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oftware 제품계열공학에서 온톨로지에 기반한 feature의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모델

        김진우(Jinwoo Kim),이순복(Soonbok Lee),이태웅(Taewoong Lee),백두권(Dookw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제품계열공학에서 feature diagram(FD)은 개발자의 직관이나 도메인 전문가의 경험에 근거하여 작성되어, feature간의 공통성 및 가변성분석 기준이 불명확하며 비정형적인 feature의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으로 인한 stakeholder의 공통된 이해가 부족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통된 feature의 이해를 위해 feature 속성리스트에 기반한 메타 feature모델과 feature간의 의미유사성관계를 이용한 온톨로지를 적용한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모델을 제안한다.

      • KCI등재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과 과제에 대한 탐색

        이순복 ( Lee¸ Soon-b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1

        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 내용을 바탕으로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에 대한 내용과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 내용에 대해 내용을 해석하고, 교사의 어려움을 제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에서 의도된 교육 설계 없이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만을 기초로 교육을 계획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 계획이 설계되기 위해서는 유아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고, 교육공동체의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유아 존재의 유능성을 믿고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교육의 변화에 맞도록 놀이를 이해하고 배움을 지원하기 위해 교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적절한 놀이 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유아의 놀이 자료를 효율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하여 평가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나, 의미있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선별하여 기록하는 평가에 대한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에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장학, 연수, 행ㆍ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xploring on understanding latent meanings and tasks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on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we discussed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proposed way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As a result, firs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design an education plan based on the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of teachers without the intended education plan in the planning desig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order for the desig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of planning, teachers reflect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should have competencies for ‘curriculum with communal involvement’. Second, it is difficult to plan and implement the curriculum by believing in the competence of the existence of young children, but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proper play-guidance by teachers are needed to understand and support play to suit the changes in education. Third, while it is not easy to efficiently record and evaluate data in various ways during play, it is essential for teachers to continue to study the evaluation of observing young children and selecting and recording deemed meaningful while observing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scholarship,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infant teachers suitable for the play 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유아교육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화와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탐색

        이순복 ( Lee¸ Soon-b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리하여 유아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화를 하고, 개정 누리과정에서 제안하고 있는 유아교사의 역할과 연계해 보는 연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차적으로 선행연구 자료들을 분석한 후 자료들에서 제시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개정 누리과정 유아교사의 역량을 연계하여 구성하였고, 2차적으로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부(2019)의 개정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아교사의 역할과 연계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미디어 활용 영역에는 접근/활용/탐색, 지식, 기술/매체사용능력 등의 구성요인이, 미디어 분석 영역에는 정보처리, 구성/제작, 지식·기술·태도 지원, 성찰, 분석, 평가, 비판적 이해, 문제해결력 등의 구성요인이, 미디어 문화 영역에는 소통, 사회문화적 이해, 참여, 책임, 공유, 협업과 네트워크, 감상과 향유, 윤리 행동, 정보화 관심, 생성(창조), 창의적 표현 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에 따라 개정 누리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사의 역할과 연계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아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제고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xploring on understanding conceptualization and role of teacher on Media Literacy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was composed by first analyzing the data of previous research and then dividing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suggested by the data and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vised Nuri course. Second, based on this data,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9) It went through a process in connection with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ggested in the revised Nuri course. As a result, first, it was composed access/application/Exploring, knowledge, skill/media using ability in Media application contents, data(information) processing, composition/ production, knowledge,/skill/attitude assistant, introspection, analysis, assessment, critical comprehension, and problem-solving in Media analysis contents, communication, social culture comprehension,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sharing, collaboration and network, appreciate and enjoyment, ethical behavior, Interest in informatization, cre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in Media culture contents. Second, It was derived in connection with the role of the teacher presented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factors of media literac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improve the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