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포형 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예경보 시스템

        조홍제,임민수,윤종춘 울산대학교 1999 공학연구논문집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분포형 유출모형인 TOPMODEL (Topograpy-based hydrological model)을 수정 보완하고, 실제의 강우현상을 표현하는 연속강우형 곡선인 무차원 삼각형 우량주상도로써 강우의 시간분포에 따른 유출모의를 통하여 홍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모형에 필요한 지형인자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된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인 사연댐 유역을 가로, 세로 50m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각각의 격자가 가지고 있는 독립적인 입력자료들을 추출하였다. 또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물수지를 계산하고 단방향 흐름경로 알고리듬에 의하여 지표흐름을 추적함으로써 유역의 전반적인 시간적, 공간적 수문량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은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였으며 GIS 도구 중의 하나인 ARC/INFO의 ARC 와TIN 그리고 GRID 모듈을 이용하여 모형의 실행에 필요한 입력자료를 추출하였고 ARC/INFO의 내장언어인 AML(Arc Macro Language)을 사용하여 모형의 실행 및 결과를 출력하였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modify TOPMODEL(Topography-based hydrological model) of existing distributed runoff model by grid-based water balance method and present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development method using a actual rainfall pattern from the dimensionless triangular distribution. The geographic data to simulate model used physiographic map scale 1:5,000 manufactured by the Geography government houses. The test area selected SayeonDam watershed and that was divided into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ize 50m raster cell. besides, as each grid cell had hydrologic data, the model calculated grid-based water balance and analyzed general spatially=temporally hydrologic information of watershed with a routing surface flow by single flow direction algorithms. The supported all grid data used ARC. TIN, GRID modules and AML(Arc Macro Language)of Arc/Info one of th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

      • KCI등재후보

        계층분석과정기법(AHP)을 이용한 하천자연도평가법 개선

        조홍제,윤종춘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3

        하천환경정비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자연도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박봉진 등이 제안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개선하여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계층분석과정(AHP)을 적용하였다. 토목공학과 환경공학을 전공한 83명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하천자연도평가법의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 산정결과 총 14개 평가항목 중에서 수질, 흐름의 다양성, 저수로변 식생, 수로의 굴곡, 홍수터의 식생, 저수로 폭 다양성, 하상재료의 다양성 등 7개 항목의 가중치가 높았다. 개선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회야강, 안양천, 아미천에 적용하였고, 자연성이 훼손된 구간에 대한 변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선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하천환경정비사업에서 사업구간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하천자연도를 이용한 자연형하천 대안 선정기법

        조홍제,윤종춘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3

        도시하천은 하천특성이 다양하므로 각 하천별 자연형 하천정비계획을 위한 대안 수립 및 선정방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국내의 자연형 하천복원관련 지침이나 기준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연성의 회복에 있으며, 최근에는 친수성 증진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본 연 구에서는 자연형 하천정비계획 및 사업의 대안선정에 하천자연도를 사용하였다. 국내실정에 맞도록 개발된 AHP를 이용한 하천자연도법을 사용하고, 유럽의 도시하천복원지침(URBEM, Urban River Basin Enhancement Methods)을 참고하여 자연형 하천정비계획의 대안을 간편하게 비교·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항목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 후, 복수의 대안을 구성하고 대안별 하천자연도를 산정하여 비교함으로서, 각 대안별 자연성 회복효과 및 하천정비계획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따라서 하천자연도 평가항목을 평가자가 대상하천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대안을 선정하면 자연형하천계획 수립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다기준 의사결정을 활용한 자연형 하천 대안 선정

        조홍제,황재호,윤종춘 한국습지학회 2010 한국습지학회지 Vol.12 No.2

        하천의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복원 계획수립 및 선정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하천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은 하천 본래의 자연성 회복에 있으며, 최근에는 친수적 증진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복원 대안선정에 하천자연도을 적용하였다. 또한 하천자연도는 국내실정에 맞도록 다기준 의사결정을 활용하 여 개발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대상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항목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 여 선택한 후, 복수의 대안을 구성하고 대안별 하천자연도를 산정하여 비교하면, 각 대안별 자연성 회복효과 및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