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에 대한 동향 분석 : 2011년~2021년 논문을 중심으로

        혜정(Yoon Hye Jeong),황예림(Hwang Ye Rim),윤수빈(Youn Su Bin)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에 대한 향후 연구 방향과 주제를 모색하고 활성화시키며, 근로 장애인을 위한 방안 마련과 제언적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장애인일자리사업이 갖는 현실적인 문제와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 방향에 길잡이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논문, 학위논문(박사), 학위논문(석사) 34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제언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는 2011년~2017년 사이 급증하였고, 그 이후 다소 주춤한 동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의 주제는 장애인 일자리사업과 영향요인의 주제에 편중되어 이루어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의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등의 문헌대상이며 연구대상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난 시기는 2017년~2019년이다. 넷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의 자료수집방법은 양적연구가 32편(94%)을 차지하였으며, 양적 연구 중 실험법을 통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개발 및 배치를 통한 고용의 질 향상’, ‘물리적, 사회적인 근무환경 개선’ 등은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에서 10년동안 꾸준하게 제시되는 제언이며 최근 2020년대에 들어서, 초기에는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제언들의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양적인 분석과 적은 연구대상으로 심층적 분석에 어려움을 가짐을 밝히며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제고한다. 또한, 이에 관련된 현실적 문제를 개선하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현대적인 패러다임을 수반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 d, sought and activa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opics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nd suggested a new paradigm for the disable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serves as a guide to the direction of research that can respond to the practical problems and demands of the current job program for the disabled. To this end, from 2011 to 2021, 34 academic papers, dissertation (Doctor’s/Master"s thesis)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for research period,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uggestion tre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increased rapidly between 2011 and 2017, and has been somewhat stagnant since the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opics of research related to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topics of job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influencing factors. Third, the subjects of research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re personal subjects such as the Employment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and the most diverse subjects were from 2017 to 2019. Fourth, 32 quantitative studies(94%) accounted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of research related to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nd most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experimental methods. Finally, “improv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through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and "improving the physical and social working environment" are proposals that have been steadily presented for 10 years in research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nd in the 2020s, a paradigm of new proposals has emerged. This study reveals that it is difficult to analyze in-depth with quantitative and small research subjects, and enhances interest i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that can improve the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this reserch,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nvolve a modern paradigm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