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부 동시수축 형태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비교

        이현주(H. J. Lee),이남기(N. G. Lee),태기식(K. S. Ta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복부 동시수축 형태에 따라 하지의 근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허리와 하지에 통증이 없고,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복부 이완(Rest), 복부 당기기 기법(ADIM), 복부 브레이싱 기법(ASLR)로 약 10초간 유지하도록 하여 하지의 5개 근육(중간볼기근, 엉덩긴모음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엿다. 연구결과, Rest에서 ASLR을 유지하였을 때 보다 ADIM 수축형태로 ASLR 유지할 때 하지의 모든 근육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Rest에서 ASLR을 유지하였을 때보다 ABM 수축형태로 ASLR을 유지하였을 때 중간볼기근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에서 모두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ADIM과 ABM을 비교한 결과 중간볼기근과 앞정강근은 ADIM 수축형태에서, 엉덩긴모음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은 ABM 수축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체간중심 안정화 운동이 필요한 요통 환자의 선제적 복부 수축형태로서 뿐만 아니라 하지의 선택적 근력강화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개별화된 방법으로써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muscle activity difference of lower extremity by abdominal co-contractive activation. 30 healthy women without pain in the low back and lower extremity were conducted. Muscle activities of lower extremity were measured with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ASLR) in 20cm raised from the floor without bending the knee at rest,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and abdominal bracing maneuver (ABM), respectively. Hip adductor longus (HadL), rectus femoris (RF), and biceps femoris (BF) muscle activity in the Abdominal bracing maneuv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lso gluteus medius (Gmed) and tibialis anterior (TA) muscle activity in the ADIM were higher. We provide the evidence to the positive effects of individual abdominal co-contractive activation training which can enhance postural stability and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with volitional preemptive abdominal contraction.

      • KCI등재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소아균형검사와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

        고명숙(M. S. Ko),박소연(S. Y. Park),이남기(N. G.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4

        소아균형검사(Pediatric Balance Scale)는 경증이나 중증의 운동손상을 지닌 학령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균형검사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균형검사는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선 자세에서 앉기, 의자에서 의자로 이동하기, 잡지 않고 서 있기, 한 다리로 서 있기,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기, 뒤돌아보기 등 총 14개 항목으로 구성하고, 시공간적 보행변수는 보행속도 및 보폭, 보거리, 보격, 분속수, 양하지 지지 시간을 포함한다. 모든 대상자들은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이며, 숙련된 소아물리치료사에 의해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를 측정하였다.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소아균형검사의 총점(r=.49∼.58)과 세부항목 중선 자세에서 앉기(r=.48∼.60)와 선 자세에서 왼쪽/오른쪽 어깨 뒤로 돌아보기(r=.47∼.53), 선 자세에서 바닥에 물건 집어 들기(r=.52∼.69)는 보행속도와 보폭, 보거리, 분속수의 각 변수 사이에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아균형검사의 대부분 항목이 양하지 지지 시간 간의 매우 높은 음의 상관관계(r=-.48∼-.92)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소아균형검사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수준을 예견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as balance measurement equipment for school-age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BS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 and to identify the walking functio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balance scale. The PBS consists of 14 items such as sitting of standing, standing to sitting, transfers, standing unsupported, standing on one foot, turning 360 degrees, turing to look behind, etc., and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include walking speed, stride length, step length, step width, cadence, double-limb support. All subjects were independently ambulatory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and they were assessed on PBS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by an experienced pediatric physical therapi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PBS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05. Total score of PBS(r=.49∼.58), standing to sitting(r=.48∼.60), turning to look behind(r=.47∼.53), and pick up object(r=.52∼.69)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lking speed,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cadence. Most items of the PB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ouble-limb support(r=-.48∼-.9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ediatric balance scale can be applied to estimate gait function level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