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질 함량에 따른 고화토의 역학적 특성과 식생발아 특성과의 관계 분석

        윤대호(Daeho Yun),김윤태(Yuntae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12

        준설토 내 유기물질은 지반침하, 균열, 지지력 저하 및 내부마찰각 감소 등 지반공학적으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반면 농업의 관점에서는 지반 내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수록 양질의 토사로서 식생의 성장에 크게 기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기질을 함유한 준설토를 재활용하여 고화토를 제작하였으며, 고화토의 유기질 함량(0 %, 10 %, 20 %, 30 %)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식생발아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유동성 시험, 일축압축 시험 및 압밀 시험 등 다양한 실내 시험을 통해 고화토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pH, 발아율 및 초장길이 측정을 통해 식생발아 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일축압축강도는 감소하고 압축지수 및 팽창지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생의 발아율 및 초장길이는 유기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Organic matter in dredged soil has a lot of engineering problem in ground including a large settlement, crack propagation, low bearing capacity and low friction angle. From an agricultural point of view, however, organic matter contributes greatly soil quality and plant health.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gineer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tabilized mixture consisting of different ratios of organic content (0 %, 10 %, 20 %, 30 %) for recycling dredged soil including organic matter. Several series of laboratory tests such as flow test, unconfined compressive test and consolidation test were performed to find out engineering characteristics. pH, percent of germination and growth of plants were also measur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as organic content increased, unconfined compressive stress decreased and compression and swelling indices increased. However, percent of germination and plant growth increases as organic content increases.

      • KCI등재

        피압에 따른 연약지반의 압밀 거동

        윤대호(Daeho Yun),김재홍(Jaehong Kim),김윤태(Yuntae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6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7 No.2

        일반적으로 고함수비를 가진 연약지반의 경우 압밀 촉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연직배수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부산 점토는 대심도 연약지반 아래에 존재하는 모래 및 자갈 대수층에 피압이 관측되었다. 그러나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에 피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부산 낙동강 하구 연약 지반에 피압의 작용 유・무에 따른 압밀 거동을 조사하기 위해 일차원 대형 컬럼 장치를 제작하여 점토지반의 압밀 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최종 침하량은 피압이 작용하는 지반이 피압이 작용하지 않는 지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피압의 상향침투로 인해 점토층의 유효응력이 감소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피압이 작용하는 지반의 경우 과잉간극수압이 완전 소산되지 않고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배수 전단강도는 피압이 작용하지 않는 지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Vertical drain has usually been used to accelerate the consolidation of soft clay deposits with high moisture content. Busan thick clay deposits are subjected to artesian pressure from an aquifer in sand and gravel layers. However, effect of artesian pressure existing in drainage-installed soft ground on consolidation behaviors is not well know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solidation behavior of drainage-installed soft ground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with artesian pressure and without artesian pressure. A series of one-dimensional large size column 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clay.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settlement of clay with artesian pressure was higher than that without artesian pressure because effective stress decreased due to upward flow. Dissipation rate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delayed and excess pore water pressure did not fully dissipate in clay layer with artesian pressur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clay ground with artesian pressure was lower than that without artesian pressure.

      • KCI등재

        정수슬러지의 혼합비율 및 폐어망 보강에 따른 혼합토의 공학적 특성

        윤대호(Daeho Yun),김윤태(Yuntae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4

        본 논문에서는 정수슬러지와 폐어망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정수슬러지의 다양한 혼합비율(0%, 10%, 30%, 50%)과 폐어망 보강형식(무보강, 무처리된 폐어망, 본딩처리된 폐어망)에 따른 혼합토의 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처리된 폐어망과 본딩처리된 폐어망을 혼합토에 보강하여 흙 입자와 폐어망 표면 사이의 억물림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다짐시험, 삼축압축시험, 압밀시험, 투수시험과 용출시험과 같은 다양한 실내시험이 수행되었다. 시험 결과 정수슬러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및 투수계수가 감소하였으나 최적함수비, 압축지수, 팽창지수 및 압축비는 증가하였다. 또한 폐어망 및 본딩처리된 폐어망이 보강됨에 따라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이 증진되었다. 용출시험 결과 환경부가 고시한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recycle both water sludge and waste fishing net(WFN), it was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mixtures that consisted of different content of water sludge(0%, 10%, 30%, 50%) and reinforced with waste fishing net(unreinforced, untreated WFN, glue treated WFN). WFN or glue treated WFN(1&2 layers) was also added to the mixture to improve the interlocking between the soil particle and WFN. Several series of laboratory tests such as compaction test, triaxial test, oedometer test, permeability test and leaching test were carried out. The experimental test results indicated that, as water sludge content increases, maximum dry unit weight, cohesion, friction angle, and permeability of the mixture decrease, while optimum moisture content, compression index, expansion index and compressibility increase. For the case of reinforced mixture, its cohesion and friction angle are increased due to the inclusion of WFN and glue treated WFN. Leaching result of mixture was satisfied with standard of ministry of environment.

      • KCI등재

        정수슬러지를 혼합한 경량토의 보강에 따른 강도 및 용출 특성 분석

        윤대호(Yun, Daeho),이병헌(Lee, Byunghun),김윤태(Kim, Yunta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8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료(폐어망, 본딩처리된 폐어망, 지오그리드)와 보강층수(1층 및 2층)에 따른 정수슬러지 혼합 경량토의 강도 및 용출 특성을 비구속압축시험과 용출시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정수슬러지가 혼합된 경량토는 정수슬러지, 시멘트, 저회를 유동성에 맞춰서 배합·제작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보강재료는 폐어망과 지오그리드이다. 흙입자와 폐어망 사이의 억물림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딩처리를 한 폐어망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정수슬러지가 혼합된 경량토에 대한 강도시험 결과 보강재료에 따른 강도증진은 폐어망, 본딩처리된 폐어망, 지오그리드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보강층수가 1층에서 2층으로 증가할수록 강도 역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수슬러지를 혼합한 경량토에 대한 용출시험을 분석한 결과 환경부가 고시한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strength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water sludge-added lightweight soils(WALS) considering reinforcing materials(waste fishing net, glue treated waste fishing net and geogrid) and layer(1 or 2 layer) were investigated using unconfined compression test and leaching test. Several specimens of water sludge-added lightweight soil consisted of water sludge, cement, and bottom ash were prepared according to flowability. Reinforcing material added into these specimens were waste fishing net and geogrid. A glue treated waste fishing net was also added in order to increase interlocking between soil mixture and waste fishing net. Strength increased in the order of WALS reinforced by waste fishing net, glue treated waste fishing net, and geogrid. Strength of specimen with double layer-reinforcing material was greater than that of specimen with single layer-reinforcing material. Leaching result of WALS was also satisfied with standard of ministry of environment.

      • KCI등재

        피압에 의한 점토 지반의 용탈 특성

        윤대호(Yun, Daeho),김윤태(Kim, Yuntae)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6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피압의 작용에 따른 점토 지반의 용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두 종류의 원통형 일차원 대형 컬럼 장치(높이 : 1,100mm, 직경 250mm)를 제작하여 점토 지반의 압밀 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압의 크기는 5.5kPa로 하부지반에서부터 작용하도록 하였으며, 압밀 실험 종료 후 점토층의 깊이에 따른 염분의 농도와 비배수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배수 전단강도 및 염분 분포는 점토층 하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부로 갈수록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피압이 작용할 경우 점토층 내에 용탈현상이 발생하여 지반이 구조적으로 취약해져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시간에 따른 간극비 변화를 살펴본 결과, 피압이 작용하는 지반에서 간극율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paper performed consolidation tests on soft ground with and without artesian pressure condition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leaching effects using two types of one-dimensional column equipment(height : 1,100mm, outer diameter : 250mm). Artesian pressure of 5.5kPa was applied to the bottom of soft ground inside column equipment.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shear strength with soil depth were measured after the consolidation test.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distribution of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salt concentrations were similar at the top of clay ground irrespective of artesian pressure condition. However, at the bottom of clay ground, the value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salt concentration under artesian pressure were lower than those without artesian pressu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ructure of soft soil with artesian pressure was weakened by salt leaching. Electronic resistance results showed that void ratio under artesian pressure condition was more reduced than that without artesian pressure condition.

      • KCI등재

        배치 형태에 따른 사각형 복합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특성

        윤대호(Daeho Yun),김윤태(Yuntae Kim)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7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사각형 복합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형 수조 침하 실험, 2차원 흐름 수조 실험 등 다양한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인공어초의 각 배치 형태(배치도 A; 나란히 배치된 형태, 배치도 B; 지그재그로 배치된 형태)에 따른 세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 무보강된 인공어초에 비해 지오그리드가 보강된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깊이가 크게 저감되었다. 인공어초 배치 형태에 따른 세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흐름 수조 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배치도 A의 세굴 깊이와 유속 벡터는 배치도 B보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several laboratory tests such as water tank settlement test and two-dimensional water flow test to investigate settlement and scour characteristics of a square-shaped hybrid reef which was reinforced with geogrid. In addition, numerical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find out scour characteristics of the square-shaped hybrid reef with different placement types (type A; straight placement type, type B; zigzag placement type). Laboratory test results indicated that settlement and scouring depth significantly reduced in hybrid reefs reinforced with geogrid, compared with those without reinforcement. Two-dimentional water flow tests and numerical test results also showed that scouring depth and flow velocity of placement type A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type B.

      • KCI등재

        연직배수재가 부분 관입된 점토지반의 피압에 따른 압밀 거동에 관한 연구

        윤대호(Daeho Yun),Nguyen Ba Phu,김재홍(Jaehong Kim),김윤태(Yuntae Kim)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6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5 No.1

        부산 낙동강 하구 대심도 연약지반 아래에 피압대수층이 존재한다는 것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연약지반에 작용하는 피압은 압밀 속도, 압밀 침하량, 연직배수재의 성능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압의 작용 유 · 무에 따른 연직배수재가 부분 관입된 점토지반의 압밀 거동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일차원 대형 컬럼 장비를 이용한 실내실험과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피압이 작용하는 점토지반의 압밀 침하가 피압이 작용하지 않는 점토지반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과잉간극수압의 소산 속도는 더디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지반 조건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한 결과 실내 실험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Many researchers reported that artesian pressure exists in thick soft ground of Busan Nakdong river estuary. Artesian pressure in soft ground could affect rate of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drainage capasity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PVD). This paper investigated consolidation behaviors of soft ground with partially penetrated PVD subjected to artesian pressure. Laboratory tests with 1-dimensional large column equipment and their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of clay ground with artesian pressure was higher than that without artesian pressure. Due to artesian pressure, the dissipation rate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was reduced in soft ground with artesian pressure, especially at bottom part of clay ground. Numerical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test results.

      • KCI등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갤러리 썸네일(Thumbnail)에 대한 포렌식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윤대호 ( Daeho Yun ),이상진 ( Sang Ji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6 No.1

        썸네일(thumbnail)은 JPEG, GIF 등 그래픽 파일의 축소판이며 그래픽 파일을 탐색하면서 알아보기 쉽도록 만들어주어 대용량 그래픽 파일이 빠른 속도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4.4.x(Kitkat) 이후 버전에서 설치되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은 썸네일의 metadata에 그래픽 파일의 생성시각을 기록한다. 이것을 기존 원본 그래픽 파일과 함께 병행하여 분석하면 생성, 수정, 삭제 등의 사용자 행위에 대한 타임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이 썸캐시라는 단일 파일 안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특징을 활용하면 썸캐시가 삭제된다고 하더라도 썸네일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기본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썸네일의 특성을 분석하고 삭제된 썸네일을 복원하는 방법과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Thumbnail, the small sized graphic file such as JPEG or GIF, serves to help the users to be recognized as a rapidly helps to make it easier recognize while browsing the large sized graphic file. Gallery application, which is installed in a later version of the 4.4.x(Kitkat) Android smartphone records the generated time of graphic file in thumbnail metadata. Thumbnail can be used to draw up the timeline of user action about user`s action such as creation, modification, deletion with original graphic file analysis. Also, take advantage of the features thumbnails are stored sequentially in a single thumbcache file, even if the thumbcache is deleted, we can restore the thumbnails. This paper illustrates the feature of thumbnail created by Android OS basic gallery app and methods for utilization in digital foren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