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로경관이미지와 가로공간의 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 : 상업지역 가로와 업무지역 가로를 중심으로

        이재원 (Rhee Jaewon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보행자의 시지각(視知覺)에 의해 느껴지는 가로공간의 이미지는 업무지역의 가로인 경우 쾌적한 이미지로 느껴지고 상업지역의 가로에서는 번화한 이미지로 느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러한 가로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가로공간의 구성요소들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업무지역과 상업지역의 특성이 두드러진 총 16개의 지역 가로를 연구대상으로 정하고 이러한 가로이미지를 형성 하는데 관여하는 가로공간의 구성요소 중에서 구조적 요소와 비구조적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가로 구성요소들 간의 판별분석과 빈도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가로공간의 구성요소 중에서 구조적인 요소가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로공간의 구조적인 요소에 의해서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하지 못할 경우 비구조적인 요소의 적절한 비중에 의해서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 지역특성이 요구하는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조성하는 자료로 활용되어 지역의 정체성 구축에 이바지 할 수 있다. It is desirable that the image of street space felt by vision and perception of a walker is felt pleasant image in a street of business area and thriving image in a street of commercial area. On basis of this preceding study the researcher studied how much the form of this street image had correlation with factor of street space. The researcher was focused on discovering the correlation of organizational element and non-organizational element out of factor of street space which participated in forming this street image after prescribing total 16 areas of street which the character of business area and commercial area are prominent as study object. In the study method the researcher studied in the center of mean valu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mong street components. As the study result it was appeared that the structural element out of factor of street space had important effect on forming the image of street space and the researcher could know that it could form the image of street space by appropriate weight of non-structural element in the case of not forming the image of street space by the structural element of street space. This study result can contribute to identification construction of the area by being utilized as the data which creates the image of street space which the area character demands.

      • KCI등재후보

        도심하천디자인 분석에 의한 하천경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여천천의 경관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창수(Lee Changsoo),이재원(Rhee Jaew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도시경관을 조성하는 디자인요소로서 하천경관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하천의 디자인은 단지 이수와 치수기능 등의 토목적인 기능을 만족시키는데 국한되지 않고 친수와 생태계복원 등의 자연친화적인 회복에 초점을 두고 고품격의 도시재생디자인이라는 차원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적으로 차별화되어 있는 도시하천 디자인은 경관디자인요소 중에서 어떤 요소에 차이가 있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우선 디자인이 완료된 하천의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해서 각 하천의 지리적인 환경특성 하천의 구조적인 특성 시설물이나 구조물의 밀도 등의 경관디자인요소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각 하천마다 시각적으로 다르게 느껴지게 하는 경관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각각의 하천이 보여주는 경관디자인의 주된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소를 평가한 결과 하천디자인은 경관디자인요소의 구조차이나 밀도차이 등에 따라 자연형 생태하천 거주자 여가 활용형 생태하천 인공형 생태하천 등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에 따라 도시경관을 특성화. 차별화 할 수 있는 하천의 경관디자인요소를 도출하여 자료화하고 이를 근거로 실제적인 지역하천 경관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하천경관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A river landscape as a design factor plays a role vital to the making of a town landscape. The designing of an urban river is not simply limited to civil engineering functions of enhancing the value of and keeping under control the water but is lively under way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habilitative designing with a smack of elevated elegance with a focus on the nature - friendly recovery of ecological systems water - friendliness and so forth. From such a perspective studies on the way a certain regionally differentiated design of an urban river differs from other designs in terms of specific landscape factors are in order. To start with we looked into geographical environmental featur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each river and landscape design factors such as the density of facilities or structur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landscape designing factors that make each river feels visually differ from the others were analyzed and main factors of landscape designs each river has in possession were derived. Evaluation of factors thus derived made it possible to divide river designs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a nature type ecological river ecological river serving as space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and artificial type ecological river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landscape design factors and density. Based on such outcomes design factors of river landscapes that can characterize and differentiate urban landscapes depending on the feature of the area in question were derived and kept in file for future references based on which suggested designs of the river landscapes applicable to actual designing of local river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보행공간 가로시설물의 색채적용 평가에 관한 연구 :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하정석(Ha Jeongseok),이재원(Rhee Jaewon),김성곤(Kim Sungk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보행공간의 가로시설물은 도시경관을 이루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디자인이나 배치방법은 사용자를 위한 환경을 만드는 수단으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행공간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형태적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색채적용에 대한 평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공간의 가로시설물 색채적용에 대한 평가정도가 보행공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례대상은 비교적 잘 조성되어 있는'디자인서울거리' 조성사업을 대상으로 색채이미지공간 분석을 통해 형용사적 언어이미지를 유추하였고 보행공간 가로시설물의 색상평가를 통해 조화와 부조화의 여부를 문과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을 토대로 미도와 색의 3속성 중 색상의 조화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보행공간의 공통되고 주를 이루는 색은 GY(연두)의 중성계열과'차분한' 등의 형용사 언어이미지를 유추하였다. 가로시설물의 색상 조화정도는 가로시설물이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것일수록 색상의 미도 값이 그렇지 않은 시설보다 높게 나타났고 또 유사조화나 대비조화가 많은 시설물일수록 색상의 미도 값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색계열(B) 또는 중성계열(GY G)이 디자인서울거리 보행공간 가로시설물에 많이 배색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면적이 넓은 가로수와 어울리게 색상배색을 동일조화나 유사조화로 배색하였다. 그리고 동일조화나 유사조화가 낮은 곳은 대비조화를 통해 가로시설물 색상의 미도 값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street furniture on the pedestrian space is one of important components creating the city landscape and its design or installation methods work as the means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users. In this aspect while a number of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street furniture on the pedestrian space has been performed the evaluation on color application has not been adequately examined yet.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what kinds of differences the evaluation on color application on the street furniture generated on the pedestrian space. The subject was the "Design Seoul Street"project where the pedestrian space was relatively well designed. The epithetic images were obtained by color image space analysis. The harmony of hue one of three properties of colors and aesthetic measure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color evaluation on street furniture on the pedestrian space on the basis of Moon & Spencer's Theory of Color Harmon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main and common color on each pedestrian space was the neutral color "GY(light green)" and the epithetic images including "calm" were inferred from the analysis. For the harmony of colors of street furniture the more it was harmonized with surroundings the higher the aesthetic value of color was. Furthermore the more the street furniture had related color harmony or contrasting color harmony the higher the aesthetic value of color was. In addition cold color(B) or neutral color(GY G) was arranged a lot on the street furniture on the pedestrian space in Design Seoul Street. The color arrangement was based on the same color harmony or related color harmony for good match with wide street. It was also found that for the pedestrian space with low same color harmony or related color harmony the aesthetic measure value of street furniture color could be increased by applying the contrasting color har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