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신체활동 촉진을 위한 MGB 기반 부모지원의 이해

        이성모 ( Seongmo Lee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목표지향행동이론(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MGB])을 바탕으로 부모가 학령기 발달장애 자녀에게 어떻게 신체활동을 지원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발달장애 자녀를 위한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 행동의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영향력과 설명력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이 자녀의 실제 신체활동량을 얼마나 예측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학령기 발달장애인(만 7세 이상 18세 미만)의 부모였다. 편의표집추출법을 이용하여 재활체육센터, 특수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인치료센터를 통해 총 307명의 부모를 모집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7문항, MGB관련 20문항, 부모지원 7문항, 신체활동 10문항 총 44문항으로 구성된 지필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결측치 1개 이상을 가진 23명의 설문 자료를 제외하고 284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SPSS(25.0)와 Mplus(8.6)를 활용하여 경로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예기정서(β=.35, p<.001), 지각된 통제감(β=.33, p<.001), 태도(β=.13, p<.05), 부정적 예기정서(β=.11, p<.001)는 열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설명력은 52%로 나타났다. 열망(β=.31, p<.001)은 행동의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했고 설명력은 9%로 나타났다. 지각된 통제감(β=.31, p<.001)과 행동의지(β=.28, p<.001)는 부모지원의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고, 부모지원(β=.36, p<.001)은 실제 자녀의 신체활동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GB는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지원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이론임이 밝혀졌다. 발달장애 자녀의 신체활동 참여를 늘리기 위해 부모의 태도,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지각된 통제감, 열망, 의지를 개선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방안과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parents support physical activity for their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 Predi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and their influences and explanatory pow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much parental physical activity support predicts their children's actual physical activi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7 to 18)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A total of 307 parents were recruited through rehabilitation sports centers,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and therapy center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aper-bas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44 questions, including 7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0 questions on MGB, 7 questions on parental support, and 10 ques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the final analyses, data of 284 participants people were used, except for data of 23 parents who had one or more missing values. To test research hypotheses path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Mplus (8.6). As a result of the study, positive anticipatory emotions (β=.35,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β=.33, p<.001), attitude (β=.13, p<.05), negative anticipatory emotions (β=.11,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desir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2%. Desire (β=.31,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9%.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β=.31, p<.001) and behavioral intention (β=.2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upport behavior, and parental support behavior (β=.36,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ctual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f their childre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GB is an useful theo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arental suppor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ystematic and effective programs and strategies to improve parental attitudes, positive anticipatory emotions, negative anticipatory emotion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esire, and behavioral intention may be necessary.

      • 나노 잉크의 전도도 검사를 위한 Simulator 구현

        정현기(Hyunki Jung),이성모(SeongMo Lee),김성석(SungSuk Kim),김남수(Nam-soo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0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09 No.-

        나노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다양한 연구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써, 나노 잉크를 이용하여 회로를 직접 인쇄하는 것이며, 이때 전도도 향상을 위해 팩킹 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즉, 실제 잉크를 인쇄하는 실험의 결과와, 유사한 시뮬레이터 환경을 설정하여 얻어진 결과값을 비교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보여줄 수 있었다. There are several kinds of research efforts as Nano technology is gaining much more interests. One application of them is Direct Write Technology by using Nano Ink where it is regarded as important to increase the packing density for higher conductivity.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simulator to guarantee the results from laboratory; that is, the packing density data obtained by using direct writing head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simulator with similar environmental settings, and then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proposed direct writing technology can show proper performances.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배명진 ( Myeongjin Bae ),이후경 ( Hookyung Lee ),김정자 ( Jeongja Kim ),이성모 ( Seongmo Lee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4

        매년 장애인체육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늘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스포츠 선수를 위한 연구기반 과학적 훈련과 지원체계 구축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김지태, 홍미화, 오아라, 서은철, 2016; 김태홍, 박철형, 제갈윤석,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스포츠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수행된 연구 결과를 데플림픽, 스페셜올림픽, 패럴림픽으로 나누어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장애인스포츠과학의 필요성과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문헌검색은 PICO-TSS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를 KISS, RISS, DBpia, PubMed, Eric, MEDLINE, Academic Search Complete을 이용하여 198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출판된 국문 또는 영문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의 경우 세 가지 주요대회를 기본으로 장애인선수, 장애유형, 경기력 관련 용어를 서로 조합하여 검색을 진행하였다. 문헌선정 흐름도(PRISMA)에 따라 1차 검색된 1808편의 논문은 최종 26편의 논문으로 추출되었다. 최종 선정된 논문 중 6편의 무작위대조실험설계 논문은 Cochrane's Risk of Bias Tool을 이용하여 비뚤림 위험 평가를 시행하였다. 패럴림픽 논문 총 16편, 스페셜올림픽 논문 총 7편, 데플림픽 논문 총 3편이 추출되었고, 무작위대조실험설계연구(RCT)는 패럴림픽 논문 3편, 스페셜올림픽 논문 2편, 데플림픽 논문 1편으로 확인되었다. Perret(2015)의 모델을 이용하여 각 연구의 경기력 결정요인을 범주화한 결과, 체력 및 기술 훈련요인(n=3), 체력훈련요인(n=8), 기술훈련요인(n=2), 코칭요인(n=4), 환경요인(n=2), 심리요인(n=6), 회복요인(n=1)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장애인스포츠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다양한 종목을 대상으로 스포츠과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increasing support for disability sports every year, scientific training and support systems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are still insufficient(Kim, 2016; Kim,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need of sport science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rection of related follow-up research through systematic review in Deaflympics, Special Olympics, and Paralympics. Literature search targeted Korean or English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1980 to September 2019 using KISS, RISS, DBpia, PubMed, Eric, MEDLINE, and Academic Search Complete for research issues selected by PICO-TSS. For search words, three major competitions wer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types and performance-related terms. According to PRISMA, 1808 papers were initially selected and finally extracted to 26 papers. Among the final papers, six papers that employ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 were evaluated for risk of bias using Cochrane's Risk of Bias Tool. A total of 16 Paralympics papers, 7 Special Olympics papers, and 3 Deaflympics papers were included, and RCT design was applied in 3 Paralympics, 2 Special Olympics, and 1 Deaflympics studies.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determinants of athletic performance based on the model of Perret (2015), physical and technical training(n=3), physical training(n=8), technical training(n=2), coaching(n=4), environmenta (n=2), psychological(n=6), and recovery(n=1) factors were found.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ailore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to effectively improve performance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a scientific approach in different disability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