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과 삼빠잔냐에 대한 고찰

        이모정(Lee, Moju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초기불교 사념처의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의 의의와 위상을 밝히고 ‘동 작에 대한 분명한 앎’의 내적 기제인 ‘삼빠잔냐’의 쓰임을 초기경전에서 살펴봄으로써그 의미와 사띠와의 관계를 밝혔다. 이는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의 현대적 변용이 무엇 일까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다.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은 일상생활의 행위와 동작을 알아차리는 수행이다. 초기 경전에서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은 사념처의 21가지 주제에서도 특히 강조되고 있는 수행법이라 할 수 있다. 승가생활의 행위 전체가 수행의 대상이 되어 한 순간도 방일하지 않고 분명히 알아차려 계를 지키고 지혜를 계발하게 하는 강력한 일상수행이라볼 수 있다. 경전에서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의 내적 기제인 삼빠잔냐의 경전에서의 쓰임과 의미를 살펴보고, 불교수행의 핵심기제인 사띠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초기 경전에서 삼빠잔냐는 거의 사띠와 함께 쓰여 대상을 포착하고 대상을 분명히 아는 기능들이 상보적으로 작용하며 지혜를 계발하게 하였다. 그러나 삼빠잔냐가 단독으로 쓰인 경우는 단지 어떠한 사실을 알지만 지혜의 요소는 결여되어 있음을 알아보았다. ‘일상생활명상’이 라는 측면에서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의 현대 명상적 의의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걷기 뿐 아니라 그릇을 씻는 행위에서도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을 적용시켜 보았다. 본 연구는 경전에서 삼빠잔냐의 쓰임을 고찰하였다는 점과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 의 현대 일상생활명상으로의 가능성과 적용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To meet this goal, I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status of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in Early Buddhism and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and Mindfulness (Sati) by investigating the use of Sampajañña, the inner mechanism of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in the Early Buddhist texts.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is a practice to be aware of the act and behavior of everyday life. In the early scriptures,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is a particularly emphasized practice in 21 subjects of the Cattāro Satipaṭṭhanā. It is a powerful daily practice in which the monk’s whole life becomes an object of performance, keeping a clear perception and developing wisdom. In the early scriptures, Sampajañña was almost used along with Sati for complementary action of functions that capture the object and know the object clearly, which leads to developing wisdom. However, when Sampajañña was used alone, he knew that he only knew some facts but lacked elements of wisdom.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meditation in everyday life with contemporary meaning of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and applied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in the daily life such as washing dish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application of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to modern daily practice was proved to be possible and that the use of Sampajañña in early Buddhist texts was examined care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