. The aid on Southeast Asia has been carried out focusing in developing the economic infrastructure. The reason for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 the Southeast Asia is an important strategical area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and on the one hand, Japan may gain practical benefit from the result of giving aid to Southeast Asia. Japan’s ODA policy has been criticized for conducting economical and commercial aid as it was done digressed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ODA’s principle and intent. However, as the false accusation of excessive commercial aid and biased aid of Asia has cleared to some extent, it is now earning positive reviews. In comparison, Korea is following similarly the negative history of Japan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 is criticized for the absence of its own aid principle and philosophy. Thus, for Korea to elevate it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should obtain the learning effect from the Japan’s trial and error. Korea should establish its own aid principle and needs to develop effective aid method adequate for the recipient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