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수도권 거주 성인의 물냉면 섭취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이소민 ( Soh Min Lee ),김진영 ( Jin Young Kim ),김광옥 ( Kwang Ok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3

        Despite expansion of the mulnaengmyeon market,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mulnaengm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mulnaengmyeon among adul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A survey including demo- and socio-graphics, general mulnaengmyeon usage, and consumption questions was tested on 210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majority of consumers consumed mulnaengmyeon more frequently during summer. Although the instant mulnaengmyeon market has rapidly increased, it was found that mulnaengmyeon is a food that is generally consumed in restaurants. In addition, mulnaengmyeon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consumer age,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observed according to parent’s or grandparent’s hometown of origin. Older consumers were observed to consume and purchase mulnaengmyeon as well as instant mulnaengmyeon more often than young consumers. Also, older consumers were shown to consider “health” related factors as more important when selecting mulnaengmyeon, whereas young consumers considered “price” related factors to be more important.

      • SCOPUSKCI등재

        분류기법(Sorting task)을 이용한 시판 물냉면 육수의 감각특성에 대한 인식 연구

        이소민(Soh Min Lee),김진영(Jin Young Kim),김광옥(Kwang-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5

        본 연구에서는 시판 물냉면 육수에 대해 분류기법을 이용하여 감각적 특성을 바탕으로 제품들이 인지되는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시판 물냉면 육수 제품 시장을 인지하는데 있어 익숙한 제품과 익숙하지 않은 제품으로 크게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품에 사용된 재료 및 함량이 크게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제품들 및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판된 물냉면 육수 제품은 상대적으로 유사하게 인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출빈도가 낮아 친숙함이 떨어지는 중소기업 제품들의 경우, 대기업 제품들 및 우리나라에 최초로 시판된 제품과 구별되어 인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품의 사용방식이 농축방식인 경우 그렇지 않은 제품들과 크게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공방식에 의한 영향도 엿볼 수 있었다. 물냉면 육수제품들은 신맛과 관련된 묘사 용어에 의해 주로 묘사되었으나, 이에 의해 제품이 구별되지는 않았다. 분류기법을 수행하는 데 있어 훈련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패널에 포함함으로써 소비자 패널만을 이용한 분류기법에서 지적되어 온 용어의 유효성에 대한 문제점을 다소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market of instant mulnaengmyeon broths by understanding product perceptions, using the sorting task followed by a description task. Fourteen instant mulnaengmyeon broths that were available in the market were used in the study. The sorting task was performed by 29 subjects, with some of them having prior experience as trained descriptive panel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less the sample had a very distinctive ingredient in its broth, commercially available mulnaengmyeon broths were mainly divided into products that are likely to be familiar to public versus products that are less exposed. In addition, concentrated broths were shown to possess characteristics tha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amples. The inclusion of subjects who had experience as trained panelists allowed to partially overcome the problem of validity of the terms derived from naive consumers.

      • SCOPUSKCI등재

        다양한 한국식 소스를 이용한 닭강정의 관능적 특성과 중국 및 한국 소비자의 교차문화적 소비자 기호도

        이소민(Soh Min Lee),배수진(Su-Jin Bae),김광옥(Kwang-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5

        본 연구는 한국식 소스의 세계화를 위해, 훈련된 패널을 대상으로 묘사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한국 및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한국식 소스를 적용한 닭강정에 대한 전반 기호도, 외관 기호도, 향미 기호도 및 익숙한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각각의 시료에 대해 좋아하는 이유 및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CATA 설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한국 및 중국 소비자들은 다양한 한국식 소스를 이용한 6종의 닭강정 시료에 대해, 한 두 시료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소비자는 다진 마늘을 주재료로 이용한 닭강정 시료에 대해, 중국 소비자는 고추장 및 다진 마늘을 주재료로 이용한 닭강정 시료를 각각 비선호하였다. 해당 시료들은 각 나라에서 각각 익숙한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낮은 향미 기호도 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전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익숙함’은 문화권이 다른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동인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경우 ‘익숙함’에 의해 시료를 선호하기 보다는, ‘익숙하지 않음’에 의해 시료를 비선호하는 경향을 더 분명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한국 및 중국 소비자들이 시료의 좋아하는 이유 및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응답한 CATA 결과는 각각의 시료에 대한 소비자의 구체적인 기호유도인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소비자들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닭강정에서 주로 이용되는 재료인 케첩과 고추장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토마토 향미, 윤기, 신맛, 색의 붉은정도, 입안부착성, 점도 및 고추장 향미와 같은 특성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반면, 중국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단맛 및 물엿향미가 강하고 매운 감각이 약한 닭강정 시료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은 기호도가 높았던 케첩을 주재료로 이용한 시료들(KET-I 및 KET-II)에 대해서는 익힌 토마토 향미 특성을, 간장을 주재료로 포함한 시료들 (SOY 및 JASOY)에 대해서는 간장향미 특성을 CATA 선호 이유로 보고하여, 위의 특성들에도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한국식 소스에 대한 한국 및 중국 소비자의 교차문화적 기호도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식 소스를 개발하고 세계화 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한국식 향미를 세계화하는 데 있어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ross-cultural consumer acceptability of sweet crispy chicken (Dakgangjeong) prepared with six types of Korean-style sauces among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 main ingredient(s) of each sauce was soy sauce (SOY), Japanese apricot extract and soy sauce (JASOY), gochujang (SPICY), minced garlic (GARL), and ketchup (KET-I and KET-II); KET-I and KET-II were modified to possess ethnic Korean flavors. In general,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preferred all types of Dakgangjeong, except for GARL and SPICY, respectively. Least preferred products of each country had the lowest familiarity rating among consumers of the respective countries. Similar to previous studies, these results showed that familiarity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nsumer preference in a cross-cultural context.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higher familiarity of the product was not found to influence consumer to like a product, but rather low familiarity seemed to affect consumers to reject a produc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Check-all-that-apply를 이용한 한국 및 중국인의 불고기에 대한 선호 및 비선호 요인에 대한 교차문화 연구

        강남이 ( Nam E Kang ),조수경 ( Su Kyung Jo ),이소민 ( Soh Min Lee ),김광옥 ( Kwang Ok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6

        Bulgogi (Korean-traditional barbequed beef) is one of the most globally well-known Korean foods. Though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mote bulgogi, studies are limited understanding mostly to US consumers or foreigners who reside in Korea. China, the world’s most populous country, has the biggest market potential in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reasons of liking or disliking bulgogi products in Chinese consumers who reside in China in comparison to Korean consumers. The bulgogi used in this study differed in its main marinating ingredients. Check-all-thatapply (CAT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reasons why one liked or disliked the given bulgogi product. CATA result showed that even for the same product,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liked or disliked it for different reasons. In particular, unlike Koreans, Chinese consumers reported sweet taste and garlic flavor as reasons for disliking the samples with high amounts of sugar and garlic, respectively. This seemed to be the result of differences in familiarity of consumers to certain tastes and flavors. The results imply the influence of culture in consumer pre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