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후만곡증에 동반된 임신의 임상적 고찰

        김승룡(SR Kim),이경구(KK Lee),유중배(JB Yoo),김경태(KT Kim),문형(H Moon),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1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는 1977년 1월부터 1988년 12월사이 본원에 입원하 여 분만한 척추만곡증을 동반한 임신 10예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동기간중 분만건수는 21790예로 척추만곡증과 동반된 임신의 빈도는 1/2179이었다. 2. 산모의 평균연령운 28.5세, 평균신장은 140.5cm, 체중은 42.3kg이엇으며 초산부 9예, 경산 부 1예였다 3. 척추후만곡증의 부위는 흉추 7예, 흉요추부 2예, 요추 1예였고 원인은 외상 4예, 소아마비 1예, 나머지 5예는 병력상 원인을 알수 없었다. 4. 분만전에 심폐부전을 보인예는 2예로 모두 임신 35주경부터 소견이 있었고, 다른 2예에서 는 임신성고혈압을 동반하였다. 5. 분만시의 임신주수는 평균 39.3주였으며 1예에서는 심부전증으로 인하여 37주에 조산을 하였다. 6. 10예모두 제왕절개술로 분만하였으며 이중 2예에서 고전적제왕절개술을 시행하였다. 7. 출생아의 평균체중은 2730gm이었고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은 5예에서 있었다. 8. 분만후 심폐부전이 새로이 발생한 예는 없엇으나 1예는 분만전 발생한 심부전이 회복되 지 않아 8개월후에 사망하였고, 다른 1예는 분만후 2일까지 빈호흡의 증상을 보였으나 호흡 하였다. From January 1977 to December, 1988, 10 cases of pregnancy associated with kyphoscoliosis were experinced at Hanyang Univircity Hospital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During this period , the frequency of pregnancy associated with kyphoscoliosis was 1 to 2179 delivery. Mean height and weight of mother were 140.5cm and 42.3kg respectively. Affectived sites of spine were thoracic in 8 thoracolumbar in 2 and lumbar in 1, the causes of kyphoscoliosis wer trauma in 4, poliomyelitis in 1, and unknown in 5. The mean duration of disease was 24.4year . Cardiopulmonary decompensation symptoms developed in two patients at neat term and were managed conservatively to delivery. All the patients were delivery by cesarean section between 38 and 41 weeks . The mean birth weight was 2730 gm. Five of 10 babies showe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 Nine patients showed uneventful postoperative course, but one patients who had shown antepartal decompensatory symptom died of cardiac failure 8 months later

      • KCI등재

        초음파검사에 의한 정상임부의 자궁경부 측정

        박성철(SC Park),이경구(KK Lee),유중배(JB Yoo),조삼현(SH Cho),김경태(KT Kim),황윤영(YY Hwang),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저자는 정상임부의 자궁경부 길이 및 내경구 개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987년 3월1일부 터 1987년 8월 31일까지 정상임부 162명과 대조군으로 비임신 여성 68명을 대상으로 비교분 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가임 연령의 비임신 여성에서 평균 자궁경부 길이는 2.8+-0.6cm이었으며 연령별 평균치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0.05), 임부에서의 평균 자궁경부 길이 3.6+-0.9cm 에 비교하여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68) 2. 자궁경부 길이는 초임부에서 1.8-5.9cm이었고 그평균은 3.5+-0.9cm이었으며 경산부에서 는 2.0-5.9cm이엇고 그 평균은 3.8+-0.8cm이었다. 임신 전 기간(5주-41주)에서 초임부와 경산 부 간의 자궁경부 길이의 비교는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임신주수 에 따른 자궁경부 길이의 변화도 초임부와 경산부 각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 3.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는 초임부에서 0-1.2 cm이었고 그평균은 0.10+-0.0cm이었으며 경산 부에서 0.-1.4cm이었고, 그 평균은 0.02+-0.05cm이었다. 임신 제 5주-36주에서 초임부와 경산부 간의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의 비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임신 37주-41주에서 초임부보다 경산부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임신주수에 따른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의 변화도 초임부와 경산부 각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of the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in normal pregnancy can provide an objective assessment of anatomical shortening associated with premature labor and delivery. One hundred sixty-two uncomplicated pregnant women underwent serial ultrasonographic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mesurements by gestational age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School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st, 1987 to August 31st 1987. In this group , 97 were nulliparas and the remainders (n=65) were multiparas. As a control group , sixty-eight normal non-pregnant women (20-40years old) were also studied by the same method. The mean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were compared between nulliparas and multiparas, and between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mograms of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by gestational age were illustrated. 2. The mean cervical length of nulliparas were similar to those of multiparas from 5 to 41 weeks of gestation (3.5+-0.9 cm vs 3.8+-0.8cm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f cervical length between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3.6+-0.9cm vs 2.8+-0.6 cm p>0.05). 3. the mean cervical dilatation of nulliparas were similar to those of multiparas from 5 to 36 weeks of gestation (0.10+-0.0cm vs 0.20+-0.5 cm p>0.05).

      • KCI등재

        음향자극후 태아심박동의 정량적 분석

        이재억,박문일,이경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2

        1991년 1월 1일이후 본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산모증, 분만전에 NST및 AST를 같은날에 실시한 임신 37주이상 산모 550예에서, 현재까지 분만후 1분과 5분의 Apgar 점수가 각각 7점이상이며, 제대동맥 혈액의 pH가 7.25이상으로 확인된 정상임신 84예를 대상으로 음향자극검사를 시행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태아심박동의 정량적 분석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음향자극후의 기본 태아심박동수는 141.5 bpm에서 150.4 bpm으로 8.9 bpm이 음향자극전보다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2. 음향자극후 각 조합에서의 태아심박동증가 배수의 변화는 10 sec-10 bpm 조합에서는 2.5배, 10 sec-15 bmp 조합에서는 4.95배, 15 sec-10 bpm 조합에서는 3.28배 증가하였으며, 15 sec-15 bpm조합에서는 4.17배로 음향자극전보다 모두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이를 특히, 증가시간 (즉 sec)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비교해 본 결과, 즉 10 sec-10 bpm 및 10 sec-15 bpm의 비교와, 15 sec-10 bpm 및 15 sec-15 bpm의 비교 모두에서 각각 의의있는 증가가 있었다. 이로 미루어 음향자극이 태아심박동의 증가 지속시간(sec) 보다는 증가폭(bpm)에 우선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음향자극은 태아심박동의 증가지속시간(sec)보다는 증가폭(bpm)에 우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태아심박동 증가의 판정에서, 태아심박동의 증가폭(bpm)을 평가하는 것이 지속시간(sec)을 평가하는 것보다 더욱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향후 음향자극 검사에서 육안적 판독을 배제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 태아심박동증가의 정량적 변화를 측저안 결과는 태아의 중추신경계의 성숙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Electronic fetal heart rate (FHR) monitoring has become popular method of assessing fetal sell-being. The test using FHR response to externally applied sound, namely acoustic stimulation test (AST), is currently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tool of nonstress test(NST). However, there were only few reports regarding computerized FHR analysis in the AST. Individual subjective analysis of FHR tracings can be replaced with an automated computerized objective analysis system. This computerized analysis system also enable us to interpret the FHR data more quantitatively compared to visual interpretation. Five hundred and fifty normal term pregnancies entered to this study and 84 cases who revealed normal pregnancy outcomes were chosen for active study. After conventional 20-minutes NST, 10-minutes AST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with a programmable acoustic stimulator (90 dB, 500 Hz) which already developed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e analyzed the FHR response after acoustic stimulation using our on-line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HYFM-1 software. We categorized the criteria of FHR acceleration as following 4 combinations; 10 sec-10 bpm, 10 sec-15 bpm, 15 sec-10 bpm, and 15 sec-15 bpm. The changes of baseline FHR, variability, number of fetal movements, and loss of singal were also analyzed using HYFM-1. When each duration of FHR acceleration is fixed, significant increments were observed in each 15 bpm combination groups. It would be suggested that $quot;the bpm$quot;, duration of FHR acceleration was more influenced by acoustic stimulation than $quot;the time$quot;, duration of FHR acceleration. This quantitative analysis of FHR after acoustic stimulation would be helpful in the study of mechanism of FHR accel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