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박유산 및 자궁외임신 진단시 혈청 beta-HCG의 2회 연속측정의 의의

        안윤걸(YG Ahn),이영봉(YB Lee),박문일(MI Park),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1985년 5월 1일부터 1986년 9월 30일까지 만 17개월 동안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환자중 48시간 이내에 응급수술이 필요치 않았던 자궁외임신 14예 및 임신 20주 이후까지 추적하여 정상임신으로 확인되었던 절박유산 58예를 연구대상으로, 임신 12주 이하의 정상 자궁내임신 23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입원당시(1차) 및 48시간후의(2차) 혈청 beta-HCG를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군에서의 1차 및 2차 혈청 beta-HCG치의 비교. ㄱ. 대조군(N=23) 임신 9주이하군 혈청 beta-HCG의 평균치는 47,703.6mIU/ml 및 71,444.9mIU/ml으로서 평균 49.8%의 증가율을 보였다. ㄴ. 절박유산군(N=58) 임신 9주이하군에서 혈청 beta-HCG의 평균치는 각각 41,626.0mIU/ml 및 52,608.2mIU/ml으로서 26.4%의 증가율을 보였다. ㄷ. 자궁외임신군(N=14) 마지막 월경일로부터 계산하여 임신 9주 이하군의 혈청 beta-HCG의 평균치는 3,004.0mIU/ml 및 1,550.2mIU/ml으로서 오히려 48.4%의 감소율을 보였다. ㄹ. 평균치의 비교에서 대조군과 절박유산군 차이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으나(P>0.05), 자궁외임신군에서는 대조군 및 절박유산군보다 상당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01). 2. beta-HCG 증가율의 비교 ㄱ. 자궁외임신군과 대조군의 비교. 임신 9주 이하군(P=0.015) 및 임신 10주 이상군(P=0.010) 모두 대조군에서 의의있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ㄴ. 절박유산군과 자궁외임신군과의 비교. 임신 9주 이하군의 비교에서 절박유산군이 자궁외임신군보다 높은 증가율(P=0.004)을 보였으며, 임신 10주 이상군에서도 절박유산군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P=0.005). ㄷ. 절박유산군과 대조군의 비교. 임신 9주 이하군의 비교에서는 대조군에서 절박유산군보다 증가율이 높았으나(P=0.007), 임신 10주 이상군에서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ㄹ. 각군의 임신주수별 비교. 9주 이하군을 10주 이상군과 비교할 때, 대조군 및 절박유산군에서 9주 이하군이 의의있게 높은 증가율(P=0.026 및 0.049)을 보였고 자궁외임신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Diagnosis of Threatened Abortion and Ectopic Pregnancy Recently, the consecutive measurements of serum levels of beta-HCG have been used in the diagnosis of the early complicated pregnancies such as threatened abortion, ectopic pregnancy, and missed abortion.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serum beta-HCG levels 48 hours apart in abnormal pregnancies, 23 cases of normal intrauterine pregnancies, 58 cases of threatened abortions, and 14 cases of ectopic pregnancies were studied. We measured two serum levels of beta-HCG consecutively 48 hours apart in each groups and compared the percent increase of the abnormal pregnancies with normal exponential curve of serum beta-HC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 increase in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threatened abortion and ectopic pregnancy under the 9th gestational weeks were 49.8%, 26.4%, and -48.4%, respectively. 2. In the ectopic pregnancy, the initital levels of serum beta-HCG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and threatened abortion with the significant decrease of second levels(comparision of percent increase; P=0.015 and P=0.004, respectively) under the 9th gestational weeks. 3. In the threatened abortion, the initial levels of serum beta-HCG were similar with those of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but the percent increase we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P=0.007), under the 9th gestational wee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