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인과 마케팅>융합을 통한 콘돔브랜드 "YOU" 개발 -그래픽 디자인, 제품 디자인,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심민주(주저자) ( Min Joo Shim ),설수빈(주저자) ( Su Bin Seol ),이채영(주저자) ( Chae Young Lee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이미연(공동저자) ( Mi Yeon Lee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한국의 성문화 개방에 따른 청소년 및 대 학생들의 성의식 개선을 돕고 에이즈나 기타 성관련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콘돔 브랜드 ``YOU``를 개발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은 2014년 3윌~6윌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로서 6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연구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物의 ``produc t``로 한정한다. 연구 결과. 편안하고 거부감 없는 콘돔 브랜드를 개발하기 위해 남자와 여자를 하나로 맺어주는 고리의 상징개념으로 YOU라고 네이밍하였다. 그래픽 디자인은 긍정적 사고의 오렌지 컬러에 달걀 형태로 제작 된 로고와 홍보 전략으로서 SNS어플 개발, 제품디자인은 팬시적인 느낌의 패키지디자인 개발, 공간디자인은 화이트, 베이지, 오렌지를 브랜드 컬러로 하여 파사드에서부터 내부의 집기 및 가구에 이르는 통합적으로 브랜딩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콘돔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개발함에 있어서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으며, 기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aims to explicate a series of process to develop the ``YOU`` brand for the condom to Improve sexual awareness of teens and college students and preven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including AIDS in the context of opening up sex culture in Kore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ompilation of the work of a team among six teams from their course products in the ``Brand Space Marketing`` course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hich was provided for 15 weeks between March and June, 2014.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product`` of Work among four themes (Thing, Work, Person, and Place). As a result, the brand was named ``YOU`` as the symbol to link a man and a woman into one in order to develop a condom brand that feels comfortable without uneasiness. The integrative branding included the graphic design for the logo created in an oval shape and the orange color for positive thinking, the development of a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as the promotional strategy, the product design for the fanciful package design, and the space design ranging from the facade to the equipment and furniture inside using the brand colors of while, beige, and orange.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reating a more systematic brand manual that integrates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ce identity by converging design and marke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dom brand identity,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other relevant integrative brand designs.

      • 서울의 하천 공간 되살리기 프로젝트-홍제천의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양정은(주저자) ( Jung Eun Yang ),이채영(주저자) ( Chae Young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한강을 중심으로 흐르는 35개의 하천들을 중심으로 발달한 수변공간의 현재와 하천의 직강화 개발에서 오는 환경적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올바른 수변공간의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홍제천으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에 위치해 있다. 종로구·서대문구·마포구 일대에 걸쳐 흐르는 지방 2급 하천이다. 한강공원·청계천 등 수변공간을 이용하여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수변공간을 만들고 있는 현재, 수변공간의 개발이 하류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용률이 적다. 이 중 연구 대상 구간인홍제천의 중상류 부분은 물길이 좁아져 유속이 빠르며 홍수의 위험이 큰 것이 특징이다. 연구 결과, 하천 주변의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여 물길에 따른 공간을 디자인하여 수변공간과 하천을 비롯한 자연 사이의 교감을 통하여 하천 직강화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수변 커뮤니티 공간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성장 발전과 급속화 된 도시화 인해 자연을 고려하지 않고 인간을 위한 발전을 해온 현재 상황에서 자연을 주목한 수변공간의 발전을 통해 정온한 느낌의 생태적 감수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waterfront space created along 35 streams which run into Han River an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direct channels in rivers, with an aim of seeking the designing direction for waterfront space for a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the nature.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was Hongje Stream, which is located in Seongsan-Dong Mapo-gu, Seoul. It is a second-class local stream that runs across Jongro-gu, Seodaemun-gu, and Mapo-gu. The waterfront facilities are now under construction along the stream for Seoul citizens to enjoy, like Hangang Park and Cheonggye Stream, and there are few waterfront spaces developed in the down stream, and there are not many visitors either. The target area of the study is the mid and upper stream, which is characterized by a narrow water passage and a fast flow velocity, making it vulnerable to flood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environment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artificially-created direct channel can be solved by designing a waterfront space with the natural surroundings preserved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with the nature, and an ideal waterfront space model for harmonious coexistence and humans and the nature.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at it suggests a way of helping citizens feel a calm and relaxing ecological sentiment by developing a naturally-preserved waterfront space, at this time of human-oriented development due to Korea’s fast economic development and rapid urbanization.

      •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위한 방법 연구 -미학, 예술, 디자인의 융합을 토대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이채영(주저자) ( Chae Young Lee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미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예술과 디자인에 다각적으로 도입하여 전시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디자인영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학적 이론을 근거한 미학 오딧세이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중 1. 이율배반, 2. 사회적 관습, Code, 3. 공감각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각각Brand Display, Season Display, Media Exhibition에 도입하여 미학 개념을 실제 전시 디스플레이로 표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는 숙명여대 미술대학 전시 디스플레이 수업에서 진행된 프로젝트로 4명의 팀원이 15주간 미학을 바탕으로 3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진행은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허물고, 다각적으로 융합되어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과학기술, 마케팅 등 타분야와의 활발한 융복합과 다양한 멀티미디어와의 융복합 등의 연구를 통해 다채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verse design processes of a wide ranged exhibition display based on the theory of aesthetics by introducing it to art and design in various dimensions and to use them in an actual area of design. Among the themes that aesthetic theory-based Aesthetic Odyssey, the study was performed as a research on theories focusing on 1. Antinomy, 2. Social Customs, Code, and 3. Synesthesia. And then, the study had performed tasks to present the concept of aesthetics in an actual exhibition display by introducing above themes to Brand Display, Season Display and Media Exhibition respectively. The study included 3 projects on the basis of aesthetics for 15 weeks performed by 4 team members as the projects implemented in an exhibition project clas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These classes are conducted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esign, with subsequent convergences among them in multi-faceted ways so as to explore a new possibilities of display design technology, and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diversified design methodology through active convergence/integration with other sectors such as scientific technology and marketing and through convergence/integration with various multi-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