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소에서 일차적으로 기원한 저등급 자궁내막기질육종 1예

        이우희 ( Woo Hee Yi ),신규식 ( Kyu Sik Shin ),제구화 ( Goo Hwa Je ),이화선 ( Hwa Sun Lee ),백경돈 ( Kyung Don Bai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9

        자궁내막기질육종은 자궁육종의 비교적 드문 형태로 자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약 0.2%를 차지하고 있다. 저등급 자궁내막기질육종의 약 40%에서는 자궁외 부위에 전이된 상태로 진단된다. 난소에서 발생하는 자궁내막기질육종은 매우 희귀한 질환이며, 많은 경우에서 자궁내막증 또는 자궁에서 유사한 종양이 발견된다. 저자들은 난소에만 국한되어 명확히 난소 기원이라 할 수 있는 저등급 자궁내막기 질육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ndometrial stromal sarcoma (ESS) is a relatively rare form of uterine sarcoma. ESS of the myometrium compose just 0.2% of uterine malignant tumors, Low-grade ESS has extended beyond the uterus in 40% of cases at the time of diagnosis. ESS of ovary is very rare. Most of ovarian ESS is concomitant with endometriosis or same tumor in uterus. We have experienced a primary ovarian low-grade ESS, and that sarcoma is localized in ovary. So,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세포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 NV-196의 세포고사 유도 효과

        서동수 ( Dong Soo Suh ),주종길 ( Jong Kil Joo ),김승철 ( Seung Chul Kim ),이동형 ( Dong Hyung Lee ),이우희 ( Woo Hee Yi ),윤만수 ( Man Soo Yoon ),김기형 ( Ki Hy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2

        목적: 상피성 난소암세포(CP70, R182)에서 합성 이소플라본 유도체인 NV-196의 세포고사 유도효과를 조사하고, 이들 항암제에 내성을 보이 는 난소암세포에서 NV-196을 전처치하였을 때 세포고사 효과의 증강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상피성 난소암세포인 CP70 세포와 R182 세포를 NV-196의 0.1, 1, 10 μg/mL의 농도로 24시간, 48시간 동안 치료하였다. 세포생존율은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를 통해서, caspase 활성도는 Caspase-Glo assay를 이용하였다. 세포고사 경로의 확인을 위해 XIAP, caspase-2, Bid의 활성화는 western blot 분석을 하였다. 결과: NV-196은 CP70 세포와 R182 세포에서 모두에서 치료시간과 치료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두 세포 모두에서 caspase-3의 유의한 상승이 관찰되어 세포고사에 의한 세포생존율의 감소임을 알 수 있었다. Caspase-8와 caspase-9도 양 세포에서 caspase-3의 증가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Western blot 분석에서 XIAP의 불활성화와 caspase-2와 Bid의 활성화를 관찰하였다. 10 μg/mL NV-196을 8시간 동안 전처치하였을 때 CP70 세포와 R182 세포 모두에서 카보플라틴 또는 파클리탁셀로 치료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결론: NV-196은 세포고사를 통해 유의한 세포생존율의 감소를 유도하였다. NV-196의 전처치는 난소암세포를 카보플라틴이나 파클리탁셀에 민감하게 만들어 항암제내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NV-196, a synthetic isoflavone derivative, as a chemosensitizer in chemoresistant CP70 and R182 epithelial ovarian cancer (EOC) cells and to characterize the mechanism behind its sensitizing effect. Methods: EOC cells were treated with tenfold dilutions of NV-196 (0.1 to 10 μg/mL) for 24 and 48 hour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Apoptosis was assessed by Caspase-Glo assays and apoptotic cascade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XIAP), caspase-2 and Bid were characterized by Western blot analyses. Results: As a monotherapy, NV-196 showed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in both CP70 and R182 cells. A significant increase in caspase-3 activity was observed in both cells. Caspase-8 and -9 activation were also observed. Western blots demonstrated Bid and caspase-2 activation and cleavage of XIAP. NV-196 enhances the cytotoxic effects of carboplatin and paclitaxel. Conclusion: NV-196 induces cell death through the induction of apoptosis. Pretreatment with NV-196 may sensitize the ovarian cancer cells to carboplatin or paclitaxel. NV-196 may act as a chemosensitizing agent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cells.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타목시펜 사용 후 발견된 거대 자궁내막용종

        문수현 ( Soo Hyeon Moon ),이성의 ( Seong Eui Lee ),정인국 ( In Kook Jung ),정주은 ( Ju Eun Jeong ),박원영 ( Won Young Park ),이우희 ( Woo Hee Yi ),서동수 ( Dong Soo Suh ),윤만수 ( Man Soo Yoon ),김기형 ( Ki Hy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2

        Tamoxifen is a synthetic non-steroid anti-estrogen that has been used effectively for several years in the adjuvant treatment of breast cancer. But, the drug has been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endometrial poylp, hyperplasia and adenocarcinoma possibly mediated through its agonistic estrogen properties during the menopausal period in which estrogens are at a low level. Endometrial polyp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common endometrial pathology in association with postmenopausal tamoxifen treatment. We present the case of woman with a giant endometrial polyp of uncommon dimension who was receiving adjuvant tamoxifen for 5 year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