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45년 이후 일본의 한국문학 번역 현황 개관

        이한정 ( 李漢正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1945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에서 출판된 한국문학 번역 작품의 현황을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 기간에 발행된 일본어판 한국문학(고전문학, 시, 소설, 희곡, 아동문학) 간행 종수는 496종에 달한다. 간행 종수에서 그 수치에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은 1970년대와 2000년대다. 각각 48종과 161종인데, 1970년대 한국의 민주화운동에 대한 일본의 관심과 한국 문학자들의 번역을 통한 한일문화교류 추진이 이 시기의 간행 종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2000년대에는 1988년 서울올림픽, 2002년 한일월드컵 공동개최, 2003년의 드라마 <겨울연가> 일본 방영을 계기로 불게 된 한류붐 속에서 일본의 한국문학 수요가 증가했다. 현재 이러한 흐름은 지속되고 있다. 일본에서 자신의 작품이 가장 많이 번역된 작가는 권정생이다. 시인으로는 김지하, 고은, 김남조이 있으며, 소설가로는 박완서, 최인호, 황석영, 공지영 등이 있다. 작품의 번역본 출간은 개별 작가의 단행본, 선집, 시선집, 앤솔러지, 시리즈물, 문고판 등이 있으며, 각 시기별로 국내에서 화제가 된 다수의 작품들이 일본에 소개되었다. 일본의 한국문학 번역가는 재일한국인이나 일본어를 공부한 한국인이 다수를 차지했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한국에 유학한 일본인 번역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本稿では、1945年から2016年まで日本で翻訳出版された韓国文学翻訳の現状を概観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この時期に出版された日本語訳の韓国文学 (古典文学、詩、小説、戯曲、児童文学) 出版は496種である。出版の数値に大きな変化を見せるのは、1970年代と2000年代である。それぞれ48種と161種となるが、1970年代の韓国の民主化運動に対する日本の関心と韓国文学者たちの翻訳を通じた韓日文化交流の推進がその変化に反映されている。2000年代には、1988年ソウルオリンピック、2002年の日韓ワールドカップ共同開催、2003年の ドラマ 「冬のソナタ」 の日本放映をきっかけに韓流ブームの影響で、日本の韓国文学の翻訳が増加した。現在、これらの流れは続いている。日本で自分の作品が最も多く翻訳された作家は児童文学者權正生ある。詩人では金芝河、高銀、金南祚であり、小説家では朴婉緖、崔仁浩、黃晳暎、孔枝泳などがある。作品の翻訳本出版は、個々の作家の単行本、作品選集、詩選集、アンソロジー、シリーズ、文庫版などがあり、韓国で話題になった多数の作品は、日本に紹介されている。日本の韓国文学の翻訳者は、在日韓国人や日本語を勉強した韓国人が多数を占めていたが、2000年代以降には、韓国に留学した日本人翻訳者が増えてい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