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학적 개념을 적용한 전시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작품 "take out your garden"을 중심으로-

        김도아(주저자) ( Do Ah Kim ),김수연(주저자) ( Su Yeon Kim ),박가현(주저자) ( Ga Heon Park ),윤희수(주저자) ( Hee Su Yu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2015년 9월~12월까지 S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전시디스플레이’ 교과목에서 도출된 결과물인 전시디스플레이 기획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시디스플레이 기획 프로세스는 사회적 문제와 이를 미학과전시로 연계하여 코딩하는 과정들을 밝힘으로써 향후관련분야에 있어서 창의적인 방법들로 전시기획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방법은 미학적 개념과 전시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론적고찰을 통해, 브랜드 전시디스플레이의 프로세스를 전시개요, 전기기본계획, 전시세부계획, 전시연출계획으로 구성하여 그 과정들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존의 획일화된 전시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에 ‘미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브랜드+미학+전시디자인’과 ‘사회적문제발견+미학으로의 코딩’ 이라는 새로운 창의적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여 전시디스플레이디자인에서 새로운 방향성과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활발한 융합연구하는데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exhibition display planning process or the output from the ``Exhibition display`` subject of the Environment Design Department of S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The exhibition display planning process or the study subject discovered the coding process by linking social issues to the aesthetics and exhibition and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xhibition planning with creative methods in the related fields in the future. The research method forms the brand exhibition display process with the exhibition overview, basic exhibition plan, specific exhibition plan and display direction plan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exhibition display and aesthetic concept to discover the process. The study introduces the ``aesthetic concept`` to the standardized exhibition design process, proposes new and creative design methodology called ``Brand, aesthetics and exhibition design`` and ``Social discovery and aesthetic coding`` to set up the foundation for the robust convergence research by proposing new direction and idea in the exhibition display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