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구조와 매니지먼트관련 업무 프로세스

        이상준(YI Sangjun),히라이켄지(HIRAI Kenji),쯔쯔미 히로키(TSUTSUM Hiroki),코마츠 유키오(KOMATSU Yukio)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구조계)

        This study investigate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process of construction, improvement, repair of each municipality to propose an effici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management process. The following three are the key problems for the facilities management efficiency improvement. ① Unifica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related to facilities ② Regular building deterioration check ③ Making of the communications between departments

      • KCI등재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에 메타교육 적용 방안 탐색

        이상준(Sangjun Yi) 한국교육원리학회 2024 교육원리연구 Vol.29 No.1

        그동안 학교는 구성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곳을 지배하고 있는 그릇된 교육관의 문제로 불필요한 오해를 받아 왔다고 볼 수 있다. 학교는 다양한 삶의 양상들이 혼재된 하나의 생활 공간이므로 그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교육을 바라볼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이론적 관점이 정립되었다면 그에 맞추어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커리큘럼도 재검토될 수 있다. 이 연구는 2025년부터 시행되는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에 메타교육을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내용 영역별로 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12차시, 교육 활동 16차 시, 교육 제도 12차시, 미래 교육 8차시, 총 48차시의 메타교육 적용 활동을 구성하였다. 앞으로의 과제로는 첫째, 메타교육 커리큘럼과 활동을 운영할 수 있는 교원 양성 또는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습이 필요하다. 둘째, 메타교육 커리큘럼과 활동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행하고 그 성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메타교육 커리큘럼과 활동을 교육의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제도와 교육을 동일시하는 관점을 극복한 교육관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교육 자체의 발전을 추구하는 메타교육을 제도 내에서 자생적으로 뿌리내리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In the meantime, despite the efforts of its members, it can be seen that the school has been subjected to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due to the problem of the wrong view of education that dominates the school. School is a living space where various aspects of life are mixed, so if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from which to view the school education taking place there is established, the curriculum operated in the school can be reviewed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apply meta-education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of high school subject of education that will be implemented from 2025. By content area, meta-education application activities were composed of 12 sessions of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ducation, 16 sessions of educational activities, 12 sessions of the educational system, 8 sessions of future education, and a total of 48 sessions. First, as future task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actice teacher training or training programs that can operate meta-education curricula and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meta-education curriculum and activities in actual school settings and review the results.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that can evaluate meta educationa curriculum and activiti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n order to spread a view of education that overcomes the perspective that equates the system and education, efforts will be needed to naturally root meta-education, which pursue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tself, within the system.

      • KCI등재

        정범모의 “발전교육” 논의에서 “교육”과 “교육의 가치” 개념에 대한 해체적 분석

        이상준(Sangjun Yi) 한국교육원리학회 2019 교육원리연구 Vol.24 No.1

        한 분야의 발전은 그것의 달성을 위한 목표 설정과 평가를 수반한다는 점에서 가치에 대한 논의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정범모의 “발전교육” 논의를 “교육의 가치”에 대한 담론들 중 우리나라 “교육학계”의 전형적인 예로 간주하고 메타가치론적으로 그 논의에 나타난 가치 진술을 선별하여 “교육”과 “교육의 가치”에 대한 개념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전교육” 논의에 진술된 “교육”의 개념을 검토한 결과, 하나의 명제로 정의된 “교육”, 교육학이 아닌 다른 학문의 개념이나 이론을 차용하여 규정된 “교육”, 결과나 기능으로 규정된 “교육”, 자기모순적으로 규정된 “교육”으로 분석되었고, “교육의 가치” 개념을 검토한 결과, 문화나 교과의 가치, 심리학이나 철학이 정해주는 가치, 효과의 가치, 상호 모순되는 가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 “발전교육” 논의에 사용된 “교육” 개념과 “교육의 가치” 개념은 그 개념적 문제로 인하여 교육목적과 교육평가라는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영역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었다. 그 개념들이 반영된 용어들이 참칭한 것을 해체하여 맥락에 적절하게 개칭한 결과, 문제의 실체를 드러내고 보다 나은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교육과 교육의 가치 개념의 재건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a field is a discussion of value in that it involves setting and evaluating object for its achieveme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discussion of Bom Mo Chung s “development education” is a typical example of the discourses on “value of education” conducted in Korean “academic world of educational research”. And the value statements presented in the discussion were selected modified metaethics to analyze the concepts of “education” and “value of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education” stated in the discussion of “developmen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defined as just one proposition, “education” defined by outcome or function, and “education” defined by self-contradi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value of education” stated in the discussion of “developmen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value of psychological or philosophical, value of effect, and mutually contradictory value.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the concepts of “education” and “value of education” used in the discussion of “development education” were confused by the conceptual errors. This problem was made more confusing in the field object of education and evaluation of education that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s the terms reflecting the concepts were deconstructing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reality of the problem was revealed and better communication became possible. And it could lay the foundat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value of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비판적 분석

        이상준(Sangjun Yi)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1

        학교에서 생성되는 교육관은 대중의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2022 개정 커리큘럼에 따른 고교학점제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학생들의 진로에 따른 수강과목의 자유도가 확대되는 추세에서 고등학교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학”은 교원양성기관의 진학을 희망하거나 평소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은 학생들의 교육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된다. 이 논문은 현행 2015 개정 고등학교 커리큘럼의 교양과목으로 편제되어 있는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학과 교육에 대한 구분이 미흡하고 교육 그 자체에 대한 규정과 가치에 대한 논의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학교의 역사를 교육의 역사로 규정하여 그 범주와 범위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다른 교과와의 내용 중복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추후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개선 방향으로 첫째, 교육 자체에 대한 규정과 그 목적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의 역사가 아닌 교육 자체에 대한 역사 서술이 필요하다. 셋째, 다른 학문의 이론이 아닌 교육학 자체의 이론을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내용영역으로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The view of education created in schools can be see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public perception. Ahead of the full-fledged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tudents degree of freedom in subject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is expanding.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Theory of Education courses will increase. It is assumed that this will affect the view of education of many students. This thesis aims to seek improvement directions by criticall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ory of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organized as a liberal arts subject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heory of Education and education was insufficient,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e discussion of the regulations and values of education itself. Second, the history of schools was defined as the history of education, and there was a problem with its category and scope. Third, there was a problem of duplication of content with other subjects. As for th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first, it should include the regulations for the education itself and the contents of its purpos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history of education itself, not the history of the school. Third, it is needed that the domain of Theory of Education itself, not the theory of other disciplines, should be included as the content domain of Theory of Education.

      • 지방자치단체의 선진적인 시설매니지먼트에 대해서

        나카무라 레이이치로(Reiichiro NAKAMURA),이상준(Sangjun YI),쯔쯔미 히로키(Hiroki TSUTSUMI),히라이 켄지(Kenji HIRA),코마츠 유키오(Yukio KOMATSU)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구조계)

        Plenty of public facilities in Japan had been built in the 1980s. Today, most of those facilities have become too old for use, and need to be repaired or renovated. However, local governments get in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at situation is expected to have lasted. As one of ways to manage a facility and survive this serious economic times, Facility Management has lately become attract attention. Although Facility Management has not been developed in Japan yet, or many of its local governments are still in their first steps with Facility Management, I had found some prefectures and cities that positively practice Facility Management in an advanced way, and chose Aomori prefecture and Sakura city (in Chiba prefecture) from these districts as the subjects of its local governme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