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천 지역에서 소아 천식 중증도 이해와 치료 실태

        인두교 ( Doo Kyo In ),김정선 ( Jung Sun Kim ),선용한 ( Yong Han Sun ),홍희주 ( Hee Joo Hong ),조강호 ( Kang Ho Cho ),손동우 ( Dong Woo Son ),전인상 ( In Sang Jeon ),차한 ( Hann Tchah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6 천식 및 알레르기 Vol.26 No.1

        Background: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asthma practices and adherence to the guidelines for children.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management of childhood asthma and application of guidelines among pediatricians. Method: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of general pediatricians in Incheon. Result: The response rate was 61.8%. When we asked the contents of asthma severity classification by items of frequency of total and night symptom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questions were almost correctly answered (85.7%). Most respondents were aware of asthma guidelines (98.8%) and reported having access to a copy or education of the guidelines (93.8%). Respondents learned the guidelines by attending medical education (72.5%). However, responses to clinical scenario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sthma severity showed overtreatment with inhaled steroid and/or other long term controller (48.8%) for mild intermittent asthma, and undertreatment for moderate (22.2%), and severe persistent asthma (14.3%). By severity classification, mild intermittent, mild persistent, moderate persistent, and severe persistent asthma were 70%, 20%, 8%, and 2%. Conclusion: Although pediatricians were aware of asthma guidelines and knowledge consistent with much of their content, they have a tendency to overtreat patients with mild intermittent asthma and to undertreat patients with moderate or severe persistent asthma.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6;26:35-45)

      • 인천 지역에서 급성 세기관지염의 치료 실태

        김정선 ( Jung Sun Kim ),인두교 ( Doo Kyo In ),선용한 ( Yong Han Sun ),홍희주 ( Hee Joo Hong ),조강호 ( Kang Ho Cho ),손동우 ( Dong Woo Son ),전인상 ( In Sang Jeon ),차한 ( Hann Tcha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목 적 : 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아기에 가장 흔한 하기도 감염이지만 치료에 있어 임상적 효과가 있다고 확실하게 입증된 약물 요법이 없다. 본 조사를 통해 인천 지역에서 소아과 의사의 급성 세기관지염에 대한 치료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국과 국내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의 치료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천의 소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급성 세기관지염의 치료에서 약제 사용을 빈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131명 중 80명(61%)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흡입 기관지 확장제는 90%가 사용하고 있었으며, 41%는 항상, 43%는 간헐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스테로이드는 93%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며, 65%는 간헐적으로, 23%는 항상 사용하고 있었다. 타국가 비교시, 약물 요법을 진료 지침이 시행되고 있는 호주에 비해서 많이, 그렇지 않은 스위스에 비해서 비슷하게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인천 지역 소아과 의사는 급성 세기관지염 치료에 약물 요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비용과 효과를 고려하여 급성 세기관지염에서 약물 요법의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있는데 국내의 치료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Purpose : Although acute bronchiolitis is the most common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the first year of life, the use of pharmaceutical agents has been deb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 of acute bronchiolitis by pediatricians in Incheon and to compare this with management internationally. Methods : We sent postal questionnaires to all pediatricians in Incheon to assess their current practice for treating acute bronchiolit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bronchodilators, steroids, xanthines use.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international management. Results : Of a total 131 questionnaires, 80(61 percent) were returned. Ninety percent of pediatricians used bronchodilator inhalation, either routinely(41 percent) or occasionally(43 percent). Steroid were used by 93 percent of the respondents, always(23 percent) or sometimes (65 percent). Pediatricians in Incheon tended to use pharmaceutical agents more frequently than Australian pediatricians who have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and as frequently as Swiss pediatricians who do not. Conclusion : Pharmaceutical agents are frequently used in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by pediatricians in Incheon. Better therapeutic approaches are needed for bronchiolitis care.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50-16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