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영자동전환시스템 AIMS 의 성능 평가

        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A

        AIMS 는 자판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자동으로 한글과 영문으로 인식함으로써 한영 전환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글과 영문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한영자동전환 시스템이다. 다양한 실제 문서에 대한 입력실험 결과, AIMS 는 어절의 한영 인식에 있어서 99%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평균인식거리는 1.24 키 이하였다. 평균키처리 시간은 0.004 초 이하였으며 신조어, 약어, 오자가 있는 단어에 대해서도 매우 정확하게 한글과 영문을 판정할 수 있었다. AIMS 의 이러한 성능은 전환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글과 영문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게 해주는 한영자동모드를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현재 개발된 AIMS 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보고서이다.

      • 예측식 한영자동전환을 지원하는 AIMS 라이브러리의 API 설계 구현

        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Ⅱ

        한영자동전환은 한글 모드와 영문 모드의 전환을 자동화함으로써 수동 한/영 전환 키에 의존하는 기존 한글 입력 방법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한국항공대학교에서 개발한 예측식 한영자동전환과 한영자동모드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지원하는 AIMS 라이브러리의 API 설계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AIMS 라이브러리는 신속한 예측식 한영자동전환을 99.9%의 높은 정확도로 실시간에 수행한다. AIMS를 이용하면 한가지 언어만을 사용하는 영어권 사용자들과 같이 편리한 한글 입력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 객체지향 설계방법과 UIMS 를 이용한 GUI 개발의 통합 모형

        김종연(Jong Youn Kim),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도구를 사용하여 설계된 시각 객체와 객체 지향 설계 방법론에 의해 분석 설계된 응용 객체간의 효과적인 결합에 대하여 논한다. 설계된 시각객체를 기반으로 AOL 명세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입을 작성하고 개발 후기 단계에서 정확하게 분석 설계된 응용객체를 프로토타이핑에 사용된 가상 객체와 교환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객체 지향 방법론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도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이핑 방법을 통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개발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명세언어를 정의한다.

      • Black Box 방식의 EJB 컴포넌트 성능 측정

        황길승(Kil-Seung Hwang),이긍해(Keung Hae Lee),권오천(Oh-Cheon Kwon),신규상(Gyu-Sang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구현에 사용되는 각 컴포넌트의 성능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은 Black Box의 관점에서 EJB 컴포넌트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과 이 측정 방법을 지원하는 성능 측정 도구의 설계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도구는 대상 컴포넌트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동작하여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적은 노력으로 새로운 컴포넌트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테스트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용 컴포넌트의 시장에 등장하는 여러 컴포넌트의 성능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비교 측정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지능공간을 위한 사용자주도형 상황인식서비스 개발

        박정규 ( Jeongkyu Park ),이긍해 ( Keung Hae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상황인식은 사용자의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컴퓨팅 기술이다. 상황인식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개발자가 만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전통적인 개발 모델을 따르고 있다. 이런 일방적인 모델은 원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른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황인식서비스가 설치되는 각 지능공간의 특징을 반영하기도 어렵다. 사용자와 대상 컴퓨팅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지능공간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기능을 활용해 직접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상황인식서비스 개발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에도 이와 유사한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몇몇 있었으나 기기의 일부 기능 간 연동만을 지원해 확장성이 낮았다. 본 연구는 독립된 다수 기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연동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이런 연구들 문제를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공간을 위한 사용자주도형 상황인식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도비(Dobby)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를 구현한 결과를 설명한다.

      • INTERNET 상에서의 호환성이 높은 공동 작업 도구의 설계 및 구현

        차재현(Jae Hyun Cha),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최근 인터넷(Internet)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 시스템(채팅)은 많은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채팅 도구는 텍스트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화 수단으로서 제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사전에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에 종속적이지 않고 사전에 설치하지 않았어도 대화에 참가하면 즉시 실행이 가능한 공동 작업 도구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기존의 채팅 시스템과는 달리 그림 이미지, 도형, 텍스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대화 수단을 마련하였다.

      • Ubiquitous 환경에서의 Context-Aware Service를 위한 User Model 설계

        박종원 ( Jong-won Park ),이긍해 ( Keung-hae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Ubiquitous Computing 환경은 컴퓨터 중심의 환경이 아닌 사용자가 편리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된 서비스들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환경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보가 언제 어디서 사용되고 있고 어떠한 목적으로 유출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개인의 특성에 따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필요정보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biquitous환경에서 특정목적에 국한된 서비스 제공이 아닌 다양한 목적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User Model을 제안하고 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Context Content를 구별하여 Privacy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마다 독립적이고 안전한 Context-Aware Service를 제공하는 User Model은 사용자마다 정해진 정적 Context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 Context를 모두 고려하여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지닌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안된 User Model의 정의와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 KCI등재

        사용자주도형 상황인식서비스

        박정규 ( Jeongkyu Park ),이긍해 ( Keung Hae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4

        상황인식은 컴퓨터가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기술이다. 상황인식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일방적으로 개발자가 제공하는 상황인식서비스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발자주도형 모델을 따르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스스로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이 일부 제안되기도 했으나 대체로 사용하기 어렵거나 매우 단순한 형태의 서비스 구현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개인의 필요에 맞춘 상황인식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스마트홈 환경에서 사용자가 직접 실세계의 장치나 인터넷의 정보를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도비(Dobby)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문에서는 도비 모델을 상세히 설명하고 일반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정의 방법으로 Program by selection을 제안한다. 가상 스마트홈 기반의 테스트베드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도비의 서비스 개발방법이 기존의 사용자주도형 방법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보다 표현력과 사용의 편의성 면에서 우수함을 주장한다. Context-awareness is a computing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delivers useful services to users based on their situation. Most previous studies on context-awareness adopted the view that the user simply is a consumer of what the developer creates. Few studies addressed catering to the need of personalized services for the user. They are either too complex for the user to grasp or unable to express many useful services due to their weak expressive power. To address these issues, we propose Dobby as a new model and architecture for user-driven context-aware service development. Dobby enables the user to create services that are more suited to his personal preferences. We argue that Dobby offers an enhanced method for defining personalized context-aware services over existing methods.

      • 유비쿼터스 서비스 가용공간에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연구

        김양남(Yang-Nam Kim),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현재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고 실제로 이러한 서비스가 일상에 제공되기 시작하고 있지만 아무리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 주변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러한 서비스에 접근하는 방법이 불편하게 되면 그 이용률은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쇼핑몰, 공원과 같은 서비스 가용공간과 사용자와의 관계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검색하고 그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Service Mediator를 제시한다. Service Mediator를 통해 서비스 가용공간에 존재하는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전송받아 원하는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