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이 직무도전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변화지향적 행동을 매개효과로-

        이외승 ( Lee Oe-seung ),임태오 ( Im Tae-oh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이 직무도전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변화지형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였으며,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잡크래프팅에 대한 직무도전성을 높여 주도적인 태도의 행동으로 직무에 도전성을 향상시켜서 서비스를 받는 수혜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인 관계크래프팅, 업무크래프팅 순으로 직무도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크래프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인 관계크래프팅, 업무크래프팅, 인지크래프팅 순으로 변화지향적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변화지향적행동인 주도적행동, 적응적행동 순으로 직무도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넷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이 변화지향적행동의 매개효과로 인하여 직무도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high-quality services to beneficiaries of services an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by improving job conductivity through leading attitude actions by enhancing job challenge for social welfare workers and mediating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job challenge.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challenge in the order of job crafting and job crafting, which are job crafting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and cognitive crafting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eco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hange-oriented behavior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crafting, work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which are job crafting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ir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challenge in the order of change-oriented behavior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leading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 Fourth, it was found that job crafting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hallenge due to the mediating effect of change-oriented behavior.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개인가치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 변화지향적 행동을 매개효과로 -

        이외승 ( Lee Oe-seung ),한소영 ( Han So-yo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개인가치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아동들의 안녕과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한 발달을 위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아동복지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개인가치인 내적가치만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개인가치인 내적가치, 외적가치 순으로 변화지향적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변화지향적 행동인 적응적 행동만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개인가치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변화지향적 행동이 매개역할을 통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so that the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y development by improving the happiness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and improving their satisfaction and quality of child welfare service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value, which is the personal value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happiness, and the external value did not affect happ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ues, which are the personal values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change-oriented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adaptive behavior, which is a change-oriented behavior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happiness, but leading behavior did not affect happiness. Fourth, it was found that change-oriented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value and happiness of local children's center workers.

      • 노인요양시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적응유연성을 매개효과로 -

        이외승 ( Lee Oe-seung ),이현경 ( Lee Hyun-kyoung ),정민수 ( Jeong Min-soo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2

        본 연구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는 ‘연령’대와 ‘결혼여부’ 상관없이 모두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며, ‘중학교 졸업’의 종사자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고, ‘대학원졸업 이상’의 종사자는 조직유효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며, ‘5년 이상’의 장기 근속하는 종사자에게서는 서번트리더십과 조직유효성 및 적응유연성에서도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기관의 규모는 ‘20명 이상~50명 미만’의 시설 종사자가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고, ‘50명 이상~100명 미만’의 기관에서는 종사자들이 적응유연성을 활용한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독교’가 서번트리더십에 순종하며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고, ‘불교’의 종교를 갖고 있는 종사자는 적응유연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요양시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적응유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요양시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로 인하여 조직유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적응유연성의 매개로 인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ffects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facility's head regardless of age group and marital status. Workers with middle school graduation are most affected by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facility, those with graduation or higher are most affected b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ose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long-term service were most affected by servant leadership,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daptability. As for the size of the institution, it was found that more than 20 to less than 50 facility workers were most affected by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facility's head, and more than 50 to less than 100 institutions affecte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sing adaptability, Christian was most affected by obedience to servant leadership, and Buddhism religion workers were most affected by adapt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adaptabil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ue to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head of the facility's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head of the facility's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ue to the mediation of adaptability.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

        이외승 ( Lee Oe-seung ),김훈근 ( Kim Hoon-geun ),이대구 ( Lee Dae-gu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가 자신의 업무에 만족감을 느끼고 조직몰입의 향상을 증대할 수 있는 결과를 겸증하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실천적 현장에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자신의 업무와 직장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인 규범적몰입, 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의 순으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인 규범적몰입, 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의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인 자신감, 자기조절의 순으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로 인한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on job satisfaction, to prove the result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feeling satisfied with their work, to suggest way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o suggest way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and workplace in the practical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uch as normative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uch as normative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which are self-efficacy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due to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개인가치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이외승 ( Lee Oe-seung ),이은미 ( Lee Eun-mi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개인가치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개인가치를 이해하여 서비스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가치와 서비스 질을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가치와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과 서비스 질은 유의한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가치와 서비스 질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가치가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회복탄력성 매개를 통해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매개효과가 없다고 나타났고, 개인가치가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effect of personal valu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on service quality,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service quality by understanding the personal valu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The results of analyzing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personal value and service quality, 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personal value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Third, resilience and service qua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value and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because personal value directly affects service quality and does not affect resilience.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요구가 조직잔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적응유연성을 매개효과로-

        이외승 ( Lee Oe-seung ),신은철 ( Shin Eun-cheol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요구가 조직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기관 발전에 종사자의 참여와 협력을 강조하였다는 점과 직업정체성이 매개역할을 확인하고 직장 문화의 회복을 통해 조직잔류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력에 있어서 ‘대학원졸업’이 직무요구, 직업정체성, 조직잔류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종교와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요구인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의 순으로 조직잔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역할갈등의 경우 조직잔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요인인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의 순으로 직업정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역할갈등의 경우 직업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업정체성인 자율성 신념, 직업소명의식, 공공서비스 신념의 순으로 조직잔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요구가 조직잔류간의 관계에서 직업정체성이 매개역할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workers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by verifying the impact of job demands on organizational residual,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role of job identity and to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organizational residu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graduate graduation'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was affecting all job demands, job identity, and organizational residual.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have much influence with religion. Second,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residual in the order of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which are job demands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residual in the case of role conflicts. Third,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which are job factor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identity, and role conflict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ident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uch as autonomy beliefs, vocational calling consciousness, and public service beliefs,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residual. Fifth, it was found that the job needs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residues through the mediating role.

      • 교회 노인대학 운영사례 연구

        이판석 ( Lee Pan Suk ),이외승 ( Lee Oe Se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2 사회복지경영연구 Vol.9 No.1

        현시대를 가르켜서 백세 시대라고 한다. 그러므로 자연히 연세 많은 어른들인 노인들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특별히 우리 대한민국은 급속도로 노령인구가 늘어나면서 초고령 사회가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교회 담임목사로 시무하면서 경험하였던 교회노인대학 운영 사례들을 이론적으로 논술하려고 한다. 첫째, 교회이다. 교회는 어떤곳이며 무엇하는 곳인가를 논한다. 둘째, 노인이다. 노인은 누구이며 어떻게 대하여야 하는가이다. 셋째, 운영사례이다. 교회에서 노인대학을 어떻게 운영하였는가 그 사례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한다. 이에 본 연구의 실제는 목회 현장에서 노인대학을 설립하여 운영하며 경험하면서 얻은 교훈들과 사례, 그리고 실천적인 것들을 이론화 시키어서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전통문화 예절속에 나타났던 옛 조상들의 효(孝) 사상과 효행 행동들을 후학들에게 전 하면서 아름다운 전통문화 예절인 효 실천을 이론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으로만이 아니라 실천적으로 행 하면서 전 하려고 하였던 노력들의 흔적들을 연구 기록으로 남겨서 효를 생활속에서 실천하는 일에 평생교육의 일환으로서 노인대학 운영에 이를 활용하였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 보게 된다. The present age is referred to as the Hundred Ages. Therefore, naturally, it is inevitable to take an interest in the elderly, who are adults of many years of age. In particular, Korea has become a super-aged society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oretically the cases of church seniority management experienced while serving as the church's senior pastor. First, it is the church. The church is what it is and what it does. Second, he is old. Who are the elderly and how should they be treated? Third, it is an operational case. The contents are developed focusing on the cases of how the church operated the senior college. Therefore, the actual practice of this study is to theorize the lessons, cases, and practical things learned while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senior citizen college in the field of ministry, and thus the HYO thought and hyoing of our ancestors that appeared i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etiquette. It i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to practice filial piety in everyday life by leaving the traces of the efforts to be carried out in practice as well as theoretically knowing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which is a beautiful traditional cultural etiquette, while passing it on to future generations as a research record. As a result, there is a desire to utilize it in the operation of the senior college.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점돌봄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경험이 노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소영미 ( So Young-mi ),이외승 ( Lee Oe-se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2 사회복지경영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점돌봄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경험이 노후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하는 데 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기존 유사·분절적 노인돌봄 6개 사업을 통합하여, 노인들의 욕구중심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의 다양화에 맞는 통합적이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보건복지부에서 2020년부터 3년차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연구결과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중점돌봄군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수행인력의 특성에 상관없이 일상생활을 충분히 유지 할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일관성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매뉴얼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행인력의 전문성을 위한 교육과 자질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들의 지역사회 거주를 돕고 장기요양 진입 예방을 위해 자기돌봄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참여형서비스, 신체건강·정신건강에 대한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점돌봄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경험이 노후 삶의 질에 대한 연구와 수행기관이나 사업주체가 아닌 이용자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노인돌봄종합서비스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그 변화를직접 겪은 노인들의 실질적인 경험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관점에서 실제로 노인들에게 맞는 맞춤형서비스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노인들의 삶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using the service of the user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tegrates 6 existing similar/segment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is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third year from 2020 to provide integrated and flexible service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diversification of services. business i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eems that the following changes are necessary for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o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in the priority care group. First, there is a need to secure user-centered service consistency so that a level of service that can sufficiently maintain daily life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nel involved. Second,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nel must be preceded so that the service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al. Third, it seems that clear guidelines for self-care, participatory services, and programs for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are needed to help the elderly live in the community and prevent long-term care. In this study, the service experience of user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researched on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and the research i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not the implementing agency or business entity, and the comprehensiv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changed to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the elderly who directly experienced the change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ives of the elderly by thinking about what customized services are actually suitable for the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who use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엄인영 ( Um In Yeong ),이외승 ( Lee Oe Se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2 사회복지경영연구 Vol.9 No.1

        노인의 삶의 질이란 생활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만족감으로서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환경적인 여건뿐만 아니라 생활의 역사를 통해서도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므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노인일자리 관련법의 개정 혹은 관련 조례의 제정이 요구되어진다. 노인 일자리 창출 시 노인의 참여동기 및 참여만족도를 고려한 전문직 일자리유형이 필요하다.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하여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심리사회적요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민간분야의 종교기관 및 대학의 직업교육현장을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다가오는 100세 시대에 급속도로 늘어나는 어르신들에게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미래지향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s a combination of expectation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for life, which is influenced not only by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but also by the history of life. Therefore, since the elderly job project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create various job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order to create a variety of job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amend the old-age job-related laws or enact relevant ordinances. When creating jobs for the elderly, professional job types are needed that take into account the participation motive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re is a need for a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the psychosocial factor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job projects. It is suggested that the private sector religious institutions and university vocational education sites be used so that the elderly with various knowledge and experiences can demonstrate their abilities. Future-oriented follow-up research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realize customized welfare for the rapidly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in the approaching 100-year-old era.

      • 역기능 부모에 대한 용서와 효도

        홍경하 ( Hong Kyung-ha ),이외승 ( Lee Oe-se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2 사회복지경영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은혜가 당연시 되는 사회의식 속에서의 부모에 대한 분노, 억울함 등으로 가득한 자식 된 사람이 분노의 감정을 치유 받아야 효를 실천할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속마음을 숨기지 말고 드러내야 한다. 전인 치유에서의 토설로 역기능부모에 대한 이해가 되었으며 용서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는 내담자가 효도를 할 수 있다는 통계 수치가 90% 이상인 것으로 토설이야 말로 가장 효과적인 역기능 부모에 대한 효심 향상에 기여한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child who is full of anger and resentment towards his parents in a social consciousness where parental grace is taken for granted can practice filial piety only when he is healed of his ang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s indicate that clients who say that they have come to understand their dysfunctional parents and are able to forgive them through extortion in holistic healing are able to be filial, and extor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filial piety toward dysfunctional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