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5개월의 흔적자궁 파열 1례

        윤대영(DY Yun),문시영(SY Moon),김상갑(SK Kim),박정근(J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2

        부산 성분도병원 산부인과에서 경험한 18세의 미산부에 발생한 18주의 흔적자궁임신 례를 보고하며 간단한 문헌고찰을 하였다. A case of rupture of rudimentary uterine horn with 18 weeks gestation which was diagnosed as a intra-abdominal pregnancy is presented and some articles are reviewed briefly.

      • KCI등재

        원발성 난관암 1례

        이광재(KJ Lee),윤대영(DY Yun),문시영(SY Moon),황상의(SU Hw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1

        저자들은 1979년 5월 부산 성분도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후 병리학적으로 확인된 원발성 난관암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is very rare female genital cancers. A case of primary papillary alveolar type carcinoma of the left fallopian tube was found postoperatively in 46 years old premenopausal women with nulliparity.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is added.

      • KCI등재

        제왕절개술의 임상적 고찰

        이양희(YH Lee),윤대영(DY Yun),이광재(KJ Lee),김철(C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2

        저자는 만 6년간 부산성분도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였던 산모 8264예 중 제왕절개술을 시 행하였던 865예에 대한 임상 통계학적 관찰을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절의 빈도는 총 분만산모의 10.5%이엇고, 매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2. 연령별 분포는 26-30세군이 전체의 53.9%로 가장 많앗고 21-25세군이 22.4% 31-35세군 이 16.7%의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평균 연령은 28.4세이었다. 3. 임신주수별 분포에서 임신 39-40주군이 50.5%로 가장 많앗고 임신 39-42주 사이에서 77.4%로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4. 일차제절의 적응증은 아두골반 불균형이 전체의 40.3%로서 가장 높은 빈도이었고, 다음 이 골반위, 태아절박증, 전치태반 및 자궁수축부전의 순위이었다. 미경산부와 경산부로 분류하여 관찰하였을 때, 미경산부의 제절 적응증의 빈도 순위는 일차 제절과 유사하였으나 경산부에서는 전치태반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다음이 골반위, 아 두골반 불균형 및 태반조기 박리 등의 순위로 나타냈다. 반복제절의 적응증은 선택적 반복 제절이 70.6%로 가장 많앗고 다음이 아두골반 불균형, 골반위 및 임신중독증 등을 동반하엿 던 경우의 순위로 나타났다. 5. 제절술식의 자궁협부 횡절개술이 89.7%로 거의 대부분의 경우 시행되었고, 자궁체부 종 절개술은 8.7%이었다.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은 14예(1.6%)에서 시행되었고, 이의 적응증은 태 반유착이 4예(28.6%)로 가장 많앗고 그외 자궁파열 전치태반, 자궁이완증등이 있었다. Clin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retrospectively , based on the charts of 865 cases of cesarean section out of 8264 delivery from January 1974 to December 1979 at the St. Benedict Hospital Busan. Korea.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8264 delivery with 865 cases of cesarean section giving an incidence of 10.5%. the primary cesarean section rate was 7.2% and repeat cesarean section rate was 3.3%. 2. According to the age distribution 53.9% of the total cases were between 26-30 year-old group, 22.4% between 21-25 year-old group and 16.7% between 31-35 year old group. The mean age was 28.4 year old. 3. The greatest portion (50.5%) of the cases was done between 39-40 gestational weeks group and 77.4% of the cases was done between 39-42 weeks. 4. Incidence of primary cesarean section were C.P.D (40.3%) breech presentation (18.9%) fetal distress (9.6%) placenata previa (9.1%) and miscellaneous. In nullipara, indication were similar to above in order. But in multipara, placenta previa was the heightest incidence 27.2% and than breech presentation C.P.D abruptioplacenta and miscellaneous in order. 5. In the types of operation, lower cervical transverse incision was the most common (89.7%) classic type was 8.7% in rate and cesarean hysterectomy was 1.6% in rate.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placenta accre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