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공간디자인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구-역량중심교육과정 개발 중심으로-

        이종세 ( Jongse Y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건강을 위한 가치관의 변화는 의료 환경의 지속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예방의학과 고령사회를 대비한 소규모 의원부터 대형종합병원, 의료복지시설, 실버타운 등은 새로운 재활 및 치유환경 창출의 디자인 능력과 첨단시공 및 자동화방법을 습득한 전문 의료디자이너의 필요성을 갖는다. 의료시설의 디자인과 유지 및 관리능력을 지닌 전문적 의료공간디자이너로서 차세대를 선도할 융합형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개발이 필요로 하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방안으로서 본 연구는 의학과 공학 그리고 디자인학이 융합된 국내 최초로 설립된``의료공간디자인학과``의 교육을 실무역량중심의 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방법)첫째, 국내·외 의료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고찰한다. 둘째, 의료공간디자인 관련된 해외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의료전문으로 특화되어있는 건축 및 인테리어 설계사무소, 시공회사 등의 자문을 받아 특화된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무역량 중심의 교육모델 연구를 통한 자료 분석으로 융합적 의료공간디자인의 교육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한다. (결과)의료공간디자인의 특성화 및 교육 전략은 치료환경 및 치유환경 창출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형 실무교육을 특성화하는 것이며 특히, 실습교육과 연계한 공간디자인 트랙과 공간관리 트랙을 별도로 운영하게 된다. 전공의 차별화된 교육으로 첫째, 의료공간디자인 트랙을 이수한 학생은 친환경 시설을 바탕으로 건강한 치유공간과 다양한 의료기기의 최적 활용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치료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학문분야로 병원, 요양시설, 재활시설은 물론 건강기능 공간의 디자인을 담당한다. 둘째, 의료공간관리 트랙은 차세대 의료산업과 연계된 설비 및 시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셋째, 의과대학, 의과학대학, 간호대학 및 대학병원과 연계한 통합설계 및 현장교육을 강화하여 졸업 후 실무형 전문가로 진출하도록 교육 과정을 수립한다. (결론)의료공간디자인학과의 현장 적합형 실용인재 양성 교육은 졸업역량 기반의 융합형 디자이너를 교육하는 것이다. 교육프로그램 이수에 따른 관련 자격증을 취득과 대학병원 등과 현장 연계형 교육과정 운영으로 졸업 후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의 시설관리, 의료공간관련 설계사무소 및 건설회사, 친환경 설비, 의료보건 및 복지시설, 시설관리 공무원 등으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change in the level of importance of health for individuals is demanding regular and constant upgrad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Thus, medical organizations, from small medical clinics to hospitals, government medical provision centers, and Silver Towns, require professional medical environment designers to create new environments for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spaces and construct modern structures with automatic systems. Therefore, a new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medical environment designers who are capable of maintaining and supervising medical facilities is necessary for the upcoming medical era. The following research suggests a change to the "medical space design program," a study of design by combining studies of medicine and engineering, to extend students`` maximum capability to work as professional medical environment designers. (Method)First, aligned with changes to the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industry``s paradigm, early research and consideration of reference materials was conducted. Second, the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of foreign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have content about medical space design, were analyzed and advice from construction and interior designing companies with medical space design experience was requested to develop effective and innovative directions for the current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Last, research was conducted on an education model that focuses on enhancing students`` executive abilit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and analyze. This process is critically helpful in creating an optimal education model for the "medical space design program." (Results)The strategies of the "medical space desig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o specialize the hands-on exercises at the actual work place to enable students to generate medical treatment and healing environments. Two tracks of space design and space management will be taught separately along with hands-on exercises for each track. One differentiated part of the program is that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structure medical space where medical equipment and machines can be utilized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and healthy healing space based on the value of environment friendliness. The students will be involved in medical space designing work in small and large hospitals and other medical organizations or medical treatment centers. Second, the space administration track is to train professionals who have problem solving skills to efficiently manage modern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he new medical industry. In addition, the students will go through experience-based education by participating in medical space designing projects in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hospital. This enhances their capability to handle hands-on duties for better performance in their future careers. (Conclusions)In summary, the new field-base "medical space design program" intends to produce well-rounded designers who are capable of being allocated to field projects immediately following graduatio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long with hands-on projects of creating medical spaces for the university hospital and collecting related skills certificates, will be a milestone for students to reach their successful destinations and positions in society.

      • KCI등재

        버내큘러적 공공디자인의 혼종성에 관한 연구

        이종세 ( Yi Jongs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아이디어와 정보, 문화의 교류는 역사의 어느 시점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정 장소에서 발생되는 고립적인 문화적 현상은 더이상 수용자의 호감을 주지 못한다. 대부분의 개발 도상 국가들은 탈식민주의 이론과 포스트모던의 사유적 모델에 의존하고 있으며, 도시의 마케팅 전략은 예술가와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방법론을 강요하고 있다. 시간과 장소의 자유로운 이동 속에서 도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교섭의 장으로서 다양한 이미지들을 통합하고 상호 발생적인 이질성을 수용해야한다. 또한 도시의 거주자는 복잡한 이중 코드화속에서 상호 상충하는 잡종적 기호와 은어적 속성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른 공공디자인의 방향성 또한 일상의 가치와 사유의 지점으로부터 지역의 전통성과 공유적 공동체를 지향하고 공공재의 사유화가 아닌 상호협력체계로서 그 가치가 발현될 수 있어야 한다.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혼종적 특성에 대한 미적 재해석과 함께 다양한 공공도시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베내큘러의 탈 식민주의적 문화비평 해석과 함께 다양성의 포스트모더니즘 구조 안에서 버내큘러적 디자인에 대한 시대적 가치와 이론을 고찰한다. 다음 3장에서는 비평적 담론 속에서 공공디자인의 실천적 사례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혼종적 특성을 현대미학 기반으로 유형화함으로서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혼종적 특성은 첫째, 수용미학의 변증법적 관점에서 신체성과 전위성의 관계적 특성을 갖으며 인간성 회복과 사용자의 감정이입에 중점을 둔다. 둘째, 폐허미학으로서 불확정성과 재구성성의 상상력이 동반되며 이중성과 미정성의 맥락적 독해가 요구 된다. 셋째, 일상 순응적 감각의 유추와 변형, 재분배, 탈영역적 특성이 나타나고 사회적 확장성이 기대된다. (결론) 공공도시디자인은 기술과 재료 또는 형태나 유형의 접근이라기보다 디자이너의 태도이며 그것을 대하는 사용자 스스로의 투영된 모습일 것이다. 버내큘러적 콘텐츠는 세계화, 도시화, 현대화 그리고 이민화 되어가는 세계의 도시 마케팅 측면에서 문화적 재생산의 창조성과 확장성으로서 요구되어진다. 이에 따른 버내큘러적 공공디자인의 방향성 또한 일상의 가치와 사유의 지점으로부터 지역의 전통성과 공유적 공동체를 지향하되 공공재의 사유화가 아닌 상호협력체계로서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혼종성에 대한 가치가 발현될 수 있도록 지속적 논의가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oday’s world the exchange of ideas, information, and culture proceeds unprecedentedly fast. The inherent, isolated cultural phenomena from specific region no longer gives favorable impression to people. Most developing countries rely on post-colonial theories and postmodern ‘thought models, and the urban marketing strategy demands new methodologies from artists and designers. In the free movement of time and place, cities must integrate various images and accept mutual heterogeneity as a place of continuous negotiation. In today's world the exchange of ideas, information, and culture is proceeding faster than at any point in history, and the isolated cultural phenomena occurring in a specific place no longer give the audience a good feeling. Most developing countries rely on post-colonial theories and postmodern thought models, and urban marketing strategies impose new methodologies on artists and designers. In the free movement of time and place, cities must integrate various images and accept mutual heterogeneity as a place of continuous negotiation. (Method) This course examines the values and theories of the era of vernacular design within a postmodernist structure of diversity, along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post-colonial cultural criticism of vernacular design. In the next three chapters, the applicability of public design is explored through practical examples of public design in critical discourse, and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are categorized based on contemporary aesthetics, thereby presenting the direction.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First, based on the dialectical perspective of receptive aesthetics, it has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ity and avant-garde, and focuses on the restoration of humanity and empathy of users. Second, as a ruin aesthetic, it is accompanied by imagination of uncertainty and reconfiguration, and contextual reading of duality and uncertainty is required. Third, analogy, transformation, redistribution, and out-of-region characteristics of adaptive senses appear, and social expansion is expected. (Conclusions) Public city design is depended on the attitude of the designer, rather than technology and materials, or form or type; it is a reflection of the users themselves. Vernacular content is required for creativity and expandability of cultural reproduction in terms of globalization, urbanization, modernization, and migration in all cities in the world. Subsequently vernacular public design should also aim to nurture local tradition and a sense of community from the point of everyday values and thoughts. However, the writer has expectation over continuous discussion that could materialize the value of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as a mutual cooperation system rather than privatization of public goods.

      • KCI등재

        유리와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BM(Business Model)에 관한 연구

        이수림 ( Surim Jeissca Lee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유리는 건축, 인테리어, 그리고 생활소품으로 흔하게 쓰이는 소재이다. 유리는 과거에 가공이 어렵고 빛을 투과시키는 소재적 특성 때문에 종교건물에 상징적인 의미로 쓰였다. 산업시대에 들어가면서 여러 가공법을 거치게 되면서 유리의 품질이 점차 좋아지게 되었고, 그 결과 유리의 소요는 늘어갔다. 외부로부터 빛을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차단시키는 특성으로 인해 건축에 기능적, 장식적인 요소로 많이 쓰였다. 유리의 품질이 좋아지면서 유리가 건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창문에서 건물의 마감재로 범위가 넓어졌다. 흔하게 사용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유리를 더 특별하게 써 볼 수는 없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 질문을 토대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흔한 재료를 흔하지 않게 사용하는 것, 유리에 새로운 가능을 추가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새로운 경험 가치를 창출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유리 소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들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기술동향을 조사하여 앞으로 나아갈 디자인 방향과 BM의 방향을 예측해보자 한다. 디스플레이의 역사, 현재의 기술, 기술동향을 특허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의 발전 가능성과 나아갈 방향을 새로운 BM을 설계하고자 한다. 유리에 관해서는 유리의 종류와 건축유리, 그리고 유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에 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 두 가지 분야의 선행조사를 바탕으로, SWOT 분석틀을 이용해서 투명디스플레이 기술과 유리가 만났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제시와, 구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BM제시를 하고자 한다. (결과) 유리는 빛이 투과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이 가능하다. 유리로 구현된 공간은 주변을 투영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색다른 공간감과 장엄함 또한 느낄 수 있다. 브랜드의 이미지를 반영한 건축 외벽과 내부 구조물 등, 유리 공간자체로 브랜드를 대신하고 이를 통해 특정 브랜드가 인식 되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 공간이 사람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사람들의 시선과 관심을 머무르게 하는 효과를 기대 수 있다. (결론) 투명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충분한 요소이고 넒은 면적에 쓰이게 될 경우 사람들의 시각과 관심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른 광고 효과와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경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고정돼 있는 유리건물과 유리면에 새로운 형태와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현, 투명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공간을 건축물로 한정 짓지 않고, 팝업스토어나 움직이는 스토어 즉, 트레일러와 같은 형태로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에 적용을 하게 되면, 이로 인한 광고효과와 파급력 또한 클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방식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공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분야라고 기대된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방식의 디스플레이 방식과 기존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더 나은 방향의 디자인 방향과 적용 방식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Research Background) Glass is a commonly used material in architecture, decoration, and life props. Glass used to have a symbolic meaning in the past due to its lack of processing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that transmit light. Entering to the industrial age, glass production increased, and glass began to be manufactured in factories, improving its quality. As glass transmits and blocks light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used as both functional and decorative elements in architecture. As the quality of glass got better, the portion of windows on walls became wider, and called a “glass curtain wall.” The question is whether glass is being used in a special way, and this question started this research. Commonly found materials but use as different ways, commonly used glass, add new function and enhance of utilization for create new experience values. (Method) In this study, architectural projects that have used glass in unique ways and the technical trend of transparent displays were researched to propose a new design direction and BM. History of displays, current technologies,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patents were researched, an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the trend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s, design and BM proposals were made. A case analysis of glass, architectural glass, and structures that feature glass were conducted. Based on these fields, the SWOT analysis framework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glass in transparent displays, and was used to propose effective applications of transparent displays and specific BM. (Result) Glas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images according to the angle of light transmitted. Space designed by glass can also project images that reflect the surrounding areas, thereby creating a sense of awe and grandeur. The exterior walls and internal structures, and the glass space itself, can be the image of a brand. Also, the effects of glass space can tempt people’s visual curiosity and hold their gaze and interest. (Conclusion) Transparent displays ensure people's eyes and attention are secure. It can also create experience values that lead to the promotion of advertising and behavior. Given new forms and styles of transparent displays of spaces, such as a pop-up store or a moving store or shop, the effec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forces are also expected to be enormous. These types of transparent displays are expected to be used in many areas, regardless of space and location.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to complement the new ways of transparent display and to suggest better design direction and applications.

      • KCI등재

        고령자 주방공간의 디자인 방향성 연구

        오미현 ( Oh Mihyun ),이종세 ( Yi Jongs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한국의 고령자는 한국전쟁을 경험하고 근현대에 청년시절을 보낸 세대로 한국의 전통공간과 아파트 , 서양식 문화를 경험한 세대이다. 아궁이 부엌과 입식주방의 변화, 냉장고, 식기세척기, 오븐 등 첨단기술발전을 경험하지만 조리 및 식습관의 식문화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령자가 현재 거주하는 공간에서 주방 공간 사용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한다. 궁극적으로는 변화되는 사회 환경에 맞도록 고령자의 새로운 주거 공간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령자를 위한 주방 공간의 실태분석으로 현장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실태조사는 2019년 6월부터~8월까지 4가구를 방문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 설문조사를 위한 평가요인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10월부터 12월까지 107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평가요인을 바탕으로 추출한 설문지를 1:1로 작성하게 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분석결과는 SPSS 통계전문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확성과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주방의 작업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주방설비 영역이였다. 반면 작업대의 면적과 재질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수납장은 하부장의 형태-하부장 높이-수납장문개폐방식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납장의 개수와 상부장의 높이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주방공간의 조명환경에서는 자연채광은 집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에 대한 재료 및 재질에서 가구는 세라믹/대리석과 원목을 선호하였으며 재료 선택에 있어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안전성과 청소의 용이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미적 효과를 고려하는 사용자는 가장 적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로 제안하는 고령자를 위한 주방공간의 디자인방향성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주방공간의 개선은 주방의 면적, 작업대, 식사공간, 수납환경을 중점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주방가구에서는 작업대의 면적을 넓히고 수납가구 중에서 상부 수납장의 형태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고령자의 주방공간에 자연채광이 더 유입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lderly in South Korea is a generation that lived through the Korean War and spent their youth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y have experienced both―traditional Korean living spaces as well as Western-style houses and apartments. They saw changes in the furnace type kitchen and walk-in kitchen as well as changes through high-tech technological developments like refrigerators, dishwashers, and ovens. Despite all these changes, their way of cooking and eating has remained largely unchange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residential kitchen spaces are used by the elderly and analyzes the problems they fac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data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residential space design for the elderly to help them align with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a survey to understand kitchen space usage of the elderly. Before the survey, a fiel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obtain evaluation factors needed for creating the questionnaire. The field investigation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elderly individuals conducted at their homes during June-August 2019; four households were visited. Coming back to the survey, it targeted 107 elderly persons during October-December 2019. The participants had to fill out a survey questionnaire 1:1 which collected their opinions. The analysis findings were used to derive results that can secure accuracy and objectivity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In the kitchen counter, the kitchen equipment provided the highest satisfaction. Meanwhile, the area and quality of the kitchen counter were sources of low satisfaction. The kitchen cabinets,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lower cabinets and their door operators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contrast, the number of cabinets and the height of the upper cabinets were less important. Regarding the kitchen material and quality, ceramic/marble and hardwood materials were preferred for the furniture. Safety and ease of cleaning were the top priorities while selecting the materials. Meanwhile, the least number of participants considered the aesthetic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improvements must focus primarily on space utilization, kitchen counter, dining space, and cabinets. Second, the kitchen counter must be extended and the design of the upper cabinets must be improved. Third, the design must allow the kitchen space to be illuminated with natural light.

      • KCI등재후보

        홀로닉 상관구조를 통한 공간표피의 분석

        서민지 ( Minji Seo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환경의 다양한 변인들을 수용해나가는 공간표피는 인간과 가장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매개적 역할로써, 끊임없는 형태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홀로닉 구조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상관적이고 맥락적인 이해를 통해 공간과 표피의 관계및 동향 등 그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내외부의 경계를 구분 짓는 마감재라는 고정된 인식으로부터 탈피하고, 다양한 환경의 요구조건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편재성(ubiquity)을 갖춘 표피로써 인식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그에 따라 인간의 기대와 환경적 요구에 어떻게 부응하여 디자인될 수 있는지를 ‘상관관계의 흔적’이라는 요소로써 대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홀론의 사상한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표피는 다양한 요구가치에 부응한 물리적인 기능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연계된 가치를 촉발시킬 수 있는 확장된 역할언어를 가질 수 있다. 모든 존재의 홀론은 부분적 특성들이 필연적인 관계맺음으로써 파지되고 발현되기 때문에 사상한적으로 상관관계의 흔적을 파악해야 한다. 이처럼 표피는 인간의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외피기능의 인공시스템이지만 의식과 제도의 변화 등 서로의 관계에 깊이 맞물려 작용해왔기 때문에 현재는 자의적 해석에서도 즉각적으로 반응가능한 열린계로 진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상한적 이해의 결과로 표피를 ‘살아있는 시스템’인 유기체라 간주하였고, 그것은 철학가들의 존재생성방식에 대한 사유로 접근하여 풍부한 조망을 얻고자 한다. 살아있는 시스템인 표피의 가치적 특성은 가상적, 물리적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자 하였고, 물리적 확장 가치에 대해 물질적 또는 행위적 문제를 이해하고 수반하며때로는 환기시킬 수 있는 지략적이고 지능적인 방법론인 모듈시스템은 가변적, 구조적, 표현적, 기능적인 접근으로 분석하여 파악하고자한다. 또한 사상한의 결과로 도출된 의지적, 행동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 대한 특징요소를 추출하여 표피가 갖는 상관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결과)모듈시스템을 적용한 표피의 구축 사례를 6개로 선정하여 텍토닉의 ‘앎’과 ‘드러냄’, 홀론의 사상한적 ‘내면’과‘외면’을 중심으로 가상적 측면과 가상적 특성을 형(形)으로써 노출시킨 물리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첫째, 표피는 상관적 특성을 수용한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고 있다. 단일적인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던 표피는 가상적, 물리적으로 확장된 역량을 갖추며 유기적인 매개체로 소통하고 있다. 둘째, 표피는 모듈시스템의 방법을 통해 재구성 및 변화의 촉진이 용이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감응체로 존재가치를 지닐 수 있다. (결론)서로가 서로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상관적·맥락적 이해를 통해 표피의 잠재적 가치를 기대해볼 수 있었다. 표피는 언제나 요구조건에 따라 물리적인 변화를 도모하고 있는 과정 중에 놓여있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표피는 점차적으로 주변의 현상을 더욱 민감하게 읽어내는 열린 시스템의 변화를 가지게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다. 모듈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변모해나가는 시간성에 동참하기 어려운 공간구조에 설치함으로써, 가변성을 가질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이 되기 때문에 모듈화를 통해 표피의 활성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Surface spaces that embrace a range of environmental variables play a mediating role that directly connects with humans and enables continuous morphological change.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relations between spaces and surfaces and trends by theoretically studying holonic structure will provide a framework. This framework does not adhere to the outdated conception that drawing boundaries is a finishing material, and lay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 ubiquitous surface that can respond to al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elements of relations” in terms of how designs can be created according to human expect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Method) By understanding the quadrant elements of holons, surfaces can be seen to have physical functions that adapt to the demands and expanded language of roles, which can trigger social and cultural value. All types of holons can be formed and destroyed by certain relations, so understanding quadrant traits within these relations is crucial. As such, although a surface is an artificial system of cortical functions established by human needs, since surfaces are closely related to concepts and institutional change, they can evolve into open systems that can immediately respond to surroundings. By understanding quadrants, thus, surfaces can be regarded as organisms, or “live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surfaces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ers who questioned existence. This study classifies the elements of surfaces as live systems and analyzes module systems using an intelligent methodology that incorporates a variable, structural, expressive, and functional approach.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ve traits of surface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ntional, behavior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at arise within quadrants. (Results) Six surface construction cases are analyzed using a module approach in terms of the virtual side and physical side, which exposes the hypothetical nature of shapes, including tectonics “knowledge” and “demonstration,” and the “interior side” and “exterior side” of holon quadrants. The results show, first, that surfaces with correlative characteristics play a connecting role. Surfaces that used to have single function now play the role of organic media with hypothetical and physical capabilities. Second, surfaces can easily accelerate change or restructuring using module systems; thus, surfaces have existing values as sensitizers, which can lead to lasting change. (Conclusions) By correlatively and contextuall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n each other, the potential value of a surface can be estimated. Surfaces are continuously involved in a process of physical change according to condition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is predicted that surfaces can gradually transform to open systems that can sensitively read the environment. By setting up a module system within a space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keep up with temporality, the system can be design methodology with variability. In this regard, vitalization of surfaces using the module system can be expected.

      • KCI등재

        감각자극요소를 적용한 독립형 호스피스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김성배 ( Seongbae Kim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보건의료 수준의 향상과 국민 소득의 증가로 국민의 평균 수명은 연장되고 있지만, 개인의 생활습관과 환경의 변화로 각종 암 발생률에 의한 입원 환자 및 사망자수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률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난다. 2016년부터 웰-다잉(Well-Dying) 문화조성과 관련하여 자치법규를 재정하는 지자체가 늘어남에 따라 호스피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관련 법규 정비 및 지원 사업을 통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호스피스 시설이 증가하고 있지만, 병원 내부 병동의 일부를 호스피스 병동으로 리노베이션하는데 그쳐 특화된 호스피스시설의 계획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기암환자들과 환자의 가족들에게도 쾌적한 호스피스시설에서 임종까지 남은 시간을 편안히 보낼 수 있도록 필요충분조건으로서의 감각자극별 치유환경요소들이 적용된 독립형 호스피스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호스피스 시설의 유형 중, 환자와 가족들의 접촉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독립형 호스피스시설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치유조건에 필요한 감각자극요소들의 도출을 위해 근거중심디자인(EBD, Evidence Based Design)방법론을 통해 정리된 4가지 치유환경 요소의 하위 항목을 도출하고, 호스피스시설 계획에 적용 가능한 항목들을 감각자극별로 분류하여 치유환경의 특성으로 제시한다. 그 다음은 분류된 감각자극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독립형 호스피스 사례를 통한 분석과 검증의 단계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각자극별 세부요소를 통한 말기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시설의 치유 환경에 대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치유필요조건으로서 감각자극별 세부요소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감각자극의 세부요소를 토대로 국내·외 독립형 호스피스 시설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 샘물 호스피스는 시각자극요소에서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청각, 후각, 촉각자극요소 중 일부 부족하거나, 부재한 항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성모 꽃마을 호스피스는 시각과 후각자극요소에서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청각과 촉각자극요소 중 일부 부족하거나, 부재한 항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현 호스피스는 시각, 청각, 후각요소에서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촉각자극요소에서 부족하거나 부재한 항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외의 덴마크 쥬르슬란드 호스피스는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모든 면에서 양호하게 감각자극별 세부 요소가 적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국 휴스턴 호스피스는 시각, 청각, 후각요소에서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촉각자극요소에서 부족한 항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치유필요조건으로서의 감각자극별 세부요소를 적용한 독립형 호스피스시설은 말기 암이라는 죽음의 공포로부터 발생되는 환자와 환자가족들의 상실감, 무력감,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꿔줄 수 있는 치유환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치유환경개념 및 요소에서 추출된 감감자극별 세부요소와 호스피스 시설과 관계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서 각 감각에 긍정적인 자극으로 인한 부교감신경의 육체적 전달과 감성적 공간의 경험은 환자와 환자가족들에게 육체적, 정신적인 치유환경을 제공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number of diagnosed patients and deaths caused by all kinds of cancer has significantly grown, due to rapid changes in personal lifestyl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onversely, however, the use of hospice services has reached an all-time low. The central government has also been providing moderate support in numerous ways, including asking legislators to add more hospice facilities, yet challenges face the future of hospice planning, as practical changes have been limited to merely renovating a hospital ward into a hospice war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model for hospice care, as a freestanding hospice incorporating natural healing elements from sensory stimuli in the environment. To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uch a space is both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patients to live in comfort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Metho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reestanding hospice. The research method is to identify the sensory stimuli needed for healing conditions and use the Evidence Based Design method to classify whichever elements may be applied to the planning of hospice facilities. What follows thereafter are the analysis and verification steps taken to study the freestanding hospice case, based on the details of the classified sensory stimuli.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s a specific direction for the design of hospice facilities. (Results) In this stud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ensory stimuli, while analyses of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freestanding hospice facilities were performed and based on the details of sensory stimuli. Consequently, the elements of visual stimuli of the Saemmul Hospice were good overall. The Sungmo Kotmaeul Hospice`s elements of the visual and olfactory stimuli were good overall. Whereas, the Mohyeon Hospice`s elements of the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timuli were good overall. Hospice Djursland of Denmark rated well across all elements of the sensory stimuli. Houston Hospice`s elements of the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timuli were good overall. (Conclusions) Free standing hospice facilities employing detailed elements of sensory stimuli for healing can offer a healthy environment that may positively change negative thought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etails of the sensory stimuli extracted from the concept and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s maintain such a critical relationship with hospice facilities in that the very physical transmission of parasympathetic nerves and the experience of sentimental space yielded by positive stimuli on each sensation provide a physically and mentally healing environment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공공디자인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오병찬 ( Byungchan Oh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eo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자치단체마다 공공디자인사업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위해 전담부서를 설치하는 등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역 현안사업들이 시작되었으나, 서울시처럼 지휘부에 디자인 전담부서 설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단일 부서에 소속된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 공공디자인팀 사업은 통합추진이 어려운 실정이다. 지방자치단체 대부분의 부서에서 부서명과 비슷한 공공디자인 관련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공디자인관련 법제도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타부서와의 연계와 협력이 없고서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공공디자인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들을 조사하고 상위 법제도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현재 처해 있는 중앙과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정책 및 법제도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지방자치단체 공공디자인 사업의 문제점 파악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유형을 분석한다. 공공디자인 사업은 충청남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공디자인과 관련 사업으로 한정하며, 공공디자인 사업과 추진 주관 부서들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사업에 영향을 주는 중앙부처의 경관법, 공공디자인법, 건축기본법등 공공디자인과 관련된 법제도를 연관 지어 중앙과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사업 추진 정책과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며, 분석된 문제점을 유형화 하여 현행 법제도의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지금까지 이루어진 공공디자인 정책들은 한 가지 제도를 기반으로 그 영역에 속한 조직이 단위사업을 추진하게 되면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에 특화된 모습을 보여주는데 한계를 보여 왔다. 한 지방자치단체 각각의 부서에서 유사한 공공디자인 사업을 추진하고 서로 다른 공공디자인 결과가 나오는 기존 협의의 공공디자인 개념에서 부서의 경계를 넘어서는 광의의 공공디자인개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광의의 공공디자인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서간의 협력업무가 선행되어야 한다. 거의 대부분의 부서를 아우르는 광의적 개념의 영역에서 공공디자인사업에 대한 부서간의 소통과 정보공유는 필수적인 요소다. 두 번째로 공공디자인사업을 총괄 추진할 수 있는 부서의 설치가 필요하다. 총괄추진부서는 상위조직 개념보다는 제도적 협력 관계의 개념으로 부서간의 협동과 소통이 강조된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사업은 공공의 영역이 맞닿아 있는 공중과의 협의 없이는 추진이 불가능하므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와 마인드 향상을 위한 교육이 추진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Local government projects have been launched through public design, such as establishing a dedicated department for local activation of public design project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a department dedicated to designs similar to the city of Seoul, and in most of the provinces,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public design team projects. Most of the departments of local governments have public design projects similar to those of larger institution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various public design-related legislative roads. In the absence of coope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public design project becomes impossible. Through an analysis of public design projects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legislative system and public design policies, and legal systems with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 would like to propose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public design projects that are being pursued and identify problems in such projects overseen by local governments. (Method) The public design business is limited to public design and related projects promoted in Chungcheongnam-do, and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ublic design business and promotion-related departments. It analyzes the problems of policy and system of public design project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y linking the legal system related to public design, such as landscape law of central government affecting business, public design law, and building basic law. I will als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solving structural problems with the current legal system. (Results) So far, public design policies have been limited in that local autonomous entities can show their specialization in a specific area, as the organizations in the area are promoting the unit business based on one system.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the concept of public consultation, wherein different local governments promote similar public design projects and the results of different public designs to the broad concept of public design, beyond the boundaries of departments.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the broad public design proposed in this study, cooperation among departments should be ensured. Communic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public design projects in the broader concept of almost all departments is essential.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partment that can promote the public design business. The general promotion department emphasize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departments per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cooperation, rather than through the superior organizational concept. Finally, public design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cannot be promoted without consulting the public. Therefore,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for continuous and aggressive public relations and mental improvement.

      • KCI등재

        고속도로휴게소 화장실 확장에 따른 감성적용 디자인 개발

        이범동 ( Boumdong Lee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고속도로 휴게소는 2016년 한국도로공사 주관 `혁신화장실 개선사업`을 통해 낡은 화장실의 시설향상과 고객만족 이라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개선 후 자체적 설문조사 결과 좁은 공간으로 인한 불편함은 여전히 아쉬운 부분으로 남아 있고, 자율주행 자동자의 등장과 상용화라는 미래적 조건에 맞춰서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면 기존 휴식의 행태 변화에 따른 편의공간의 비중은 축소될 것이며, 인간의 기본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화장실 공간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래의 화장실은 고정적 구조와 면적에서 벗어난 물리적인 공간의 확장이 필요하며, 생리적 욕구해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인간의 다양한 감성적 욕구 충족을 위한 장소로써의 개념변화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적 가치로서 새로운 개념의 감성 중심적 화장실의 모델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 첫째, 사회 환경적 변화에 따른 휴게소의 기능변화 예측을 기반으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 모습의 변화 가능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모색하였다. 둘째, 현재 화장실의 면적 산출 기준과 실제 적용여부, 적용한 기준의 타당성을 서울 만남의 광장 휴게소를 비롯한 4개소의 각기 다른 화장실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장실 공간을 다섯 영역(Working, Waiting, Moving, Rest, Experience)으로 분류하고 기능적 공간과 감성적 공간의 적용비율을 분석하여 면적 적용률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기존 화장실은 오래된 과거면적산출기준의 적용으로 인한 공간의 협소함이 공통적 현상으로 도출되었으며, 감성적 공간의 적용 비율 또한 모두가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준대비 적용된 공간의 면적이 넓을수록 감성적 공간의 적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의 새로운 모델 제시는`물리적 공간의 확장`과`감성적 공간의 확장`의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2016년 개선된 화장실 4곳을 비교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실제 증축 예정중인 경부고속도로 칠곡 휴게소 화장실을 콘셉트 화장실의 제시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결론)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은 차와 운행 방법의 기술적 변화와 함께 휴게소 사용자의 패턴 변화에 따른 공간적 변화가 요구되어지며, 화장실 공간 또한 단순한 `해소`의 공간을 넘어 `비움`과 `채움`을 통한 감성적 재충전의 공간으로서, 시간이 연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해야 함이 인식된다. 현대인의 감성 충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공간으로서 본 연구의 디자인 제안이 다가올 시대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 공간 설계에 기본적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6,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achieved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ld lavatory through “The Innovative Lavatory Improvement Project.” Following a self-survey that revealed travelers` desire to make use to the digital features of the space based on the idea of sharing experience and making memories especially,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pace`s narrow physical footprint still remains as an unsatisfactory part after the improvement. In addition, there is an opinion that fundamental innovation i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commercializ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that will bring the needed change to existing rest area behavior. Therefore, the lavatory in the future needs to undergo expansion of the physical space outside the fixed structure and the area, an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concept of the highway rest area (HRA) from being just a toilet area to a full-featured lavatory that can satisfy various human emotional des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lavatories in HRAs of Korea, and as a futuristic value, to propose a new lavatory design applying emotional-centered adaptations. (Method) First, based on various predictions of the HRA du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possibility of the lavatory`s shape change in the future HRA was explored several years ago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the current calculation standard of estimated area of lavatory and actual application was analyzed with four HRAs that have been remodeled since 2016, including the Man-Nam Square HRA. Lastly, the space of the lavatory was divided into five areas―working, waiting, moving, rest, experience―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plied areas was examined after the application ratio in functional space and emotional space was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arrow space,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he calculation standard in the old past area, represents a common phenomenon, and that despite the number of facilities with technical advances, and the application rate of emotional spaces was still low. However, the larger the area of applied space compared to the standard space, the higher proportion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space proportio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ept of a new lavatory design in HRAs was put forth with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expansion of emotional Space.” The proposed lavatory design is for the Chilgok Rest Area in the Gyeongbu HRA, which is scheduled for completion at the end of this year. (Conclusions) Future lavatory for HRAs is necessary to meet the spatial change requirements of the futuristic car and driving behavior. Also, the lavatory space should be recognized as a space of emotional recharging as well as technological recharging, through the technique of “emptying and filling emotion” beyond “physical relief.” The design proposal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hange the lavatory in HRA into a special space that can be helpful to modern people for charging their emotions and also to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the design of lavatories in HRAs for the future generation.

      • KCI등재

        공간 분위기의 미학적 언어 해석에 관한 연구

        진제스민 ( Jin Jasmine ),이종세 ( Yi Jongse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분위기는 모호한 감정과 주관적 느낌의 일상적 표현 언어로서, 현재 예술,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혼용된다. 그런데 미학 개념으로서의‘분위기’는 기상학에 어원적 근거를 두고 있다. 이에 미학의 범주로 사용되는 분위기가 공간의 자연적 현상들과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연구의 목적은 기상학적 분위기의 개념적 해석을 통해 미학적 공간 분위기를 검증함으로써 미학의 분위기 개념과 기상학적 분위기와의 관계적 이해를 돕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 및 범위) 이론적 범위는 미학, 현상학, 기상학으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국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의 차별화와 객관성을 입증한다. 둘째, 국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미학적 분위기의 개념적 특성과 이해적 접근을 도출한다. 셋째, 기상학적 분위기의 해석에 미학의 분위기 개념의 이해적 접근을 적용하고, 관련된 공간예술 작품 속에서 공간 미학으로서의 ‘분위기’를 해석하여 가설을 검증한다. 넷째, 검증된 내용 들을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결과) 첫째, 국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미학의 분위기 개념은 의미적, 존재적, 인식적으로 접근하여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상학적 분위기의 개념적 속성은 생산성, 다중성, 주체성, 은유성, 통합성, 생명성으로 파악되었으며, 관련된 공간예술 작품을 분석한 결과 기상학적 분위기의 모든 개념적 속성들과 연관되어 있었다. 셋째, 기상학적 분위기의 대기적 현상과 대상 환경인 ‘날씨, 경관, 안개 ’등이 이미지화되어 미학 작품의 회화적 표현 기법으로 적용되어 있었고, 이후 설치예술의 주체적 대상에 다루어지다가 융복합기술의 도움으로 예술작품 그 자체로 발전하였음을 포착하였다. 넷째, 기상학적 분위기의 모든 개념적 속성들이 미학적 공간작품사례들과 연계되어 있음을 포착하였다. (결론)최종적으로 미학적 공간작품 분석으로 파악된 기상학적 개념의‘공간적 분위기’는 미학적 공간작품을 통해 ‘스스로 분위기를 뿜어내고 있는 존재’인 동시에 관람자(감상자)와의 상호 교호적인 관계를 통해 관람자에게 공감각적으로 인식되고, 정서적으로 체험되며, 은유적 상상력으로 사유되는 것임을 포착하였다. 이에 공간의 자연적 현상들을 통한 관계적 미학의 범주로의 기상학 개념의 분위기가 미학 개념으로 차용되었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Atmosphere is a language of everyday expression of ambiguous and subjective feelings, and is current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However, atmosphere as an aesthetic concept has an etymological basis in meteorolog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atmosphere used as the category of aesthetics is related to the natural phenomena of the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between the atmospheric concept of aesthetics and the meteorological atmosphere by verifying the aesthetic space atmosphere through the conceptual interpretation of the meteorological atmosphere. (Method) The theoretical scope is limited to aesthetics, phenomenology, and meteorology. The method of the study is first, to prove the differentiation and objectivity of research by examining previous domestic stud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aesthetic atmosphere and an understanding approach are derived by examining foreign prior studies. Third, apply the understanding approach of the concept of aesthetic atmosphere to the interpretation of meteorological atmosphere, and interpret the 'atmosphere' as spatial aesthetics in related spatial art works to test the hypothesis. Forth, the verified contents are comprehensively explained. (Results) First, the concept of atmosphere in aesthetics was understood by approaching it semantically, ontologically and epistemologically through the study of overseas prior researches. Second, the conceptual attributes of meteorological atmosphere were identified as productivity, multiplicity, subjectivity, metaphor, integrity, and vitality. Third, the atmospheric phenomenon of the meteorological atmosphere and the target environment, such as ‘weather, landscape, and fog’were imaged and applied as a pictorial expression technique for aesthetic works, afterwards, it was treated as a subjective object of installation art and discovered that it developed into a work of art itself but with the help of convergence technology. Fourth, it was captured that all the conceptual properties of meteorological atmosphere were linked with the cases of aesthetic spatial works. (Conclusions) Finally, the meteorological concept of 'spatial atmosphere' by the analysis of aesthetic spatial works, is 'a being that emits an atmosphere of its own' through aesthetic spatial work, and at the same time, it was captured that the spectator with is perceived as synesthetically, emotionally experienced, and thought through metaphorical imagination through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pectator.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atmosphere of the concept of meteorology as a category of relational aesthetics through natural phenomena of space was borrowed as an aesthetic concept was tested.

      • KCI등재

        지역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에코뮤지엄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진 ( Sujin Kim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산업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국가, 도시 그리고 지역들의 경쟁력과 문화적 가치는 더욱 주목되고 있다. 이는 현대인들의 문화적 충족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증가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역의 정주적 환경 및 장소성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지자체들은 지역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문화정체성 구축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문화와 장소성은 중요시되고 있으며 지역 활성화 전략의 핵심수단으로 에코뮤지엄을 도입하여 지역 가치상승의 다양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고유의 유산을 보존 및 개발하여 차별화된 지역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가치를 밝히고 지속적인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지역문화공간과 에코뮤지엄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여 에코뮤지엄이 장소성을 구축함을 파악한다. 구축된 장소성을 부각하기 위해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의 구성요소 5가지를 도출하고, 부각된 장소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적 특성요소 4가지를 제시한다. 앞에서 도출한 장소성 관련 요소들을 바탕으로 국내외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에코뮤지엄 조성의 가치적방안을 검증한다. (결과)첫째, 대부분의 에코뮤지엄은 지역의 유·무형의 유산을 보존·활용한 장소 자산과, 지역주민의 능동적 참여, 그들에 의해 주도되는 네트워크, 박물관 및 연구 활동을 가지고 장소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은 지역문화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이룩함으로써 지역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장소성을 부각한다. 셋째, 에코뮤지엄의 지속가능적 특성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교감, 소통, 공감, 공유할 수 있는 끌림이 있는 매력적인 공간을 조성하여 부각시킨 장소성을 유지한다. (결론)본 연구에서 지속적인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에코뮤지엄의 조성으로 지역과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관광증진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으며, 지역민의 교육과 문화의 장이 되고, 쾌적하고 윤택한 환경의 조성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어 사회적·문화적·경제적·환경적인 가치가 창출되었다. 장소에 내재된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과거에 뿌리를 두고 미래를 위해 현재를 연결하는 에코뮤지엄은 사람과 공간을 잇는 정서적 문화공간으로써 지역의 장기비전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지역발전의 대안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도시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문화적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기대 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paradigm shift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competitiveness and cultural value of the countries, cities and regions are picking up more attention. This is due to the growing desire for cultural fulfillment and quality of life in modern people and the growing interest in local settlement environment and place that can satisfy them. Therefore, to have locally cultural uniqueness and competitiveness,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interest over the strategy of “Place Marketing” through cultivating cultural identity. In the modern society, culture and place are important, and the eco museum is introduced as a key means of regional activation strategy, showing various achievements of local value enhan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eco museum in terms of location marketing that can enhance differentiated regional image by preserving and developing local heritage. (Method)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ltural space and the eco museum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eco museum`s strategical effectiveness.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structed place, five element of eco museum are derived from applying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four elements of sustainable space composition are proposed to maintain the highlighted property of place. We analyz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stories bas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lace of locality derived from the above and verify the value of the eco museum. (Results)First, I found out the majority of the eco museums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created the places with the well-preserved of local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network led by them, and research activities. Second, the eco museum, which uses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not only promotes local culture but also promotes local economy, thereby creating a synergy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the place. Third,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eco museum strengthen its locality by creating charming space that engenders atmosphere suitable for exchange of feelings, communicate, share common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people around them. (Conclusions)In this study, the eco museum for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he local culture has l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local and local residents, better off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promoting regional tourism, the education of the local people and culture. As a result,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s are enhanced. The eco museum is an cultural space and a communication platform that links people and space to discover the potential value inherent in the place, create new value, and connect the present to the future roots in the past. Creating such future-oriented region will serve as another form of communal development, and serve as a cultural asset to strengthen c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