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대학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및 이들의 관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의길 ( Eui Kil Lee ),김윤정 ( Yun J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의 성인 학습자들이 지각한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이것이 궁극적으로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 변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4학년도 2학기 국내 한 온라인대학 재학생 119명으로부터 수집된 인구학적 정보,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및 과목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학업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은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집단에서 높았다. 둘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나,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개입이 없이도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높았다. 셋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학습만 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과목 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소극적인 학습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by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e effects of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Data including subjects`` demographic information, interactions,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collected from 119 adult learners in an online university in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as higher in the higher-aged group or active group on intranet message board than the lower-aged group or inactive group on the board. Second,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increased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However, the active group on the board has shown the highest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ithou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ir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and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hile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and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s be provided systematically for those who are not active in social interaction to enhance their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이버 대학 강의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자 관련 특성 탐색

        이의길 ( Eui Kil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사이버 대학의 강의평가결과가 교수자들의 3개 특성 즉, 개인, 수업설계, 교수활동 특성에 대하여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에 국내 한 사이버 대학에서 2011학년도 1, 2학기에 개설한 515개 강좌의 강의평가점수와 3개 교수자 특성 영역에 포함되는 총 10개의 독립변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전임-비전임에 따라 개인, 수업설계, 교수활동 특성의 대부분 영역에서 상호 뚜렷이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특히 전임 교수자들은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수업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을 왕성하게 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임은 수업설계 특성, 비전임은 교수활동 특성에 따라 강의평가점수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임의 경우에는 전통적 방식으로 수업을 설계할 경우 점수가 낮았으며 비전임은 교수활동의 신속함과 왕성함의 정도에 따라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셋째, 강의평가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 전임은 수강인원, 정규시험배점, 상호작용배점, 비전임은 강의경력, 답변소요시간, 공지글, 답변글이 확인되었다. 전임과 비전임의 강의평가점수가 서로 완전히 다른 변인에 의하여 설명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교수자의 특성을 대규모 샘플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는점, 교수자의 효과성이 그들의 특성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확인하였다는 점,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사항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course evaluation scores were related to the instructor characteristics in 3 areas: personal,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rom the course evaluation results with 10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three instructor characteristics from 515 online courses in an online university. The analyses showed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the subjects showed distinct differences in all thre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status(full-time or non full-time). The full-time instructors more tended to apply the nature of online education to their courses than the non full-time ones. Second, the full-time instructors showed much variance in the course evaluation scores depending on their instructional design, while the non full- time instructors` scores were related to their teaching activities. Third, the instructor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course evaluation scores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status: full-time (number of students, score ratios of two official exams and interactions), non full-time(online course experiences, Q&A interval, number of instructor`s official notices, and number of instructor`s responses). These results meant that the course evaluation scores of full-time and non full-time instructors were explained by wholly different variabl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utilized large samples to check the online instructor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oposed a few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online instructor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멘토링 사례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의길 ( Eui Kil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이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보인 경험을 사례연구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성인학습자에 대한 멘토링의 교육적 의의가 작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사례가 제한적이어서 사이버 멘토링을 제대로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1) 이들의 참여동기, 2) 멘토링의 내용 및 상호작용 방식, 3) 멘토링이 멘토, 멘티에게 주는 영향력, 4) 장애요인 및 발전방향 등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A 사이버대학의 B학과에서 2012-1부터 2년 동안 이루어진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13명의 성인학습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각종 기록물, 이메일 면담, 초점면담 등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접근에 의하여 범주화된 후 패턴매칭논리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이 멘토링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온라인 학습에 대한 적응 및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향상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둘째, 주요 활동으로는 인지적 측면(온라인 학습전략, 자기주도학습 전략)과 정서적 지원, 모델링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경험학습이론과의 관련 속에서 의의가 있었다. 셋째, 상호작용의 방식은 멘토링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였으나 멘티와의 관계에 따라 의사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 후 멘토와 멘티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협력적 발전이라는 멘토링의 의미가 반영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멘토링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멘토의 역량 강화, 멘티의 동기 제고, 지리적 거리를 고려한 멘토-멘티의 연결 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천적 의의가 있으나 사례연구의 특성상 결과의 일반화에서는 제한점을 갖는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mentoring program based on case study approach.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re have not been enough efforts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cyber mentoring, while its educational value is not minimal.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articipants`` motivation, 2) activities and interaction, 3) influences of the program to the mentors and mentees, 4) barriers and recommendations. Thirteen adult learners who have joined in a mentoring program from a department of a cyber-university for two years from the 1st semester of 201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from several documentations, e-mail interviews, and focused-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the pattern-matching-logic after categorized by an inductive approa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motivations were based on the need to adjust themselves to the online learning and enhanc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Second, their main activities included cognitive activities(onlin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emotional support, and modeling, which were meaningful with the experience learning theory. Third, the types of interaction were various depending upon the activities, while the communication between mentors and mentees has not been effective in some cases. Fourth, almost every participant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fter the program, while these changes could be results of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mentoring. Finally, three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further programs as follows: strengthening of mentors`` capabilities, enhancement of mentees`` motivation, and matching of mentors and mentees considering their geographical distance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d with empirical information of the mentoring program with adult learners in a cyber-university, while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due to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case study.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몰입과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의 관계와 이들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의길 ( Eui Kil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 수강과정에서의 학습자 몰입과 토론과정에서의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이 상호 어떤 관계를 맺고 학습결과에는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한 온라인대학에서 개설한 강좌의 수강생 53명으로부터 몰입 선행조건(기술, 도전), 몰입, 학습만족도 등을 확인하였으며 내용분석을 통하여 토론에서 나타난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을 파악한 후 이들 변인이 학습결과(학습만족도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몰입은 선행조건 중 하나인 도전의 정도에 따라 달라졌으며 인지적 학습참여는 재생적 참여를 넘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의 선행조건은 몰입에 대하여 비교적 제한된 수준에서의 관계를 보였으며 인지적 학습참여는 학업성취도, 성적 등의 변인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몰입과 인지적 학습참여 간에는 직접적 수준에서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몰입과 인지적 학습참여는 학습만족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성적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였다. 이 결과는 사전 학업성취도가 몰입 및 인지적 학습참여, 그리고 학습결과 변인에 대하여 맺고 있는 높은 수준의 상관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콘텐츠 수강과 토론이라는 온라인 학습영역의 특성을 각각 반영한 변인으로 학습자 특성을 측정, 학습결과에 대한 이들의 설명력을 확인하였다는 점, 몰입과 인지적 학습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실제적 팁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levels of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flow in online learning contents and cognitive leaning engagement in online discussions,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course scor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that was composed of four constructs, flow, predictors of flow(skill and challeng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 contents analysis of the discussions by 53 undergraduate students taking an asynchronous online course in an online university. The analyses showed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flow level was depending on the perceived challenge, one of the predictors of flow, and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was in the level under the reproductive engagement. Second, there was a limited amount of correlations between flow and its predictors and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prior learning achievement, and course scores. There, however, was no correlation coefficient found between flow and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Third, flow and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individually, whereas no effects on the course scor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measure online students`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learning context and explored their influences to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integrated ways.

      • KCI등재

        온라인토론의 주제 유형에 따른 인지적 학습참여와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이의길 ( Eui Kil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문제해결전략의 활용을 강조하는 수렴적 주제와 다양한 의견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발산적 주제로 나뉘어 진행된 온라인토론에서 연구대상자의 인지적 학습참여와 사회적 실재감의 수준이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였다. 또한 사전 학업성취도 등의 변인과의 관련 속에서 성적에 대한 영향력이 함께 확인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한 온라인대학에서 교수학습이론을 수강한 78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그들이 수렴적, 발산적 주제에 따라 나뉘어 이루어진 두 차례 토론에서 남긴 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인지적 학습참여와 사회적 실재감 수준이 파악되었다. 이 결과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 및 성적 관련 변인과의 관계 속에서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학습참여와 사회적 실재감은 사전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거나 토론내용이 많을수록 높았다. 둘째, 연구대상자는 수렴적 토론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적 학습참여를 보였으나 사회적 실재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이 높거나 주전공자일 경우 수렴적 토론에서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이 더 높다는 점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셋째, 각 주제 유형에서 나타난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은 성적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나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주제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토론활동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 온라인 교육 실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CLE) and social presence (SP) by the topics in online discussions and their effects to test score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discussions by seven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taking an asynchronous online course in an online university and analyzed through a rating scheme for CLE and SP. The analyses revealed several important aspects. First, the subjects` CLE and SP tended to be higher when they had higher levels of previous achievement and participated in more discussions. Second, subjects` CLE levels were higher in the convergent discussion, while the SP level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wo discussions. In addition, the CLE levels seemed higher when the subjects were older or majoring in continuing education. Third, CLE statistically predicted the variances of subjects` achievements, while SP failed. This study was noteworthy in that it provided empirical evidences of the effects of discussion topics to students`CLE and practical guidances to online practitioner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분석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의 영향 탐색

        이의길 ( Eui Kil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시스템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의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2013학년도 1학기 국내 한 사이버대학에 등록한 재학생 중 1,1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인구학적 정보,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및 이에 대한 인식수준(모바일 자기효능감, 용이성, 유용성, 만족도), 학업성취도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할 때 최신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모바일러닝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보조자료의 제공, 동영상강의에 대한 확충 등이 보완사항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연령이 높은 연구대상자들의 모바일러닝에 대한 전반적 인식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 상황에서 모바일러닝 관련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기여하는 정도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모바일러닝의 유용성과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고려할 때 모바일러닝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mobile learning usages of adult learners and how their perceptions of the mobile learning affects their learning achievements in a cyber-university. 1,118 online adult learners who enrolled in a cyber-university in Korea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for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mobile learning usages, the perceptions of mobile learning(self-efficacy for mobile learning,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were colle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showed higher participation rates in the mobile learning with recently introduced mobile devices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y also showed the need of more learning materials and video streamed lectures. Second, the higher-aged subject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perception of mobile learning compared to the lower-aged group. Third, the effects of the subjects` perceptions of mobile learning to their learning achievement seem to be limited. It was recommen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mobile learning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 KCI등재

        SiCw / Al 복합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계면 현상에 관한 연구

        오혁진,방명성,이의길,남승의 ( Hyeok Jin Oh,Myung Sung Bang,Eui Kil Lee,Seoung Eui Nam ) 한국주조공학회 1992 한국주조공학회지 Vol.12 No.6

        N/A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Al /SiC interface reaction and the formation of Al₄C₃ compound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 /SiC composites prepared by squeeze casting were investigated. After squeeze casting, the size of dendrites in Al without whiskers were larger than those with whiskers. The hardness of composite materials (about 72Hv) was found to be approximating 40% higher than that of matrix metal (29Hv), which gradually increases which heat treatment Time showing maximum hardness at 12hr. The observation of increasing number of compounds in 12hrs heat treatment suggests that these compounds are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of hardness. By X-ray diffraction studies, tho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l₄C₃, (Al, Si). And intensity of Si peak increased. The tensile strengh of composite materials was gradually decresed by heat tretment, which was in contrast to the behavior of hardeness. With incresing heat tretment time, the fracture mode of composite materials was changed from large dimples and pull-out form of fiber to the fracture and rupture foum of fi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