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증상 대장 용종의 선별 검사로서 분변잠혈검사의 유용성

        이상협 ( Sang Huyb Lee ),이경수 ( Kyoung Soo Lee ),이종열 ( Jong Yeul Lee ),지정훈 ( Jeong Hoon Ji ),박주경 ( Joo Kyung Park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김진욱 ( Jin Wook Kim ),정숙향 ( Sook Hyang Jun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6

        목적: 최근 분변잠혈검사 양성인 무증상 환자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가 대장암의 선별과 진단을 위해 많이 이용되어 대장암 이외의 대장 용종 진단도 늘고 있다. 그러나 무증상 대장 용종에 대한 선별 검사로서 분변잠혈검사의 임상 유용성과 한계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무증상 대장 용종 환자에서 분변잠혈검사가 양성인 환자의 인구학적인 특성과 용종 특성을 살펴 대장내시경 검사 전 대장 용종의 선별 검사로 분변잠혈검사의 유용성과 한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대장암 조기 검진을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이전에 1회의 분변잠혈검사를 받고 대장내시경 검사 후 용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변잠혈검사 결과에 따라 용종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분변잠혈검사는 대상 환자 288명 중 32명(11,1%)에서 만 양성이었다. 결과가 양성인 환자에서는 133개 용종이, 분변잠혈검사 결과가 음성인 환자에서는 809개 용종이 절제되었다. 분변잠혈검사 결과에 따라 절제된 용종들을 비교하였을 때, 용종 크기(p=0.02)와 위치(p=0.03)에서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단변량 분석에서 환자 나이(p=0.046), 용종 크기(평균 용종의 크기, p=0.04; 가장 큰 용종의 크기, p<0.01)와 용종 개수(p=0.04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성별(p=1.00), 용종 분포(p=0.94), 용종 조직형(p=0.36)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가장 큰 용종의 크기가 20 mm 이상이면 상대 위험도 4.71로 양성 분변잠혈검사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분변잠혈검사는 크기가 큰 용종(20mm 이상) 이외의 무증상 용종 환자의 선별 검사로서는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무증상 용종 환자 선별을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전 분변잠혈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Detection of asymptomatic benign colon polyp is increasing because colonoscopy is widely used as a screening and diagnostic method. Fecal occult blood test is usually performed for the selection of patients requiring colonoscopy as well as mass screening for colo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fecal occult blood test performed prior to colonoscopy as a screening method of benign colon polyps. Method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olyp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ecal occult blood test results in patients who underwent one-day fecal occult blood test and colonoscopic polypectomies from May 2003 to October 2004,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942 colonoscopic poly­pectomies in 288 patients were evaluated. Fecal occult blood tests were positive only in 32 patients (11.1 %). In univariat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yp size (p=0.02) and location (p=0.03)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ositive fecal occult blood tests. In addition, age of the patient (p=0.046), polyp size (mean, p=0.04; largest, p < 0.01) and the number of polyps (p=0.04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in multi­variate analysis, only polyp size larger than 20 ㎜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positive fecal occult blood test with estimated odds ratio of 4.71. Conclusions: Fecal occult blood test has limitations as a screening test in asymptomatic patients with colon polyps, except for colon polyps larger than 20 ㎜ in size.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88-39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