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한국 성인의 식생활평가지수 개발

        육성민(Yook, Sung-Min),박소희(Park, Sohee),문현경(Moon, Hyun-Kyung),김기랑(Kim, Kirang),심재은(Shim, Jae Eun),황지윤(Hwang, Ji-Yun)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5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집단의 식생활지침 실천과 식생활의 질과 수준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식생활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문헌고찰 및 국가의 영양정책과 식생활지침,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후보항목을 도출하여 건강결과 변수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평균섭취량을 비교하고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량을 5분위수로 나누어 분위수별 교차비와 교차비의 경향성을 검정하였다. 후보항목의 통계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근거로 식사의 충분도 영역 9개 항목, 식사의 절제 영역 5개 항목등 총 14개의 지수 구성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식생활지침과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근거로 점수화 기준을 마련하고 각 항목별로 5~10점을 배정하여 총 점수가 100점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한국인 식생활평가지수는 식사의 충분도 영역 9항목 (총 과일류, 생과일류, 총 채소류, 김치와 장아찌 제외 채소류, 우유·유제품, 총 단백질 식품, 흰 고기 : 붉은 고기 섭취비율, 전곡류, 아침식사 빈도)과 식사의 절제 영역 5가지 항목 (나트륨, 고열량·저영양 식품 에너지비, 지방에너지비, 도정곡류, 탄수화물 에너지비)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인 식생활평가지수는 식생활지침과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기반으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인 대상 인구집단의 식사의 질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향후 타당도 확인과 국가의 식생활지침 개정과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등에 따라 필요시 개정과 보완을 통해 국가의 영양정책 도출 및 사업 결과의 평가 및 활용에 사용될 수 있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for assessing adherence to national dietary guidelines and comprehensive diet quality of healthy Korean adults using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Methods: The candidate components of KHEI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0 KDRI), and objectives of HP 2020. The associations between candidate components and risk of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were assessed using the 5th KNHANES data. The expert review process was also performed. Results: Diets that meet the food group recommendations per each energy level receive maximum scores for the 9 adequacy components of the index. Scores for amounts between zero and the standard are prorated linearly. For the three moderation components among the total of five, population probability densities were examined when setting the standards for minimum and maximum scores. Maximum scores for the total of 14 components are 100 points and each component has maximum scores of 5 (fruit intakes excluding juice, fruit intake including juice, vegetable intakes excluding Kimchi and pickles, vegetable intake including Kimchi or pickles, ratio of white meat to read meat, whole grains intake, refined grains intake, and percentages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 or 10 points (protein foods intake, milk and dairy food intake, having breakfast, sodium intake, percentages of energy intake from empty calorie foods, and percentages of energy intake from fat). The KHEI is a measure of diet quality as specified by the key diet recommendations of the dietary guidelines and 2010 KDRIs. Conclusion: The KHEI will be used as a tool for monitoring diet quality of the Korean population and subpopulations, evaluation of nutrition interventions and research.

      • 변속기 다부품 유연 압입 공법 개발

        정성훈(Sung Hoon Jeong),김광희(Kwang-Hee Kim),육성민(Sung Min Yook),이희범(Heui Bom Lee),도성섭(Sung Sup D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09 No.11

        In this paper, a press-fit machine using a robot with servo press is proposed to change an existing press-fit machine for flexible manufacturing line. The existing machine carries out a process at a station but the new developed machine can conduct two processes and is more flexible by using a Robot because positions where parts are pressed can be freely changed. To develop this machine, centering device is used for correcting centers of the parts. The centering device has a function of locking to prevent the oscillation of the parts during moving. The locking function can prevent the extension of cycle time. Also, frame for supporting tons of repulsive force during pressing-fit is used. The frame is a plate made of steel and contact with the bracket of servo press and transfer the repulsive force to base plate fixed at floor. As a test result, the quality of press fit with bearing race and dowel pin is very good. The flexible press fit machine can be applied to parts such as plug, steel ball in engine assembly line..

      • SCOPUSKCI등재

        성인 대상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실천 및 순응도 평가 항목 개발

        김민아(Min-Ah Kim),육성민(Sung-Min Yook),오지은(Jieun Oh),임지민(Jimin Lim),서혜지(Hye Ji Seo),임영숙(Young-Suk Lim),오지수(Ji Soo Oh),김혜영(Hye-Young Kim),황지윤(Ji-Yun Hwang) 한국영양학회 202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7 No.2

        본 연구에서 개정된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기반으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식생활 습관, 환경을 고려한 식생활 문화를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하였다. 예비 문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외 평가도구 및 최신 문헌을 조사하여 항목을 조사하였고, 전문가 11명 대상 타당도 평가를 통해 70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후보 항목 평가를 위해 서울·수도권 지역 중심으로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조사를 시행하였고, 하루 총 에너지 섭취가 500 kcal 미만 또는 5,000 kcal 이상으로 섭취한 대상자 2명을 제외한 330명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렴타당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 선정된 문항은 총 34개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영역 11개, 식생활 습관 영역 9개, 식생활 문화 영역 14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항목은 2021년 개정된 식생활지침을 기반으로 영역별로 성인의 전반적인 식사의 질과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동시에 평가하는 데 용이하다는 점에서 건강한 식생활 개선을 위한 평가 도구로써 활용이 기대된다. Purpose: With the 2021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in Korean emphasiz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ietary practic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degree of practice and compliance with food and nutrient intake, dietary habits, and dietary culture guidelines based on the revised dietary guidelines. Methods: The candidate evaluation items were collected by reviewing 934 literature reviews on domestic and foreign dietary evaluations. Fifty-nine candidate items were derived by selecting the items corresponding to dietary guidelines.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cutoff point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11 experts to delete 11 items that did not meet the CVR standard. Fifty-five pilot survey candidate items were selected through revision and additional process according to expert opinion. Seventy final candidate items were selected by adding 15 questions for validity verification and reference.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on 332 adults aged 19–64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Kaiser–Meyer–Olkin, Bartletts sphericity test, variance explained, and Cronbachs alpha criteria were confirmed in each process.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derived three criteria: food and nutrient intakes (11 items), eating behaviors (9 items), and dietary culture (14 items), consisting of 34 evaluation items. Conclusion: The present scale was validated and can be used for comprehensive evaluations of the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in a simpl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