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념적 공간의 말레비치의 순수 사각형과 디지털 사각형의 비교분석

        이슬기 ( Lee Sul Gi ),남호정 ( Nam Ho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디지털 공간의 교육, 예술 그리고 문화산업 등은 다양한 분야의 정보 전달과 공유로 시간과 공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졌지만 모든 현상학적 활동은 일정한 공간 안에서 이루어진다는 공통성이 있다. 이러한 공간을 현존(現存)의 공간인 ‘관념적 공간’과 디지털 세계의 ‘디지털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념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에서의 예술 표현의 개념적 의미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접근은 현존의 공간인 ‘관념적 공간’에서 인간의 감정을 가장 순수하게 형(形)으로 탄생시킨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세계에서 화상(化像)을 이루는 최소의 단위인 픽셀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론적 고찰로 절대주의의 탄생과 예술사조에 영향을 미친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과 디지털 공간의 픽셀에 대한 변화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념적 공간은 ‘비어있는 공간’이 아닌, 예술가의 창조 공간으로 시간과 물리적 공간을 초월하여 현실을 재현하는 디지털 공간 개념이 내재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즉,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은 현존의 공간에서 형이상학의 정신적인 본질을 추구하지만, 디지털 사각형은 디지털 세계에서 현실의 산물인 물질성을 또 다른 새로운 현실의 산물로 전환을 이끌어 내어 관람자에게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한다. 화면을 이루는 조형요소이자 디지털 이미지의 근원인 픽셀 사각형은 새로운 창조의 근원으로서의 지위를 갖는다.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 역시 자연에 없는 ‘순수 사각형’으로 관념적 공간에서 창조자의 역할을 부여받으며 디지털 사각형과 성격이 괴리되지 않고 같은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의 개념적 의미가 현 패러다임의 시각이미지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극변하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유연한 창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념적 재해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패러다임적 조형 연구가 지속되길 바란다.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 art, and cultural industries in digital space have become unclear due to transferring and sharing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but all phenomenological activities are common within a certain space. These spaces can be divided into "ideological spaces" and "digital spaces" of the digital world.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ated to identify the conceptu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art representation in the ideological and digital spaces. The approach of this study began with Malevich's "Black Square", which gave birth to human emotions, the purest form, from the "ideal space", the existing space. It compared and analyzed pixels, the smallest unit of imaging in the digital world. Furthermore,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t was investigated that Malevich's black squares and digital spaces that influenced the birth of absolutism and art trend in the pixel of digital space has been changed. As a result, I did understand that ideological space is not an "empty space," but an artist's creative space, which is inherent in the concept of digital space that transcends time and physical space and reproduces reality. In other words, Malevich's black squares seek the spiritual essence of metaphysics in the existing space, but digital squares transform materiality, which is a product of reality, into another product of reality, providing viewers with new visual images. Pixel squares, which form a screen and are the source of digital images, have a status as the source of new creation. Malevich's black square is also a "pure square" that is not in nature and is given the role of creator in the ideological space and has the same personality as the digital square.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bout how Malevich's conceptual meaning of the black rectangle is projected into the visual image of the current paradigm and made conceptual reinterpretation to enable flexible creative activ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rough this, I hope that more diverse paradigmatic formative research will conti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