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 빅데이터 플랫폼 성과평가 모형

        이규엽 ( Rhee Gyuyurb ),박상철 ( Park Sang Cheol ),류성열 ( Ryoo Sung Yul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개방에 있어 공공데이터 제공자의 데이터 기여 측면과 공공데이터 사용자의 데이터 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공공데이터 플랫폼 성과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NIST(2018)의 빅데이터 참조 아키텍처와 Neely et al.(2001)의 성과 프리즘을 기반으로 공공 빅데이터 플랫폼 성과평가 모형의 5개 영역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데이터 플랫폼 성과평가 영역은 이해관계자 기여, 빅데이터 거버넌스 역량, 빅데이터 서비스 역량, 빅데이터 정보기술(IT) 역량, 그리고 이해관계자 만족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공 빅데이터 플랫폼 성과평가 모형의 5개 영역과 24개 평가지표에 대한 측정 문항은 총 75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for open big data platform. In order to develop the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we have integrated big data reference architecture(NIST 2018) with performance prism model(Neely et al. 2001) in the platform perspective of open big data. Our proposed model consists of five key building blocks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open data platform as follows: stakeholder contribution, big data governance capabilities, big data service capabilities, big data IT capabilities, and stakeholder satisfaction. In addition, our proposed model have twenty four evaluation indices and seventy five measurement items. We believe that our model could offer both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leva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