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에 따른 해외 전원계획모형 사례 분석

        김지후(Jihoo Kim),명준용(Junyong Myeong),이창근(Changkuen Lee),허진(Jin Hur)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4

        탄소중립(Net-zero) 사회로 나아가는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한국 역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수행하고, 디지털 및 그린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는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전원이 향후 전력 시스템에 크게 기여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변동성이 큰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기존 전력망에 추가될 때 전력시스템의 안정성 측면에서 그리드의 확장 및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최적화된 전원 배치 및 효율적인 송전망 설계를 위해서 재생에너지원의 출력 특성과 더불어 기존 전력시스템의 특성과 향후 계획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한 종합 도구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용량 확장 모델인 전원계획모형(이하 RPM, Resource Planning Model)을 소개한다[1]. 또한 콜로라도의 전력 시스템이 적용된 RPM-CO모델을 활용한 예비 시나리오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발전원의 최적화 배치의 특성화, 지역적 전력 시스템 중장기 계획 수립과 급전을 위한 새로운 분석 도구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