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승강장에서 스마트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와 이용 환경간의 상관성 - 시 환경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문서현 ( Suhhyun Moon ),윤철재 ( Cheoljae Yoon ),조연주 ( Younjoo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스마트 IT시대의 공간적 제약 없는 스마트 폰의 활용은 일시적 유행을 넘어서는 라이프 스타일의 대혁신이자 새로운 주류의 패러다임이지만 이와 같은 편리함 이면에는 생활 속 IT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특히 공공영역에서의 이용활성화에 따른 부작용과 안전의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 공공교통시설인 역에서 일시적 대기와 이동을 수행하는 기능적 거점으로서 열차운행과 직접관련이 있으며, 한정된 공간 범위적 특성으로 인해 기타의 공공영역에 비하여 다수의 스마트폰 활용이 더욱 공간의 기능성과 공공성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되는 철도 승강장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하여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가 활성화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여 환경과 행위 간 상관성 이론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의 물리적 이용 환경 구성의 기본이 되는 지상과 지하의 위치관계 및 상대식과 섬식의 설치유형, 그리고 전락방지 안전시설(스크린 도어)의 설치유무부터 시간대별 이용혼잡도를 기준으로 유형화한 이용 환경의 내용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처리 행위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결과)「지하의 섬식 승강장에 스크린 도어같은 전락방지 시설이 설치된 안전하고 시각적 패쇄감이 높은 환경」에서 자기 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승강장의 공간 자원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 같은 대기행위의 지속적 증가의 대비를 위해서 승강장내 시선처리와 관련된 시 환경과 행태의 상호성을 토대로 하는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생각되어 진다. 개선방안의 모색을 위하여 간접 배경 자원의 내용을 기준으로 4개의 시 환경 유형별 정의하고 환경과 시선 처리 행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의 빈도가 가장 높은 시 환경은「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은 지하의 상대식 플랫폼」인 유형 4로서 전체의 57.42%의 발생 빈도를 보였다. 즉,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는 지상보다 지하에서, 광고 등의 배경 자원 밀도에 비례하여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분석되었다. (결론) 이상에 고찰에서와 같이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하는 자기 자원 활용형의 대기행위를 저감시키기 위한 승강장 환경의 정비의 요소는 광고를 중심으로 하는 간접 배경자원(시 환경)이 될 수 있다. 일 방향적 단순 광고에 의한 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고, 여기에 적절한 광고 시설의 설치와 운영을 통해서 시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is age of smart IT, there have been adverse effects and safety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use of smartphones in public spaces. In view of this, we examine railway stations a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as they represent functional bases of temporary waiting and transit in direct connection with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Furthermore, owing to the constrained spatial characteristic of platforms,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represents a greater threat factor to their spatial functionality and public quality relative to other public spac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systematizing a theory of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behavior through deriv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under which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is activated. (Method) This study categorizes platforms based on the basic physical components of their use environment, including the type of ground-level/underground-level arrangement, side/island type layout, whether screen doors (safety features to prevent falling) exist, and congestion levels by time of day, and how they are interrelated with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s,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Results)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safe and highly enclosed environments such as underground island platforms with screen doors or other anti-falling barrier features,” interaction with one’s own media dominated the spatial resources of the platform. In preparation for the continued growth of such waiting behavior in the future, we believe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visual environment and behavior, with regard to eye movements inside platforms. To explore such measures, we defined four types of visual environments based on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and analyzed the eye movement frequencies of ea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visual environment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was the “underground platform with a high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type 4), which was associated with 57.42% of the occurrences. Thus, there was a higher tendency for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in underground than ground-level platforms, and in places with higher densities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ads. (Conclusions) As seen here, the relevant factor in maintaining platform environments for reducing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s, such as smartphone use, may be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i.e., visual environment)―in particular ads. We should focus on the fact that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tends to increase with the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simple unidirectional ads, which points to the need for improving visual environments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dequate advertisement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