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과학자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

        이창근(Chang G. Lee),정선양(Sun Yang Ch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2

        고급 두뇌의 국제적 유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우수한 해외 과학기술 인력의 유치는 국가 혁신역량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역두뇌유출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정리하여 해외우수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요인들을 파악하였고, 이 요인들을 베트남 출신 해외과학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①높은 급여수준, ②적합한 연구여건, ③자녀교육 여건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과학자 예우문화, 능력경력 발전기회는 중요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한 급여수준에 대해서는 현 베트남 과학기술자들의 급여수준에 비해 파격적인 대우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 결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international mobility of the high-caliber manpower increases, recruitment of the brain from overseas become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national innovation capacity. This paper reviewed the theories of reverse brain drain, summarized the factors for recruitment of the brain from abroad, and empirically analyzed priority of the factors through the survey on overseas scientists from Vietnam, using conjoi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high-level salaries, proper research environments, and environment for child education were the important factors. Factors such as scientists respect culture and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are not considered important. This paper shows that the exceptionally higher salary should be paid and it also indicates that the policy determination from Vietnam government should be made accordingly.

      • KCI등재

        한중과학기술협력 장애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논의

        이창근(Chang G. Lee),황두희(Doohee Hw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1

        본 고는 한중과학기술협력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이다. 효과적인 논의를 위해 관련 문헌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조사를 통하여 문제점과 그 원인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 협력대안을 고찰한다. 동 논의의 심화를 위해, 이론으로 기술협력 논의에서, (지식)자원기반 관점과 거래비용 관점을 중심으로 과학기술분야의 글로벌 협력 동인을 분석의 틀로 적용한다. 본 연구는 한중과학기술협력 사례를 기반으로 양국 협력의 부진한 요인을 과학기술혁신 역량의 차이(STI gap), 협력수요의 차이(collaboration needs gap), 정보의 차이(information gap)와 같이 제안한다. 위 세 가지 동인과 현상의 차이(gaps)에 대한 한중과학기술협력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STI차에 대한 대안으로 과학기술과 산업이 융합된 협력사업 추진, 부처간 또는 산학연 연계 협력사업 시행, 대중국협력 협의체 구성 · 운영 등이다. 협력수요 차이 극복방안으로 지방정부 등 협력대상 다변화, 협력중심 패러다임 변화, 다자협력체제 활용 등이다. 양국의 정보 차의 해소를 위해 중국전문가 육성, 중국인과학자 유치, 한중청년과학자 교류 확대, 동북3성 등의 한인과학자와 교류 추진 등을 제안한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diagnoses the determinants which have been not promoted in Korea-China science and technology collaboration. We discovered three gaps: the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capability (STI) gap, a collaboration needs gap, and an information gap. Based on these three gaps, we suggest ways in which Korea-China S&T collaboration can be promoted. Firstly, the differences in STI capabilities on each side, it would be necessary to encourage cooperation in S&T status. The implementing cooperative projects between ministries,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and organizing and operating a collaborative body for fostering R&D collaborations. Secondly, awareness of the gap in collaboration needs is necessary to diversify collaboration targets for bod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shift the paradigm from competition-oriented to cooperation-oriented, and foster participation in multilateral cooperation systems. Thirdly, to cope with the information gap, it was proposed to cultivate experts on China, recruit Chinese scientists, and promote personne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as well as promote cooperation with ethnic Korean scientists in China.

      • KCI등재

        기술혁신역량의 개도국 전수를 위한 전략 연구

        이창근(Chang G. Lee),김종주(Jong Joo Kim),정선양(Sun Yang Ch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3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에 관한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선․후진국 간의 빈부격차는 심화되고 있으며, 일부 성공사례를 제외하면 개발도상국의 기술혁신 역량의 향상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IST 설립 사례를 분석하여 개발도상국 측의 흡수역량과 더불어 선진국 측의 새로운 역량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를 ‘공유역량(transplanting capacity)’이라 명명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흡수역량의 핵심요소, 즉 사전지식의 정도 및 노력의 강도에 대비되는 공유역량의 핵심요소로서 개발경험의 성문화(codification), 현지화(localization), 그리고 의지(committment)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지구 온난화 및 감염성 질병 등 글로벌 이슈에 공동대처, IT기술의 발달 및 신생기술의 출현에 의한 개도국의 혁신 가능성 확대, 개도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공유역량의 확보가 개도국 지원 차원뿐만 아니라 선진국 자신을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역량임을 보여준다. Great attention has been paid to absorptive capacity (AC) as a mea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owever, few developing countries have demonstrated real succes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technologies and economies. Glob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contagious disease, etc. require more active cooperation betwee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This paper makes the novel argument that the donor’s transplanting capacity (TC) should be developed and coevolved in concert with the recipient country’s AC. Review of the literature shows that AC depends on a prior knowledge base and an intensity of effort. In this article, we analysed the case of KIST and suggest that codification of development experience, localization of innovation capacity, and donor committment comprise the core elements of TC. Nonaka (1994) argued that interaction between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can synergize to increase the overall store of available knowledge. Development experience, which leans heavily toward tacit knowledge, should be transformed into explicit knowledge for more efficient technology diffusio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s of recipient countries vary from those of their donors, which is why innovation capacity should conform to local conditions in order to make transplantation smoother. Donor committment is also critical for successfully transmitting valuable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