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주간 저항성 밴드운동이 비만 청소년의 혈중지질 및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이수운 ( S. W Lee ),신원태 ( W. T Shi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저항성 밴드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혈중지질과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체지방이 25% 이상이며 백분위수 95이상인 남학생 20명으로서, 운동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배정을 통해 분류하였다. 운동집단은 점증적 과부하의 원리를 이용하여최대반복횟수로 12주간 저항성 밴드운동을 실시하였다. 혈액 변인 측정은 12주의 운동 전과 운동 후에 실시하였다. 이원분 산분석(집단×측정시기) 결과 지질변인에서, TG와 TC는 집단과 측정시기 간 상호교호작용이 나타났으나, HDL-C와 LDL-C는 상호교호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염증지표에서는 Fibrinogen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 상호교호작용을 보인 반면 CRP와 WBC에서는 상호교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만청소년을 대상으로 저항성 밴드운동을 수행하는 것은 혈중지질과 염증지표에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sider the impacts of the 12-week resistance band exercise program on blood lipids and inflammatory markers of obese adolescents. This study was targeted at 20 male students who had over 25% of body fat and were above the 95 percentile, and ten of them each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exercise group was asked to conduct the resistance band exercise for 12 weeks with repetition maximum using principles of gradual overload. Blood variables of the studen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12-week exercis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wo-way ANOVA(group×measurement time), as lipid variables, TG and TC showe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measurement time, but HDL-C and LDL-C did not. Also, Fibrinogen, as an inflammatory markers, showed a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measurement time, whereas it wasn`t observed from CRP and WBC. From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the resistance band exercise for obese adolescents positively changes blood lipids and inflammatory ma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