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제 신문을 활용한 확장형 한국어 읽기 수업 효과 : 대만 내 고급 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현주 ( Lee¸ Hunju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대만의 한국어를 전공하는 고급 단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문을 활용하여 확장형 읽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후에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확장형 읽기는 학습자 스스로 읽고 싶은 것을 많이, 빠르게 읽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신문은 읽기의 좋은 학습 도구가 된다. 신문은 새로운 소식을 빠르게 전달하고 한 나라의 문화, 사회 등을 알려준다. 대만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목적은 한국에 대한 관심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학습자들은 교실 안에서는 물론 교실 밖에서도 신문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만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도 신문을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신문을 활용한 읽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9차시 동안 인터뷰기사, 사설 기사, 칼럼 기사, 보도 기사, 피처 기사를 읽는 연습을 하였다. 그 후에 교실 밖에서 스스로 신문을 찾아 있는 연습을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한국어 실력이 좋아진 것 같다고 느꼈다. 이 연구는 대만 학습자들을 위해 신문을 활용한 확장형 읽기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행했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비교적 단기간에 진행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대만 학습자들을 위해 신문을 활용한 확장형 읽기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면 대만 학습자들의 한국어 실력은 물론 읽기 능력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using newspapers in extensive reading classes for advanced level learner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in Taiwan. Newspapers deliver news quickly and inform the reader about the culture and society of a country. Taiwanese learners are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the society and culture of Korea. Therefore, learners should be able to read newspaper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Therefore, in this study, a reading program using newspapers was conducted so that Taiwanese learners could read newspapers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the ninth hour, I practiced reading interview articles, editorial articles, column articles, press articles, and feature articles. First, inside the classroom, students practiced reading interview articles, editorial articles, column articles, press articles, and feature articles. Later, outside of the classroom, students practiced searching for newspapers themselves. Consequently, learners' reading skills improved. Also, the learners felt that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seemed to hav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