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무속 신화 속 쫓겨난 딸들의 신직 좌정과 문화적 의미

        이향애 ( Yi Hyang-ae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제주도 여신 신화에서 아버지에 의해 쫓겨난 딸들의 신직좌정 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버지와 딸은 가족과 혈연 보다 상위 차원의 가치인 유교적 규범에 의해 갈등하고 대립한다. 결국 위계상 하위에 있는 주변적 존재 인 딸이 아버지에 의해 집에서 추방당한다. 딸들이 집에서 쫓겨나는 이유는 유교적 규범에 맞지 않은 행동과 말을 했기 때문이다. 신화에서는 집을 나간 이후 여성들의 어려움을 공간 묘사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묘사는 남성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신화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여성이 외부 공간으로 나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잘 보여준다. 여성들의 길 떠남은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가족 관계 및 질서와 단절하고 새로운 자기 정체성을 세우며 나아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관계를 보면, 안전할 것 같은 내부 공간은 불안전한 반면에 위험할 것 같은 외부 공간 은 여러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공간이다. 여성 인물들의 공간 이동은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가치가 전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문화 유형론의 관점에서 보면 주변적 존재인 딸들이 신으로 좌정하면서 새로운 공간의 중심이 되는 것은 문화의 체계 내부에서 중심과 주변이 자리를 바꾸는 메커니즘과 유사하다. 쫓겨나는 딸들의 신직 좌정 과정은 주변적 요소가 문화의 중심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ry and meaning of border people through daughters expelled by fathers in the myth of the goddess of Jeju Island. Fathers and daughters are in conflict and confrontation based on Confucian norms, which are values higher than family and blood ties. Eventually, the daughter, a marginal entity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is expelled from the house by her father. The reason the daughters are expelled from the home is because they acted and spoken against Confucian norms. Mythology shows the difficulties of women after leaving the house through space descriptions. This description shows how difficult it is for a woman to go to the outside space as it is difficult to find in the myth of men as the main characters. Women’s departure is a process of breaking off from the existing family relations and order centered on the father and establishing a new self-identit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through this, the inner space that is likely to be safe is unsafe, while the outer space that is likely to be dangerous is a space that has many possibilities. The movement of female characters in space shows that the value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at are commonly thought of are being carried over.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typology, the fact that daughters, who are peripheral beings, become the center of a new space while sitting as gods, is similar to the mechanism in which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change positions within the system of culture. The process of sequestering the daughters who are driven out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peripheral elements move to the center of culture.

      • KCI등재

        영화 ≪신과 함께-죄와 벌≫속 공간의 구현양상과 그 의미

        이향애 ( Yi Hyang-ae ),김신정 ( Kim Sinjeong ) 한국기호학회 2018 기호학연구 Vol.54 No.-

        영화 ≪신과 함께-죄와 벌≫을 대상으로 관객이 영화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는 일종의 구성 원리가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논의를 위해 ‘공간’을 메타언어로 하여 서사구조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시간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서사를 해체하여 공간의 구성으로 전환해 살폈고, 공간에서 벌어지는 사건 양상과 인물의 공간 이동 양상에 주목했다. 사건들은 등장인물들이 일곱 개의 지옥을 이동하는 가운데 벌어지며, 이 일곱 개의 지옥은 서로 연속되기보다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개별적인 지옥에서 벌어지는 개별적인 사건들은 반복되는 양상을 드러냈다. 이러한 반복적인 형식과 반복적인 내용은 하나의 패턴이 되어 수용자에게 ‘외부 자극’으로 작용하고 수용자 내부에서 ‘자기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게 된다. 예술텍스트로 인한 감동은 텍스트가 전달하는 맥락과 메시지를 수용자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즉, 감동의 원리는 수용자가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받아들이게 하는 ‘설득’을 기반으로 한다. 반복되는 정보는 수용자의 심상에서 자기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또 다른 정보’가 된다. 달리 말해, 영화가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메시지뿐 아니라 ‘반복성’ 그 자체도 수용자에게 자극이 되어 영화 속 장면을 통해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게 만든다. 요컨대, 텍스트적 세계가 구현해내는 공간의 분할과 인물의 이동, 이로 인한 반복성은 반복적인 자극이 되어 관객에게 개인적 성찰의 시간을 만들어내고, 바로 이것이 이 영화로부터 메시지가 전달되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O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ovie With gods’s narrative structure. This movie makes most people who has seen it feel deeply moved. We think that people can get deep feeling from a film at last after people who has seen the movie accept a context, story, and a message of the movie gladly. We focused on a special system in this movie With gods that can make give an ordinary message and big touch to people. Also we focused on every episodes of every space in a movie, and someone who moved freely between the spaces. A repetitive form and repetitive contents in a narrative become a special code itself -repetitiveness- for people and make them do auto-communication. Specifically, an information, the movie’s repetitiveness, out of people become a special code for them, and then that make people bring memory and new information by themselves. Watching movie, people can look back up on life with every trial in the movie. In short, a repetitiveness and an auto-communication are a special system in the movie, that can make deeply touched.

      • KCI등재

        영화 <코코>에 나타난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

        이향애 ( Yi Hyang-ae ) 한국기호학회 2018 기호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에서는 영화 <코코>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영화는 ‘죽은 자들의 날’에 일어나는 가족 간의 갈등과 화합을 기본 서사로 하고 있다. ‘죽은 자의 날’은 후손이 조상을 위해 제단을 만들고, 집으로 모셔 산 자와 죽은 자가 함께 하는 날이다. 그러나 가족 간의 갈등으로 가족의 화합은 이루어지지 못한다. ‘죽은 자들의 날’에 살아있는 주인공이 죽은 자의 세계로 들어가면서 사건이 발생한다. 대개 죽은 자들이 가는 곳인 저승은 두려움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저승은 살아있는 인간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곳인 만큼 상상 속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때 저승의 이미지는 그 문화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관련이 있다. 영화가 보여주는 ‘죽은 자의 세계’는 화려한 형형색색의 활기찬 공간이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 역시 살아있는 인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는 분리된 개별 세계가 아니라 기억을 통해 연결된다. 두 세계의 관계는 주인공 미겔의 공간 이동을 통해 드러난다. 주인공 미겔은 우연한 기회에 죽은 자의 세계로 들어간다. 미겔의 공간 이동은 가족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부정적 기억을 긍정적 기억으로 전환시킨다. ‘산 자의 세계 →죽은 자의 세계 → 산 자의 세계’로 이어지는 순환적 공간 이동은 산 자의 세계와 죽은자의 세계가 기억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두 세계는 분리된 이원적 세계가 아니라 서로에게 열려 있는 세계다. 이는 삶과 죽음을 이원화하지 않고 동일한 대상으로 보는 멕시코 사람들의 인식과 연결된다. 영화 속 주인공의 공간 이동은 해당문화가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인식과 닮아있다. 죽은 가족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개인적 행위이지만 그 방식은 문화적이다. 매년 정해진 기간에 공동체가 동일한 의례를 진행하며 죽은 자를 기억하는 것은 집단적 기억을 통한 문화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죽은 자를 위해 마련된 제단에는 음식·물·촛불·오색 종이를 올린다. 이들은 공기·불·흙·물을 상징한다. 이는 고대 아스테카문명에서 기원한 것이다. 아스테카 사람들은 사람이 죽으면 공기·불·흙·물 등과 혼합되어 새로운 우주의 생명력을 이루는 절대 질료를 제공한다고 믿었으며, 삶과 죽음을 분리해서 이해하지 않았다. 이러한 관념은 ‘죽은 자들의 날’에도 담겨있다. 이 의례는 삶과 죽음을 분리해 이해하지 않기에 산 자와 죽은 자의 만남이 축제적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고대부터 이어지는 이와 같은 관념은 매년 주기적으로 행해지면서 집단의 기억을 형성한다. 형식화된 행위의 주기적인 반복은 집단의 기억 안에 삶과 죽음이 동일한 것임을 각인시킨다. 이러한 행위는 문화의 자기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죽은 자들의 날’은 문화가 자기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통해 삶과 죽음이 동일한 대상임을 재인식한다. 또한 ‘죽은 자들의 날’이 죽은 자들만을 위한 날이 아닌 산 자와 죽은 자가 함께 공유하고 연대의식을 갖는다는 점에서 의례의 반복은 이들의 연대 의식을 새롭게 재조직하는 기능을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life and death in the film Coco. This film is based on family conflicts and harmony in the ‘Day of the Dead. ‘The Day of the Dead’ is the day when the descendants make an altar for their ancestors and spend their time together at home. However, family unity can not be achieved due to family conflicts. In the ‘Day of the Dead’, the incident takes place when the living hero enters the world of the dead. The afterlife, usually where the dead go, is perceived as a space of fear. Afterlife is a place where living human beings can not experience it directly, thus creating various images in imagination. The image of the afterlife is related to how the culture perceives death. The world of the living and the world of the dead have similarities as they are connected through memories, not separate worl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the living and the world of the dead is revealed through movement of the main character Miguel. The main character, Miguel enters the world of the dead accidentally. Miguel’s spatial movement changes the negative memory arousing the conflicts between family to the positive memory. The cyclical spatial movement such as ‘the world of the living → the world of the dead → the world of the living’ shows that the world of the living and the world of the dea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memories. These two worlds are not the separated dualistic world, but the world open to each other, which is connected to Mexican people’s perception to view the life and death as the same without dualizing them. The spatial movement and its direction of the main character in the film resemble the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in the relevant culture. Even though remembering and cherishing the memory of the dead family member is a personal act, the method is cultural. Remembering the dead by performing the same rite in the fixed period of every year could be a cultural act through the collective memory. On the altar prepared for the dead, the food·water·candle·fivecolored paper are put. They symbolize the air·fire·soil·water,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Aztec civi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ztec people’s belief, when people die, they are mixed with the air·fire·soil·water to provide the absolute matters composing the vitality of the new universe. They thought that life was not separated from death. This idea is also contained in the ‘day of the dead’. As life is not separated from death, this rite of meetings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is performed in the festive mood. This concept continued from the ancient times is practiced periodically every year to form the collective memory. The periodical repetition of the formalized act imprints in the collective memory that life and death are the same. This act could be the autocommunication of culture. The ‘day of the dead’ newly understands that life and death are the same object through the process of autocommunication. Also, the ‘day of the dead’ is not just a day for the dead, but a day when the living and the dead have the solidarity by sharing together, so that the repetition of the rite newly reorganizes their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