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레다비드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공간 생산요소의 특성 연구 -앙리르페브르의 공간론을 중심으로-

        유혜승 ( You Hyeseung ),윤재은 ( Yoon Jea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기능과 용도를 잃어 노후화되고 방치된 도시의 유휴공간들은 사회의 자본만을 추구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이러한 사회적 모순을 무차별적 개입을 통한 개발이 아닌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며 공간에 에너지를 부여하고 생산 가능성이 있는 방안으로 공간재생 문제에 대하여 해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계속 생산될 사회적 모순에 대해 대응하려면 사회적 모순이 극대화된 해외 건축 사례를 고찰하고 공간에 나타나는 사회 현상을 앙리 르페브르‘공간의 생산’관점으로 분석하여 사회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공간의 현상을 알아보고 현대 도시 공간의 재생 및 활성화 방법에 대해 이론적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공간에 대한 사회적 이론을 연구하고 토레다비드 안의 비어있는 공간에 사용자들의 참여가 이루어 지면서 형성된 각 공간의 사회성을 도출해낸다. 두 번째로, 공간생산론을 기반으로 공간 건축술에서 나타나는 요소와 특성을 연구하여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토레다비드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성과 공간생산 요소의 도출을 통한 종합적 분석으로 공간에 나타나는 인간의 사회적 역할로 인한 재생 및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한다. (결과) 토레다비드의 각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성의 요소와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사회참여가 일어나지 않는 공간은 비어있는 공간 자체이며 사용 주체가 없으며 가치를 구현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든 공간에는 사용자 활동으로 인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생산되며 공간에 사회성이 많이 나타날수록 공동체적 응집력을 나타내며 공간을 활성화하려면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와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공간에 대한 유연성과 접근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모든 공간에는 물리적, 정신적, 사람의 실천을 통한 지각적인 요소가 나타나며 물리적 요소와 정신적 요소가 극적으로 나타날 때 비로소 새로운 공간 또는 변화된 공간이 창출될 수 있다. 즉, 공간에 사회적인 개입이 생기면서 공간에 대한 이접성, 모순성이 생기며 모순성에 대한 탈피를 위하여 사용자들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려는 가능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공간은 사용자의 행동이 중첩되어 중심적인 장소가 될 수 있고 비어있는 형태를 취한 공간에 새로운 에너지를 부여하는 공간이 생산된다. (결론) 유휴공간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려면 무차별적인 개입이 아닌 사회적 개입이 선행되어, 사회적 참여와 실천이 결합 된다면 생산적이고 사회적인 요소로서 공동체적 가치를 통한 소통과 응집력으로 사회의 문제를 공간으로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at idle spaces in cities that are now obsolete and neglected due to loss of function and use are spaces formed by seeking only social capital, and that these social contradictions should be addressed by responding to social problems, not by indiscriminate intervention, and by giving energy to the space and solving the problem of space regeneration in ways that are possible for produc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social contradictions that will continue to be produced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ocial phenomena that appear in space in the context of Henri Lefebvre 'La production de l’espace' and present theoretical methodologies on how to regenerate and revitalize modern urban spaces. (Method) First, study the social theory of space and derive the sociality of each space formed by social participation in the empty space in Torredavid. Secondly, based on the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architecture are studied and derived. Finally, a comprehensive analysis through deriving sociality and spatial production elements appearing in the space of Torredavid suggests a plan for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due to human social role appearing in the space. (Results) According to an analysis based on the social factors that appear in each space of Torredavid and Lefebvre theory of space production, the first is that the space where social participation does not occur is empty space itself, and there is no subject of use and does not realize value. Therefore, every space is produced with a sense of purpose due to user activity, and the more social it appears in the space, the more community cohesion it represents, and in order to activate the space, it must have the us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flexibility and accessibility to meet the user's needs. Second, all spaces are presented with perceptual elements through physical, mental, and human practice, and only when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appear dramatically can new or changed spaces be created. Thus, social intervention in space creates inconsistency, and the possibility of users producing a new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inconsistency. Finally, the new space is a space where the user's behavior overlaps to become a central location and gives new energy to the empty space. (Conclusions) In conclus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social problems of idle spaces, social intervention, not indiscriminate intervention, can be preceded, and if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are combined, social problems can be solved as space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hesion through community values as a productive and social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