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의 다층 분석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박윤수(Park, Yoon Soo),이영선(Lee, Young-Sun),이영주(Lee, Young-Ju),인보란(In, Bo-ran),김성은(Kim, Sung-Eun),송미영(Song, Mi-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인지진단모형을 통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 결과분석은 교수ㆍ학습 개선과 지원에 필요한 세부 인지요소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기존 결과분석의 전반적인 성취수준에 대한 정보 제공과는 달리, 상세 인지요소 숙달 정보 프로파일을 제공함으로써 평가 결과를 교수ㆍ학습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진단모형의 인지요소 숙달 여부를 통한 다층분석을 실시하여 16개 시ㆍ도 지역 간 인지요소 숙달 차이를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2010년 학업성취도 평가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국어 검사의 Q 행렬을 개발하였다. 둘째, DINA 모형을 통해 피험자의 인지요소 숙달 정도를 추정하였다. 셋째, 다층분석을 통해 인지요소 숙달에 있어서의 지역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층분석에서 1 수준은 학생들의 인지요소 숙달 사후 확률에 근거한 숙달 패턴별 잠재 집단을, 2 수준은 16개의 시ㆍ도로 구분한 2층 모형을 사용하여 지역 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또한 더욱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배경 변인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의 다층분석으로 지역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학습관련 변수 중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의 이해’와 ‘EBS 1시간 이상 시청’이 학생의 국어 관련 인지요소 숙달을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An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us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CDM) can lead to effective feedback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is at a fine-grained attribute level. Unlike traditional broad domain-based scores, CDM-based attribute profiles can lead to more targeted information that can be directed for classroom improvement. This study examined a multilevel extension of a CDM analysis of the NAEA to investigat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16 major cities and provinces in South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items from the 2010 administration of the Korean subject NAEA were used to develop a Q-matrix for 6th grade elementary, 3rd grade middle, and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Next, the DINA model was fit using the Q-matrix developed and the examinee response data from the NAEA. Finally, a multilevel analysis of attribute mastery was conducted by specifying level 2 as the regional areas and level 1 as the students attribute classifications derived from the DINA model; demographic variables and measures of learning were added as covariates in the multilevel model to examine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probability of attribute mastery. Results showed minimal, ye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gions. Furthermore, students that reported to have understood materials taught in class and watched over 1 hour of educational program on television (EBS)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likelihood of mastering attributes required for solving questions in the Korean subject NAEA.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프로파일 보고 방안 탐색

        이영선(Lee, Young-Sun),박윤수(Park, Yoon Soo),송미영(Song, Mi-Young),김성은(Kim, Sung-Eun),이영주(Lee, Young-Ju),인보란(In, Bo-ra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3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과별 성취수준을 산출하여 각 성취수준에 대한 특성 기술과 함께 보고해왔다. 2011년부터는 평가결과표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성취수준에 대한 정보 이외에 교과별로 하위 영역별 성취율을 추가 제공하였다. 하지만 개별 학생들의 보충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구조적인 인지 상태에 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진단모형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평가 결과 보고 방식을 제안하였다. 먼저, 인지진단모형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검사 도구의 Q 행렬을 개발하였고, 이를 기초로 인지진단모형 중 DINA 모형을 적용하여 피험자 모수와 문항 모수를 산출하였으며, 인지요소별 피험자의 숙달 정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및 학부모, 교사를 위한 평가 결과 보고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인지진단적 평가 결과로서 프로파일 보고 방식은 개별 학생의 강약점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개선을 지원할 것이다. Previous studies us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have focused on providing broad domain-based scores categorized by 3 to 5 subscores or a holistic indicator of student performance. Such score reporting practices have faced criticism on their inability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mastery of fine-grained attributes needed to improve teaching practices and individualized student learning. In light of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examines a new and alternative method in score reporting of attribute profiles us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ing approach for the NA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format. First, Korean and mathematics items from the 6th grade NAEA were mapped to content and cognitive attributes specified by field experts into a systematic framework known as the Q-matrix. Second, using the DINA model, parameters relat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and the prevalence of attribute mastery were estimated; these estimates were used to classify examinees on whether they mastered specific attributes specified in the Q-matrix. Finally, CDM-based score reports for students, parents, and instructors were developed. Enhancing score reporting practices at the attribute level provides more specific diagnostic feedback, which should lead to effective and improved methods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