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지역 토지이용에 따른 인구 변화

        정호현 ( Hohyun Jeong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1960년대 국내 도시화율은 20% 수준에서 2007년도 현재 90.5%로 세계 최고수준에 달하고 있다(통계청, 2007).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농촌의 토지이용 또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토지는 인간과 자연의 조형물로서 토지의 이용은 한 지역의 인구 구조 및 형태, 산업 구조를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가 된다(최운식, 1998). 출산율 저하와 기대수명의 증가에 따라 국내의 인구는 외부충격에 취약한 형태로 바뀌고 있는데 특히 농촌지역은 교육 및 노동인력의 유출이 심화됨에 따라 급격한 노령화가 진행되어 정주권의 악화 및 각종 개발 사업의 시행 시 지역개발의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201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14%이상이 되어 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통계청, 2009). 토지이용의 변화는 시도와 같은 광역단위 뿐만 아니라 시군 또는 읍면과 같은 지역에서도 자산가치 변화 등 지가변동에 따른 변화를 주도하므로 토지이용에 따른 인구의 변화를 파악한다면 향후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을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농촌의 유지와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농촌 지역 토지이용과 인구 변화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예산군으로 선정하였다. 예산군은 충청남도의 북서부 지역 남북간 중간지역에 위치하며 북동쪽에는 천안시(38.8km), 아산시(22.2km)가 소재하는 지역으로 서해안 고속도로와 대전-당진간 고속도로가 부근에 위치하고 철도로는 장항선이 지나가고 있어 교통의 요충지로 행정의 중심지인 예산읍을 포함하여 2개읍, 10개면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분석결과, 예산군의 토지 이용현황은 2000년 기준으로 논 189㎢(34.8%), 과수원 12㎢(2.1%), 임야 253(46.7%), 대지 15㎢(2.7%), 도로 15㎢(2.7%), 수역 40㎢(7.3%), 유지 11㎢(2%)에서 2005년도에는 논 187㎢ (34.4%), 과수원 11㎢(2.1%), 임야 252㎢(46.4%), 대지 15㎢(2.8%), 도로 15㎢(2.8%), 수역 40㎢(7.4%), 유지 11㎢(1.9%)로 논이 0.4%, 임야 0.3% 줄어들었으며, 대지, 도로, 수역이 각각 0.1%씩 증가하였다. 인구현황은 2000년도 기준으로 총인구 101,692명(남:50,919, 여:50,773)에서 2005년에는 총인구 91,452명(남:45,990, 여:45,462)로 약 10%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인구구조는 2000년도 기준으로 15세 이하 16,700명, 노동인구(15세~69세) 76,556명, 노인인구(70세 이상) 8,436명에서 2005년에는 15세 이하 13,183명, 노동인구(15세~69세) 67,627명, 노인인구(70세 이상) 10,642명으로 15세 이하는 2%, 노동인구는 2% 줄어들었으며 반면에 노인 인구는 4% 늘어나 노령화가 진행되었다.

      • 경지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규모별 경지면적 변화 분석

        장우석 ( Wooseok Chang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우리나라 경지의 현실은 과다한 전용과 휴경 등으로 적정규모의 경지보전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지 면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감소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대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영농규모화 및 우량경지 보전 정책등 다양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경지의 정량적 증감 뿐만 아니라 규모별 변화 형태와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경지 면적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현재 개발된 모델들은 경지 면적 변화의 정량적인 예측치를 추정할 수는 있지만, 실제 경지 면적의 변화와 감소에 따른 특성, 규모적 특성, 지역적인 특성 등 다양한 변화요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수자원공사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예산군을 대상으로 1975년부터 2000년까지 경지면적의 변화를 규모별 경지면적 변화,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지피복도의 토지이용현황은 수역, 시가화, 나지, 습지, 초지, 산림, 경지, 밭의 8개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경지의 면적변화를 총 면적변화와 규모 특성에 따른 변화, 지역적 특성에 따른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총 면적에 대한 변화는 시작년도의 경지가 기준년도에 변화된 토지 이용현황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규모적 특성에 대한 변화는 경지의 규모를 1ha 미만 면적, 1ha~2ha 면적, 2ha 이상 면적으로 구분하여 시작년도의 경지와 기준년도의 경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적 특성에 대한 변화는 예산군의 12개 읍면별로 지역을 구분하여 각 읍면별로 시작년도와 기준년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각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산군의 경지 면적은 1975년부터 2000년 까지 전체적으로 42.3% 감소하였다. 경지의 총 면적 특성에 따른 변화는 시작년과 기준년을 비교하였을 때 시작년의 경지는 기준년에도 경지로 유지 되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나지, 초지, 습지 등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규모적인 특성 변화에서 시작년의 소규모 경지는 중규모, 대규모 경지에 비하여 기준년에 경지 이외의 토지이용으로 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특성 변화에서 예산읍, 덕산면 등 산업화 및 시가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의 경지 면적의 변화율이 타 지역의 경지 면적 변화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공동체 중심의 스마트빌리지 프로세스 모델 개발

        박소연 ( Park So-yeon ),정남수 ( Jung Namsu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2

        A community-centered smart village process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rural field forum.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echnology demand according to the digital capabilities of leaders by community type, village types were classified and detailed technologies were defined. The smart village process was proposed to enable residents to operate autonomously by inducing continuous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conception stage, planning stage, implementation and self-reliance stage, and allowing them to cooperate together. The business model canvas was reconstructed to be used in the workshop. It was applied to the village of Yesan-gun. As a result of running a resident workshop using the business model Cambus, the lack of resident awareness and illegal garbage dumping were presented as the first problems to be solved. The value of the village was set as ‘a village that is clean and clean with a sense of residents, and a good place to live’, and users were expressed as ‘family’ and ‘outsiders’. It was suggested that we meet frequently to convey the value of the village by using broadcasting and announcements as a channel to convey the value. Core activities were to cultivate residents’ consciousness, such as implementing a campaign against illegal garbage dumping, and to establish and guide separate collection sites. When a garbage collection center is installed, it was estimated that around 2 million won per month for management costs,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it was possible to spend an hour or so twice a month to solve the problem of illegal dumping. If a method to derive village projects based on the derived business model canvas is developed in the future, it will be more practical.

      • AHP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정기점검 모델 체계방안연구

        이창범 ( Changbeom Lee ),정남수 ( Namsu Jung ),박승기 ( Seongki Park ),전상옥 ( Sangok Jeon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저수지 정기점검목적은 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기능성 및 결함원인 등을 조사·측정·평가하고 필요시 적절한 보수·보강방법 등을 제시함으로써 재해를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을 증진시켜 시설물의 안정성 및 공공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 나라의 수리시설물은 70%이상이 농업기반공사 관리시설로 이 중 50%이상은 시공한지 30년이상 되어 노후화 된 시설물이며 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과 농업기반시설 관리규정에 의하면 유지관리 대상 시설물은 그 중요도에 따라 1, 2, 3종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들 수리시설물은 전국에 산재하고 있어 목적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지관리에 있어 시설물에 대한 평가와 관리방안, 관리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농업수리시설물은 일반토목구조물에 비해 항상 물과 접하는 환경으로 동결융해 등에 대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피할 수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설계의 개념이 초기투자비를 가능한 최소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아 유지관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구조물에 있어 개설 등의 초기투자보다는 기존 구조물의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다. 또한, 개보수 또는 정밀안전진단 의뢰의 우선순위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이론적으로 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이를 경험적인 과거의 자료로부터 규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본 연구에서는 정기정검 모델 개발에 있어 체계를 갖추고 농업용시설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목적한 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저수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세부구조물과 여러부위에서 나타나는 성능저하현상을 분류하고, 각각의 성능저하현상이 저수지 전체의 안전도 또는 기능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개보수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지닌 전문가집단 (농업기반공사 시설진단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며 조사된 데이터를 통해 AHP기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산정하고 세부구조물에 가중치를 반영한다. 세부구조물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정기정검 모델 개발을 통해서 모델 적용함으로써 정기정검 후손상 및 결함에 대해서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진단된 내용을 토대로 개보수 또는 정밀안전진단이 실시된다면 손상 및 결함에 대해 빠르게 대처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농촌지역 인구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박주석 ( Jooseok Park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급격한 도시화와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는 1990년에 1.59명, 2003년에 1.19명으로 저하되고 있으며 이는 2001년 EU국가에서 최저 출산율을 보인 이탈리아(1.24명)보다 낮은 수치이다(김정옥, 2005). 이와 함께 경제발전과 보건기술의 발달로 고령인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농촌지역은 노동인구의 이농현상과 맞물려 도시지역에 비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농촌지역인 예산군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1995년에 10.46%이었던 것이 2000년에는 14.06%로 상승하고 2008에는 21.07%로 매우 가파른 상승을 하고 있다(통계청). 최근 농촌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농촌지역개발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사업의 효과적인 수행과 운영을 위해서는 적정한 규모의 농촌주민이 확보되어야 하나, 노년층에 편중된 농촌의 인구구조는 급격한 인구감소를 유발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사업성과 달성이 불투명하다. 현재까지 농촌지역 인구에 대한 연구는 인구 유입·유출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 추정에 관한 연구, 사업인구 변화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인구수 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기적인 사업효과를 담보하기 위한 인구구조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인 예산군의 12개 읍면을 대상으로 인구구조 변화에 대하여 살피고, 인구구조의 편중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건전성을 측정하는 다양성 지표를 적용하며, 인구 유출입과의 관계를 파악 하고자 한다.

      • 지역특성을 고려한 향토자원 산업화 방안연구

        송동현 ( Donghyun Song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본 연구에서는 2008년 2009년의 농촌진흥청에서 예산군을 대상으로한 향토자원 조사내용과 2005년도 예산군 산업통계와 충남지역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지역의 향토자원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의 주제가 될 수 있는 대상자원의 선정과정과 지역의 산업구조를 바탕으로 사업분야의 도출과정, 파급효과를 고려한 사업내용의 결정과정을 연구하였다. 예산의 향토자원 조사결과 거처, 생가, 묘소 유형은 추사고택과 남연군묘 순서로 가치평가와 산업화 가능성 높게 나타났고 동· 식물 유형은 예산 백송, 천년나무가 가치평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적·사적지 유형은 대흥 임존성, 김정희선생 유적 순으로, 특산물 유형은 사과와 쪽파가 가치가 높은 것으로, 향토축제 유형은 의좋은 형제 축제, 추사 문화제 등이 높게 조사되었다. 기타 자원으로는 수덕사, 예당저수지 등이 가치와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추사를 중심자원으로 선정하였다. 사업체기초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사업분야를 설정한 결과 입지계수의 경우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이 6.26으로 가장 높았으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조사업계수의 경우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았다. 이는 현재까지 농림수산식품부와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산업개발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들이 기존의 입지계수를 기반으로 한 특화산업으로 분화되지 않고 대부분이 농식품에 집중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정성적 평가에 그쳤던 향토산업 육성사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사업계획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다양한 지역에 적용하여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are local resource industrialization projec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but a lack of method for being adapted from survey of local resources to industrialization. In this research, we research on an local resources industrialization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employment, and needs. This research is composed with three parts such as resource assessment, main manufacturing area selection, and project contents development. In first step, local resource lists are gathered and graded by expert survey with the item of importance and industrialization possibility. In second step, we proposed project assistant coefficient with numbers of enterprises and employment data by manufacturing are gathered in national and target area level. In third step, we propose questionnaire survey items for developing project contents based on customer needs.

      • 주민참여형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이원 ( Wan Lee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우리나라의 농산어촌은 인구 감소로 인한 읍·면소재지의 서비스기능 약화, 삶의 질 및 정주 환경의 열약함, 고령화로 인한 복지 시스템의 필요성, 지역 공동체의 존립의 위험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농산어촌의 중심지 개발을 위하여 1972년 도읍가꾸기를 시작으로 2012년부터 현재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까지 다양한 정책들이 실행되었다. 읍·면소재지의 종합정비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시행하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일부로써 전체국토의 80%이상 분포하고 있는 일반농산어촌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과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시되어지는 사업이다. 사업의 대상으로는 마을, 소생활권역, 읍(동)면소재지, 도심지로 구분되며 유형별 사업으로는 읍(동)면단위종합정비사업, 마을귄역단위종합정비사업, 신규마을조성사업, 기초생활인프라정비사업으로 분류가 되고 각각 기초생활기반 확충, 경관개선, 역량강화, 소득증대의 기능별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지는 정책 및 사업들은 기존의 하향식 방법이 아닌 지역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는 상향식 지역개발정책이 도입되고 있다. 충청남도의 희망마을 만들기,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활성화센타 등 마을단위의 사업에서는 현재 주민참여를 통한 마을발전계획수립 및 사업들이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에 있어서 주민참여를 활성화 하는 방안 및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청군 단성면, 홍성군 갈산면을 대상으로 수립되어진 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기본계획을 토대로 계획수립 과정에 있어 소재지 내 주민들의 참여 방식과 의견반영사항에 관하여 분석하고, 주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주민참여형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마을관리협동조합 지원방안

        박주석 ( Jooseok Park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이하 마을관리사협)은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 종료 후 도시재생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하여 지역 유지관리 및 공동체 활성화를 추진하는 사회적협동조합이다. 즉,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공급된 생활 SOC 등 기반시설을 유지 및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다(국토교통부, 2021). 2018년 국토교통부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 주민을 중심으로 한 협동조합인 마을관리사협을 육성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2017년 도시재생뉴딜사업지를 대상으로 마을관리사협 시범사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마을관리사협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지자체 유관기관과의 협업은 물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을 도시재생지원기구로 추가 지정하고 지역기반 금융기관이 회계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국토교통부, 2018). 그러나 2022년 7월, 국토교통부는 새정부 도시재생 추진방안 설명회에서 새정부 도시재생 추진방향 아래 마을 운영·관리 등 주민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사업은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추진토록 하였다(국토교통부, 2022).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적극 지원하던 마을관리사협이 신규사업부터 제외된 것이다. 충남 예산군 예산3리는 2019년 도시재생뉴딜사업(주거지지원형)에 선정되어 본 사업을 통해 조성될 기초생활인프라를 유지·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예산3리 마을관리사협을 2021년 9월에 인가를 받았다. 예산3리 마을관리사협은 기반시설을 활용하여 마을관리소, 스터디 카페, 마을상점, 주민 평생교육원데이 클래스, 방과 후 돌봄, 노인 헬스케어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자 관련 교육을 통해 역량을 높이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마을관리사협 운영 사업계획을 자체 작성하여 공공지원 초기운영비를 지원받아 운영 중이다. 마을관리사협은 2018년 4곳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22년 8월 현재 108곳을 설립하였다(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2020.08.30.). 2018년 마을관리사협을 본격 육성을 추진할 당시 국토부에서는 조합 초기운영비를 5천만원에서 9천만원까지 상향 추진이 계획되어 있었으나, 2022년 7월 사업체계 개편으로 지자체 자체운영체계로 변화되어 사업 종료 후 도시재생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역주민들의 역량을 높이고 지역의 변화를 노력하기 위해서는 사업기간인 3~4년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짧은 시간 내에 성과의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 종료 이후 모니터링을 통한 정책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