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공동양육과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혜진 ( Lee¸ Heajin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부모의 공동양육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9차년 도에 조사된 838가구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5.0과 Amos25.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 포함된 경로가 유의한지 분석한 후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공동양육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공동양육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두 변인사이에서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학교적응에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부모의 공동양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Co-parenting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of 838 households in 9th-year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r data analysis, SPSS25.0 and Amos25.0 were used to analyze whether the route included in the study model was significan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then Bootstrapping-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Co-parenting did not directly affect school Adjustment. Second, it was revealed that Co-parenting has an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child's self-esteem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Co-parenting affecting school Adjustment, it was revealed that the child's self-esteem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for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was emphasized, and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Co-parenting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