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워킹 맘을 위한 키즈카페 협동조합 브랜드 개발 -마케팅 분석을 통한 브랜드, 그래픽, 공간 통합 디자인을 중심으로 -

        양시영 ( Yang Si-young ),유혜리 ( Yu Hye-lee ),이하은 ( Lee Ha-eun ),이형은 ( Lee Hyoung-eun ),조예린 ( Jo Ye-lin ),이진민 ( Rhie Jin-min ),장미정 ( Jang Mi-jeong ),전찬희 ( Jeon Chan-hee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연구 목적은 사회적 문제를 발견하여 그래픽 아이덴티티, 제품 아이덴티티, 공간 아이덴티티가 통합적으로 구축된 협동조합 브랜드를 개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 대상 및 범위는 2016년 3월~6월 15주 동안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의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 교과목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物, 事, 人, 場 4개 테마 중 場(장소)으로 한정한다. 연구 결과, 워킹맘의 시간 부족에 따른 아이와 엄마의 휴식 및 놀이 공간 부족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도출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키즈카페 협동조합`을 주제로 선정하여 각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마케팅 분석 방법과 브레인스토밍 방법을 이용하여 그래픽, 제품, 공간의 통합 브랜드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마케팅을 기반 한 협동조합의 통합 브랜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ocial issues and present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developing a cooperative brand in which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tial identity are integrated.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research will be the < Brand Space Marketing > cours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from March to June, 2016. In addition, thisstudy is limited to the place (場) of four themes of things (物), work (事),people (人), and places (場). As a result of the study, we discovered the social dilemma of the lack of rest and play space of the child and mother dueto the mother`s working hours, and presented each process through the topic of` kids cafe cooperative`, to solve this problem. Fi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it has built an integrated brand of graphic, product, and space using various marketing analysis methods and brainstorming method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ooperative brand based on future marketing.

      • "Absolt Vodka" 플래그쉽 스토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증류 장치 컨셉 디자인 중심으로-

        변승희 ( Seung Hui Byoen ),신윤화 ( Yun Hwa Shin ),유혜리 ( Hye Lee Yu ),이진민 ( Jin Min Rhie ),이옥재 ( Ok Jae Lee ),정승영 ( Seung Young Ju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주류 브랜드 Absolut Vodka (앱솔루트 보트카)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에 대한 기본 계획안을 위한 연구이다. 브랜드 스페이스는 브랜드의 가치와 속성에 따라 단계별 공간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한다. 앱솔루트 보드카의 경우 국내의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의 규모를 고려하였을 경우 감성이나 경험을 기초로 한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는 전략적 공간이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앱솔루트 보드카의 유통경로는 대형마트나 주류 백화점을 통해 유통되어 브랜드 이미지가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을 개선하고 브랜드이미지 재고를 위하여 앱솔루트보드카는 브랜드의 홍보와 체험이 가능한 플래그쉽스토어가 필요하다고 분석하였으며 기획/디자인하였다. 수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디자인 진행과정은 교수의 제안과 학생의 피드백의 단계적 교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작업과정과 결과물을 통해 플래그쉽스토어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과 기본 구조를 이해하도록 한다. This study is for the basic plan of the liquor br and ``Absolut Vodka`` brand flagship store. The design strategies of brand value and properties is indis pensable for brand store design. In the case of Absolut vodka brand, Considering for its awareness and domestic size of the mark et, the element of emotional display and consumer experience is essential point for the stores. Nevertheless, the domestic distribution channels of the Absolut Vodka and liquor stores in the distribution make the brand image become getting worse. This design project is for this situation of Absolut vodka, B rand market. Above all, design team made a decision that Absolut Vodka needs flagship store in korean market as the analysis for development of bran d image. the process made through the design of the class of professor and student`s feedback is consists of the transaction step-by-step. This paper presents the work of the brand design basis on emotion an d the consumer`s experience.

      • 화호미곡창고 재생 프로젝트 -"법고창신(法古創新)"을 통해 옛에서 새로움을 찾다-

        송민경(주저자) ( Min Kyung Song ),심민주(주저자) ( Min Joo Shim ),유혜리(주저자) ( Hye Lee Yu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프로젝트는 버려진 공간의 재생이라는 큰 주제를 가지고 정읍시 화호리에 위치한 미곡창고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옛 것을 버리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옛 것 속에서 새로움을 찾는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화호창의 기존의 천장, 벽체, 창문, 우물, 측구를 중심으로 옛 모습에서 새로운 디자인 방향성을 발견하여 새로운 식음문화공간의 모습을 제시한다. 또한 본 프로젝트는 버려진 공간의 역사성과 시간성에 주목하여 공간의 가치를 더하려고 한다. 본 프로젝트는 옛 공간과 새로운 디자인의 융합이라는 의미와 함께 창고로서의 기능도 잃지 않으면서 곡물창고와 어울리는 식음문화 공간을 연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Under a broad theme of ‘recycling the deserted space,’ this project suggested the designing direction for refurbishing a rice warehouse located in Hwaho-ri, Jeongeup City, and the goal of this project is to create the new based on the old instead of replacing the old with the new. The project found out a new designing direction from the old shapes of the ceiling, walls, window frames, well and side-entrance frames of the rice warehouse in Hwaho-ri and recreate the old rice warehouse into a new dining space. Also, this project intended to add values to the space by placing the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ity and temporality of the abandoned space. This project is meaningful in that is a product of the fusion of the old space with a new design, and that it created a new culinary space well-matched to its original purpose by preserving its function as a ware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