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국가의 경제지표 및 기초지표를 고려한 가뭄피해 예측 산정식 개발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김진복(Kim, Jinbok),박종운(Park, Jongu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의 33개 국가를 대상으로 1900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한 가뭄피해에 대한 피해예측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가뭄피해 예측 산정식의 매개변수로는 가뭄피해 데이터와 국가별 경제지표와 기초지표를 고려하였다. 가뭄피해 데이터는 가뭄피해 발생횟수, 인명피해사망, 인명피해영향, 피해금액를 국가별 경제지표 및 기초지표는 GDP, 면적, 인구수로 총 7개를 선정하였다. 가뭄피해 예측 산정식의 수정된 R²은 가뭄피해 발생횟수이 0.794, 가뭄의 피해액이 0.916으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가뭄의 불확실한 피해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아시아 국가의 정량적 피해규모를 산정하여 재난관리를 위한 지표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33 different countries in Asia developed a predictive of damage by analyzing the drought that occurred in 1900 to assess the damage caused in 2018. The parameters of the estimation equation for drought damage were drought damage data, national economic indicators, and basic indicators. For drought damage data, seven national economic indicators and basic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the number of cases of drought damage, death toll, impact of human casualties, and amount of damage. The revised R2 of the estimation formula for drought damage was analyzed to have high explanatory power with a drought damage rate of 0.794, and the drought s damage was 0.916.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index for disaster management by calculating the quantitative damage scale of Asian countries to predict the uncertain damage scale of drought.

      • KCI등재

        표준점수법을 활용한 가뭄발생 추정식 개발 : 아시아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정동휘(Jung, Donghwi),유도근(Yoo, Dogue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본 연구에서는 과거 아시아에서 발생한 가뭄피해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뭄발생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가뭄발생 추정식을 산정하기 위해 아시아 가뭄을 연도별 피해에 따라 표준점수로 환산하였다. 가뭄발생 표준점수는 1900년부터 2018년까지 아시아에서 발생한 가뭄피해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규분포상의 무차원 지수를 분석하였다. 아시아의 가뭄발생 표준점수는 7 등급으로 분류되었으며 표준점수의 지수산정뿐만 아니라 가뭄발생 횟수의 정량적인 지표도 제시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가뭄피해 예측위해 아시아 지역의 가뭄발생 추정식을 산정하였다. 아시아 지역의 가뭄전망은 2018년 대비 2040년에는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는 현재와 비슷할 전망이며,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는 가뭄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a regression equation for drought occurrence is developed using past drought damage data from Asia. To estimate the regression equation for drought occurrence, Asian droughts are converted into standard scores according to yearly damage. Standard scores of drought occurrence are analyzed using the drought damage data for Asia from 1900 to 2018 to utilize the dimensionless index of normal distribution. Standard scores of drought occurrence in Asia are classified into seven grades. Quantitative indicators of the number of drought occurrences as well as the standard scores of tributaries are presented. Also, the regression equation for drought occurrence in Asia is calculated to predict drought damage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effect. The drought outlook for the continent is expected to be the same in Central and Western Asia in 2040 compared with 2018, while the occurrence of drought in East Asia, Southeast Asia, and South Asia is increasing.

      • KCI등재

        재해연보와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을 활용한 재난관리 방안 연구: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태풍, 호우 등의 자연재난에 발생빈도를 증가시켜 복합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자연재난은 국가의 인명, 재산, 시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켜 재난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재난은 발생빈도, 재난의 크기, 피해규모 등의 예측이 어려워 현재까지도 다양한 분야에서 재난관리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연보’의 2006년부터 2017년까지의 피해현황과 시군구별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의 재해위험지구를 고려한 경상남도의 재난관리 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상남도의 재난관리 방안으로는 과거 자연재난의 재난유형별 피해현황과 재난발생으로 유발되는 재해유형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의 재해위험지구와 재해유형별 가중치를 고려한 경상남도의 재해유형별 재난관리 예산비율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Recent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including typhoons and heavy rains. These disasters have resulted in complex damage. Natural disasters enormously affect a variety of critical areas (e.g., human life, property, and facilities), thu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frequency, size, and scale of such natural disasters and the resulting damage. Many disaster management studies are therefore being conducted in a variety of areas. This study examined a disaster management plan in Gyeongsangnum-do by considering damage statu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 the disaster yearbook from 2006 to 2017 in addition to a comprehensive si/gun/gu disaster plan designed to reduce storm and flood damage. Past natural disaster status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disaster type in the Gyeongsangnum-do disaster management plan. This study also proposes equations for calculating a budget ratio for disaster management in Gyeongsangnum-do by considering the disaster risk area and the weight of the disaster type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plan to reduce storm and flood damage.

      • KCI등재

        태양광 발전시설의 강우 투영단면적 비율에 따른 홍수량 변동특성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이정호(Lee Jungho),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With growing global environmental concerns, attention is focused on renewable energy. Photovoltaic facilities provide infinite solar and clean energy, and are utilized in various ways. Installation of a photovoltaic facility above a certain scale should be preceded by a flood risk assessment. Recent installations of photovoltaic facilities have been utilizing piling-type construction for minimal environmental damage. In previous flood risk assessments the total area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was classified as impervious when the anticipated flood volum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s in flooding volumes according to projected cross-sectional areas where rain falls on the installation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Three cases were analyzed: CASE 1 takes into account the total area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CASE 2 the area considering the panel installation angle, and CASE 3 the area of the circular piles. The anticipated flood volumes were calculated as 97.59 ㎥/s for CASE 1, 97.57 ㎥/s for CASE 2, and 97.26 ㎥/s for CASE 3, a difference of less than 1%. Therefore, it is acceptable to consider the total area as impervious in a flood risk assessment when installing a photovoltaic facility.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신재생에너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중 태양광 발전시설은 무한한 태양광에너지이며 청정에너지로서 최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일정규모이상의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는 사전재해영향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최근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는 최소한의 자연훼손을 위해 말뚝형식으로 시공이 되고 있다. 과거 수행된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에서는 설계홍수량 산정시 태양광 발전시설의 전체 면적을 불투수 면적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시 강우가 접하는 투영단면적에 따른 홍수량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강우 투영단면적에 따라 CASE 1은 발전시설의 전체면적, CASE 2은 설치 각도를 고려한 면적, CASE 3는 원형말뚝의 면적이다. CASE별 설계홍수량은 CASE 1이 97.59 ㎥/s, CASE 2가 97.57 ㎥/s, CASE 3가 97.26 ㎥/s으로 1% 미만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시 재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면적을 불투수면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