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오현 시조의 창작 방법 고찰

        이경영(Lee Kyong-Young) 한국시조학회 2010 時調學論叢 Vol.33 No.-

        본 논문은 조오현 시조를 통하여 현대시조 창작의 일 방향을 고찰하였다. 조오현의 작품은 현대시조가 나아가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크게 시조의 형식과 내용측면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면에서는 조오현 시조에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는 정형의 변용과 현대적 가락, 3장 6구의 의도적 이탈, 사설의 수용 및 확장이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 현대시조 창작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시조의 한 음보를 3, 4자로 고정하려는 것은 자연스러운 우리 언어 활용을 극도로 제한시킨다. 동시에 6句로 고정시키는 것 또한 안정적이긴 하지만 분방한 언어의 틀과 현대적 사고를 제한할 우려가 있다. 물론 여기서 우리는 분명하게 선을 그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이 우리 언어의 자연스런 흐름과 연결을 전제로 한 것이어야 하지 그것이 보다 현대적이기 때문이라든지 그렇게 하는 것이 단순히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이탈이 이탈을 목적으로 행해져서는 결코 안 된다. 사설시조가 시조의 영역이 아니라고 경원시하는 태도 또한 마땅히 경계해야할 필요가 있다. 사설시조는 평시조가 가질 수 없는 영역을 방법론적으로 이어주는 또 하나의 미적 장치이기 때문에 시조의 다양함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영역이고, 시조가 하나의 완전한 장르로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점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창작에 있어 내용의 현대성 또한 간과할 수 없는 하나의 측면인데 조오현의 작품을 통하여 우리는 개인의 속물주의 경계 정신과, 문명에 대한 비판과 풍자, 에코페미니즘 미학의 구현이라는 세 가지 특성이 잘 드러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내용이 개인사적인 문제라면 두 번째는 이의 대사회적 적용의 문제라 볼 수 있다. 이 세 가지 시적 특성은 점점 개인화 되어가고 탈중심주의적 세계관으로 지리멸렬해가는 21세기에 강도 높은 비판과 대안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모두에서 시조혁신론을 주창한 가람 이병기가 염려한 시조의 형식적인 면의 창조적 수용은 적어도 조오현이 구사한 자유자재한 형식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더욱이 미래시학의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에코페미니즘의 미학을 조오현의 시조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은 그의 작품세계가 현대시조 창작방향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반증해준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I have surveyed on the possible direction in sijo composition by the analysis of Jo Oh-Hyeon's sijo poems. Jo's sijo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as possible alternative model for modern sijo poems. This paper analyses his poem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ir literary form and contents. As a result of this survey I have found that his sijo formats can be useful in the composition of modern sijo poems. His sijo poems adopt both regular and varied forms. They prefer modern rhythms. He intentionally refuses to use the conventional sijo format of 3 sentences with 6 phrases. Instead, he used to accept and expand narrative style of sijo forms. These features of Jo's sijo can be helpfully applied to the variation of modern sijo style. Three to four syllable-words in one foot in a sijo can restrict a natural rhythm of the Korean language. And six-phrase format, though it is very stable, will also lays limitations on the flexible language structure to express modern thoughts. But, there is one thing we should never forget. That is all these efforts must be made, considering a natural stream of human emotion. These variation efforts should not be adopted for their convenience's sake. In this respect, I think narrative sijos cannot be positively included in the proper area of sijo literature. I think narrative sijo is one of the literary genre which can methodically cover the limitations of regular sijos. For the variation of sijo poems, I think narrative sijos are prerequisite. We must remember that narrative sijos must never be neglected for an ideal form of literary kind. In sijo composition, uses of comtemporary themes are also very important. Jo's sijo have three major modern themes: his argument against snobbishness which reflects his personal concern; his satirical criticism on the civilization which shows his social consciousness; and his eco-feminism. These three features are very much significant as I suppose that they are the high critical alternatives for the sijo writing of the 21st century, which will be a world of individualism and de-centeredness. Garam Lee Byeong-Gi once proposed his renovative theory of Korean sijo poems. In his proposal, he argued that Korean sijos must creatively seek for varied adaptation in the formative style. I think Jo's free style does not deviate from Garam's ideal sijo format. In addition, we can find many eco-feministic topics in Jo's sijos. This tells us that Jo's sijos can be a good example for Korean contemporary sijos to find a new direction.

      • KCI등재

        소아 청소년 정신건강 선별검사 및 치료 연계 효율성에 대한 연구

        김효진(Hyo-Jin Kim),조수철(Soo-Churl Cho),김재원(Jae-Won Kim),강제욱(Je-Wook Kang),신민섭(Min-Sup Shin),김효원(Hyo-Won Kim),윤명주(Myung-Ju Yun),이경영(Kyong-Young Lee),강연주(Yun-Ju Kang),김붕년(Boong-Nyun Kim)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9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0 No.3

        Objectives: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screening and treatment linkage programs, focusing o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dolescent depression. Methods:All 11,158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8-14 years in Seoul received a school-based mental health screening, consisting of the Korean versions of the ADHD rating scale and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for ADHD,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S) and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Junior (SIQ-JR), for depression. The high-risk children’s and adolescents’ diagnoses were confirmed using the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IV (DISC-IV). Treatment linkage programs were managed by the Seoul Metropolita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Program 1),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rogram 2), or the Dongjak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Program 3). We estimated and compared the referral rates of the three programs. Results:Program 1 screened and referred 22.9% of ADHD youths to mental health services, Program 2, 68.8%, and Program 3, 40.0%. Program 1 screened and referred 22.8% of depressed youths to mental health services, Program 2, 53.8%, and Program 3, 88.9%. Key elements for successful screening and referral programs were an effective school/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Office of Education network, the parents’ finan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their child’s mental health status as being problematic, and the teachers’ active engagement. Conclusion:This is the first study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screenings’ linkage to treatment for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 effective network for community mental health and improvements i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mental health are needed for more successful treatment link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