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용 저수지 정밀안전진단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이창범 ( Changbeom Lee ),정남수 ( Namsu Jung ),박승기 ( Seongki Park ),전상옥 ( Sangok Jeon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의 농업용 저수지는 2008년 기준 17,596여개의 저수지가 전국에 산재되어 있고 한국농어촌공사3,356개소, 지방자치단체가 14,133개소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료에 의하면 국내 17,596개소의 댐과 저수지 중 농업용이 총 17,505개(99.5%)를 차지하고 있고, 이중 99.3%가 필댐이다 필댐은 제체의 대부분이 흙, 자갈, 암괴 등 자연재료로 만든 댐으로 제체의 구성재료에 따라 흙댐, 사력댐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장중렬, 2012). 또한, 현재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저수지의 58%인 8,352개의 저수지가 1948년 이전에 축조된 저수지로서 내구년한이 경과한 시설로 분류되고 있다(양승만, 2010). 내구년한이 50년이상 경과된 저수지의 경우 장마, 태풍, 국지성호우등 자연재해에 취약하고 노후화 저수지 관리에 대한 적절하지 않은 보수_보강과 평가방법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축조기술의 상대적저하, 환경변화에 따른 안전성 저하등의 문제가 노출되어있다(박삼규, 2012). 이와 같이 농업용 저수지에서 나타나는 복합적인 문제가 증가하면서 안전관리분야의 관심이 높아져 “시설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이하 시특법)”과 “농어촌정비법”을 제정하여 시설물의 목적과 저수량에 따라 1종, 2종, 3종의 시설물로 구분하여 정기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시특법상의 2종시설물인 100만m<sup>3</sup>~1,000만m<sup>3</sup> 저수지의 경우 콘크리트댐을 기준으로 한 진단 및 정기점검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어촌정비법은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국토해양부 2010. 12 기준)을 준용하고 계수조정을 통하여 상태평가를 수행하고 있다(한국농어촌공사, 2011). 시설물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은 국토해양부, 한국시설안전공단 및 관련 기관등의 노력으로 그 체계가 정립되었으나 농업용 저수지의 점검 및 진단은 대댐위주의 진단체계에서 계수조정을 통해 반영되고 있고(이종근, 2013) 이에 따른 안전성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과대평가가 이루어질 우려가 있으며 적절하지 않은 기준으로 인한 저수지 파괴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으므로 농업용 저수지만의 독자적인 안전진단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기준하고 있는 농업용 저수지 안전진단 체계를 조사하고 진단체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재료적·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진단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스마트환경에서 개인정보의 활용과 사생활 보호

        이창범(Lee Changbeom) 한국정보법학회 2011 한국정보법학회 정기세미나 발표자료 Vol.- No.5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의 하나인 페이스북의 가입자수가 7억명을 넘어섰다. 특히 미국은 전체 인터넷 사용 인구 중 73%가 페이스북에 가입하고 있다고 하니 가히 SNS 광풍이라고 해도 될 것 같다. 우리나라 국민의 페이스북 가입자수도 약 5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내 토종 SNS 서비스 중 하나인 카카오톡은 서비스를 시작한지 불과 1년 남짓만에 벌써 가입자 수가 1500만 명에 이른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년 8월이면 20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사회관계망 서비스가 단기간 내에 급속하게 확산된 주요 이유중 하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들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대에 힘입은 바 크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수는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고 연내 2천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모바일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가세하면서 사회 관계망 서비스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에 이어 애플이 금년 9월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를 시작하였고, 국내 기업들도 앞다투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유클라우드홈), LG유플러스(유플러스박스), NHN(N드라이브), 다음(다음클라우드) 등이 이미 일반인을 상대로 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고, 삼성전자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개인용 컴퓨터(PC)를 디지털 라이프의 허브가 아닌 그냥 하나의 기기(just a device) 의 지위로 강등시킴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PC로부터의 자유를 선언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이 정착되면 소비자들은 지금보다 훨씬 더 자유로운 환경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거나 자신에 관한 정보를 여러 사람과 함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 AHP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정기점검 모델 체계방안연구

        이창범 ( Changbeom Lee ),정남수 ( Namsu Jung ),박승기 ( Seongki Park ),전상옥 ( Sangok Jeon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저수지 정기점검목적은 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기능성 및 결함원인 등을 조사·측정·평가하고 필요시 적절한 보수·보강방법 등을 제시함으로써 재해를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을 증진시켜 시설물의 안정성 및 공공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 나라의 수리시설물은 70%이상이 농업기반공사 관리시설로 이 중 50%이상은 시공한지 30년이상 되어 노후화 된 시설물이며 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과 농업기반시설 관리규정에 의하면 유지관리 대상 시설물은 그 중요도에 따라 1, 2, 3종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들 수리시설물은 전국에 산재하고 있어 목적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지관리에 있어 시설물에 대한 평가와 관리방안, 관리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농업수리시설물은 일반토목구조물에 비해 항상 물과 접하는 환경으로 동결융해 등에 대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피할 수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설계의 개념이 초기투자비를 가능한 최소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아 유지관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구조물에 있어 개설 등의 초기투자보다는 기존 구조물의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다. 또한, 개보수 또는 정밀안전진단 의뢰의 우선순위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이론적으로 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이를 경험적인 과거의 자료로부터 규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본 연구에서는 정기정검 모델 개발에 있어 체계를 갖추고 농업용시설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목적한 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저수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세부구조물과 여러부위에서 나타나는 성능저하현상을 분류하고, 각각의 성능저하현상이 저수지 전체의 안전도 또는 기능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개보수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지닌 전문가집단 (농업기반공사 시설진단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며 조사된 데이터를 통해 AHP기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산정하고 세부구조물에 가중치를 반영한다. 세부구조물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정기정검 모델 개발을 통해서 모델 적용함으로써 정기정검 후손상 및 결함에 대해서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진단된 내용을 토대로 개보수 또는 정밀안전진단이 실시된다면 손상 및 결함에 대해 빠르게 대처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독립성분분석과 Box-Cox 변환을 이용한 동사 개념 클러스터링

        Chagnaa Altangerel,이창범(Changbeom Lee),옥철영(Cheolyoung Ock)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6 No.10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동사의 개념적 클러스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되는 기법은 독립성분분석, Box-Cox 변환, 상관분석 등이다. 독립성분분석은 잠재적인 성분을 통계적 독립(statistical independence)에 기반하여 추출하는 분석 방법이다. 그런데, 독립성분분석에서는 mixture(동사)의 분포는 정규 분포(가우시안 분포)에 따른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동사의 분포를 보다 정규 분포화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ox-Cox 변환을 이용하여 동사의 분포를 정규 분포에 근사한다. 또한, 독립성분분석에서는 추출할 적당한 성분의 개수를 결정할 수가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분석의 결과로 획득되는 고유치의 누적 기여율을 이용하여 독립성분의 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추출된 독립성분 벡터와 동사 벡터간의 상관계수에 이용하여 독립성분(개념)에 밀접하게 관련있는 동사들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구성한다. 한국어 동사를 대상으로 클러스터링한 결과, Box-Cox 변환을 적용한 경우가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 농업용 저수지 사면 식생의 군집특성

        김현수 ( Hyounsoo Kim ),이창범 ( Changbeom Lee ),박승기 ( Seungki Park ),정남수 ( Namsu Jung ),윤충원 ( Chungweon Yun ),전상옥 ( Sangok Jeon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대부분은 필댐(Earth Fill Dam)이며 저수지 축조시 하류사면은 잔디를 식재한다. 농업용저수지의 축조년수가 경과하면서 주변의 식생들이 천이하여 새로운 식물생태계를 형성한다.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신흥저수지를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종의 피도(coverage)와 개체수를 조합시킨 우점도(dominance) 계급을 판정 기록하였으며, 생육상태는 종 개체의 집합 혹은 이산의 정도에 따른 군도(sociability) 계급 등을 측정하였다. 신흥저수지의 클러스터에 의한 군집유형분석은 group linkage 방법 중 하나인 Ward’s method를 이용하여 총 3개의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총 51개소 중 각 군집의 releve은 군집1(13plot), 군집2(24plot), 군집3(13plot)으로 구성되었다 신흥저수지를 구성하고 있는 식물종의 생태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대빈도와 상대피도를 조합한 중요치를 산출하였다. 신흥저수지 구성종의 전체 중요치 비율은 쇠뜨기가 13.6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칡(12.38%), 쑥(11.43%), 달뿌리풀(5.48%), 개망초(5.18%), 마(4.77%), 억새(4.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군집별 중요치 비율을 비교하면, 군집1은 칡(29.89%), 여우팥(4.47%), 며느리밑씻개(2.89%), 아까시나무(1.58%), 환삼덩굴(1.14%), 산딸기(2.54%) 등의 교란지 또는 천이지대에 나타나는 교란종들이 다른 군집에 비하여 단연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군집2는 매자기(4.31%), 골풀(1.11%), 눈갯버들(0.75%), 고마리(0.18%), 고비(0.18%) 등의 토양이 습한지역이나 습지에서 나타나는 습생식물들의 중요치가 다른 군집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 저수지 누수구역 탐사를 위한 습생식물지수 결정

        김현수 ( Hyounsoo Kim ),이창범 ( Changbeom Lee ),박승기 ( Seungki Pack ),정남수 ( Namsu Jung ),전상옥 ( Sangok Jeon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본 연구는 농업용 저수지 사면에 대한 식생조사와 자연적인 서식환경에 따른 식물의 서식특성에 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저수지사면에 자생하는 식물 종에 대한 습생지수를 결정하였다. 습생지수를 충남 예산군 신흥 저수지에 적용하였으며 전기비저항탐사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