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화의 비(非)서사성 연구

        안소라(Ahn, So Ra),이원석(Lee, won soe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그림과 더불어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것은 이야기이다. 문학, 영화, 연극 등 시간의 흐름을 다룬 예술의 경우 서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장르는 없다. 만화 또한 그러하다. 만화는 짧게는 한 칸짜리 카툰에서부터 길게는 수십 편에 이르는 장편만화까지 그림으로 서사를 진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화에서 서사를 다루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어쩌면 문학이라는 장르에서 이미 연구되어진 바가 있기 때문에 소홀히 다루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같은 시각적 이미지를 가지고 서사를 풀어가는 영화는 영화서사에 대하여 심도 있는 고찰을 하고, 그것을 또다시 실험적으로 변형, 확대하여 그 층위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면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하다. 따라서 부족하나마 만화의 서사적 접근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이 연구논문에서 다루게 될 서사는 비(非)서사 이다. 서사를 다루는 연구논문에서 비서사를 다룬다는 것이 아이러니 해 보일 수도 있겠지만 비서사 없이는 서사물이 존재할 수가 없다. 서사물 안에서 비서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서사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Ⅱ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문학이론 즉 서사이론에서 서사와 비서사에 대하여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Ⅲ장은 김한조의 『기억의 촉감』속에서 나타나는 비서사의 양식들을 분석하면서 만화의 비서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 볼 것이며, Ⅳ장은 제시했던 연구들에 대하여 정리하고 마무리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사는 만화에서 빠질 수 없는 구성요소이므로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져야 될 것이다. 이 연구논문이 만화의 서사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초석이 되길 바란다. Stories have existed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long with drawings. Any genre of art that discusses the flow of time, such as literature, film, and play, cannot be free from narratives. The comics are not an exception. The comics tell the narratives with drawings from the cartoons in single blocks to the full-length series in tens of volumes. Nevertheless,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discuss the narratives in the comics. They may have been overlooked because they have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However, I am envious of the field of film, which unravels the narratives with the same visual images, profoundly explores its own narratives and experimentally modifies and expands them into various levels. Therefore, I would like to make a narrative approach to the comics in this study. This study will discuss the non-narratives. It may sound ironic that the study of narratives will discuss the non-narratives, but the narratives cannot exist without the non-narratives. The non-narratives in the narratives compose the narratives in various ways. Therefore, Chapter Ⅱ will discuss how the theory of narratives in literature classifies the narratives and the non-narrativ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n, Chapter Ⅲ will analyze the forms of non-narratives in Han Jo Kim"s 『The Texture of Memory』 to discuss how the non-narratives of comics are composed, while Chapter Ⅳ will summarize the preceding studies. Finally, the narratives should be actively studied as it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comics. I hope that this study can lay the foundation for more in-depth discussions of the narratives in the comics.

      • KCI등재

        카툰의 서사 연구

        안소라(Ahn, So Ra),이원석(Lee, won soe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3

        카툰과 서사만화는 그 태생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cartoon" 혹은 ‘만화’라는 이름으로 아울러서 지칭된다. 그 이유는 카툰과 서사만화의 유사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카툰과 서사만화의 유사성은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장르라는 것인데 글은 만화에서 표현형식이 되기도 하지만 이야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서사’의 구성요소로서 존재한다. 만화의 세부장르로 카툰과 서사만화, 넓게는 애니메이션까지도 포함하는데 서사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경우 시간의 연속성으로 서사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카툰의 경우 주로 글과 연속성이 없이 한 칸에서 두 칸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서사의 존재에 대하여 반문하게 된다. ‘서사’라 하면 흔히 서사시 혹은 무훈시를 떠올리기 쉽다. 등장인물의 일대기를 다루기 때문에 보통 시간성에 의해 ‘서사’의 개념을 생각하지만 서사는 어떠한 사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그 범위를 넓게 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사건을 이미지로 제시하는 카툰에도 서사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서사만화의 여러 장면에 대한 설명을 카툰에서는 함축적으로 표현되는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함축적 의미는 여지를 남겨놓음으로써 수용자의 적극적 추론에 의해 그 빈 공간이 채워지게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툰의 서사에 대한 언급은 물론이거니와 연구내용도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사의 개념과 그 구조를 살펴보고 카툰에서 서사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한다. 먼저 카툰의 서사에 대하여 알아보기에 앞서 문학의 서사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만화가 글과 그림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그 기본적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서사이론에 대한 담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S.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에 제시 된 서사의 전제조건들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서사의 전제조건이 존재할 경우 서사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조건들은 ‘서사적 추론’, ‘선별’, ‘일관성’과 ‘경과진술’, ‘정체진술’로 S. 채트먼은 이것들이 서사의 전제조건이라고 설명하면서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스콧 맥클라우드가『만화의 이해』에서 기술한 「만화의 어휘」, 「시간틀」, 「선 속의 생명」등을 통하여 채트먼이 제시한 서사의 전제조건들이 카툰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표현되는지 알아보며 카툰에서 서사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Even though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were born from different origin, they have been called by names such as ‘cartoons’ or ‘comics’. The reason can be found in the similarity of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The similarity of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is the genre consisting of writing and drawing. Writing can be the format of expression and it can represent the story. Such story is present as a component of ‘narration’. Sub genre of comics includes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It includes animation in a broad range. In cases of narration comics and animation, it is thought that narration is present with continuity of time. However, in case of cartoon, because one or two cuts without continuity of writing are frequently expressed, it is being asked whether narration is present. It is easy to be reminded of epic or chanson de geste whenever you hear ‘narration’. Since it deals with a biography of the character, we think the concept of ‘narration’ with temporality. However, narration provides a certain event in a broad range. Thus, cartoons presenting one event with the image may have the existence of narration, because description of multiple scenes of narrative comics can be implicitly represented in cartoons. As such implications leave a space, the empty space can be filled by active reasoning of recipients. However,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tudies as well as mentions of narration in cartoons. Thu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narration and demonstrate the presence of narration in cartoons.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narration theory in literature before studying narration in cartoons. The reason is that we thought the approach to the literary theory was requi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sic elements, since cartoons are a collection of writing and drawing. We were focused on the prerequisites of narration presented in 『story and discourse』of s. Chatman. If the prerequisites of narration are present, we can assume that the narration is present. The prerequisites are ‘narration reasoning", "screening", "consistency", "process statements" and "stasis statement". As s. Chatman described them as prerequisites of narration, he analyzed the narration structures of films and novels. In addition, we revealed that the narrations were present in cartoons as we identified how prerequisites of narration presented by Chatman were presented and expressed through 「vocabulary of comics」, 「Timeframe」 and 「life in the line」 described in 『understanding comics』 by Scott McClou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