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가상 데스크톱 이미지의 계층화 저장을 위한 블록 레벨 가상 디바이스 연구

        안재훈(Jae-Hoon An),윤현식(Hyun-Sik Youn),손재기(Jae-Gi Son),전기만(Ki-Man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4 No.5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서비스의 발전에 따라 가상 데스크탑 환경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 데스크탑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추가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비용이 소요되어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마다 전체 운영체제 이미지 등의 저장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저장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가상 데스크탑 이미지의 효율적인 저장을 위해 리눅스의 블록 레벨 가상 디바이스에 관한 연구이다. 블록 레벨의 가상 디바이스는 가상 데스크탑 이미지를 공용 블록과 개인화 블록으로 나뉘어 효율적으로 저장한다. 기존 블록 디바이스와 가상 데스크탑 환경의 성능저하 없이 28% 이상의 저장공간을 절약,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VDI) environment is widely used in several department. However, the high cost for building a VDI system makes hard to be diffused. Particularly, serving a storage use to save such Operating System and Images that use an expensive and voluminous storage. This paper is a study of linux block level virtual device to reduce the VDI storage size, thus will provide cost saving effect. An block level virtual device stores image by dividing a public block from private block. As a result, this block level virtual device features reducing a 28% of storage size and saving effectively without a falling-off in performance.

      • 산업공단에서의 초기강우 유출수 오염물질 특성 및 처리

        신응배,윤현식,김연권,김범수 漢陽大學校 環境工學硏究所 1998 環境科學論文集 Vol.19 No.-

        강우시 발생하는 우수유출수에는 초기세척효과(first-flush-effect)로 BOD, SS를 비롯한 고농도의 다양한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방류선 수체로 유입되어 주변수체의 수질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와 조사가 진행중에 있으며, EPA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방류선 수체의 수질오염 문제 중 약 30%가 강우유출수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한바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인접해 위치하고 있는 S산업공단을 대상으로, 강우시 공단내에서 발생하는 우수유출수에 대해 유량변화 및 수질분석을 수행하였다. S공단은 석유·화학, 기계·금속업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분류식하수 배제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공단내 발생되는 우수유출수는 전량 지천으로 배출되고 있다. 시료채취는 공단을 배수구역별 5개 구역으로 구획 후, 해당 배수구역에 대하여 고정모니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강우유출수의 수질을 분석·평가하였다. S산업공단에서 발생되는 우수유출수에는 BOD, COD, SS, TN, d-Fe, Zn, Cu 등의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이 검출되었다. 특히, 석유·화학산업, 식품산업, 일반폐기물 야적장 등에서는 BOD, COD, SS, TN등의 일반오염물질 항목들이, 기계·금속산업, 고철 야적장 지역에서는 중금속 항목의 오염물이 고농도로 측정되었다. During the early stages of a storm, significantly higher BOD, SS and other pollutants loadings may occur. This temporary increase is the result of the so -called "first-flush-effect". First flush runoff in the storm is a typical nonpoint source of polluting adjacent water bodies by overflowing pollutants accumulated in street surface from domestic, commerical and industrial area. The quality of storm water runoff is a major concern in the world. In the National Water Quality Inventory, 1990 Report to Congress, states estimated that ∼30% of identified case of water quality impairment are attributable to storm water discharges. (U.S. EPA 1992) In this study, "S" industrial complex located near Seoul metropolitan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storm water runoff from industrial complex. Major industries of 'S' area were petroleum-chemical industry, metal-mechanical industry, etc. Also, storm water runoff was directly discharged to small artificial channel through storm sewer lines of separated sewer system in 'S' industrial complex. The concentration of several items such as BOD, COD, SS, TN, d-fe, Zn, Cu were founded in storm water runoff from the 'S' industrial complex catchment. Especially, petroleum-chemical industry, food industry, junkyard were exposed to high rate concentration of convention of conventional pollutants, such as BOD, COD, SS, TN, in first flush runoff samples. Higher levels of heavy metals were found at metal-mechanical industry, metal storage on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