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계획 봉사활동, 스스로계획 봉사활동, 물질기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개인적 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이경상(연구원) ( Kyeong Sang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물질기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개인적 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나눔 관련 활동들의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 개인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물질기부의 세 부분으로 나눠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는 다문화수용도, 공동체의식, 자아존중감, 진로성숙, 리더십, 학교적응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2015년 5월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고 1∼3학년 청소년들 중 층화다단계집락표집에 의해 표집된 7,05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집단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표준화가중치를 부여한 후 빈도분석, 교차표분석, 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지난 1년간 한국 청소년들의 78.1%가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45.1%가 스스로 계획한 봉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51.8%가 물질기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나눔 관련 활동들은 물질기부,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의 순으로 청소년들의 사회적, 개인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시간 확대, 청소년 물질기부의 제한적 활성화를 정책적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 of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y,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and material donation activity on the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and further to suggest policy improvements through these sharing activ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y,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and material donation activity. The 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multicultural acceptance, community spirit, self respect, career maturity, leadership and school adaptation. In May 2015 self-reported group surveys were conducted; group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6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1-3 grade), and high school students (1-3 grade). 7,05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by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fter giving the standardized weights. The results showed that 78.1% of participants have taken part in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ies, 45.1% of participants have participated in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and 51.8% of participants have participated in material don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se sharing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the order of material donation activities,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and school-planned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is, the policy improvements of sharing activities present that adolescents would spend more time doing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and adolescents’ material donation activities would be promoted within the limited r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