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황 인지 기반 서비스 지향 적응형 시스템 개발 프레임워크

        유찬우(Chanwoo Yoo),심재근(Jaekeun Shim),한종대(Jongdae Han),박영기(Youngki Park),정우성(Woosung Jung),김희천(Heechern Kim),이병정(Byungjeong Lee),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10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서비스 지향 적응형 시스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서비스 지향 적응형 시스템의 개발 단계에 있어, 개발자들은 상황이나 서비스 탐색과 관련한 문제들에 부딪히게 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들이 개별적으로 수행되어 왔지만, SOA를 적응형 시스템에 도입하여 통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지향 적응형 시스템 개발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먼저 프레임워크의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각 프로세스 요소 별로 지원 방법과 산출물을 설명한다. 그리고 시스템의 개발 단계에서 구체적인 서비스의 사례를 통해 본 프레임워크의 프로세스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As Ubiquitous era comes, the importance of service-oriented adaptive software increases. However, there are many issues in development phases of service-oriented adaptive software, like contexts and service search. 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es which manage these issues separately, still we need more integrated and mature framework for solving these issues. So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grated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service-oriented adaptive software. Our framework defines processes and work products for development. We also perform a case study which our framework is applied to.

      • 솔루션간 차이에 기반한 적응형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분리

        유찬우(Chanwoo Yoo),정우성(Woosung Jung),이병정(Byungjeong Lee),김희천(Heechern Kim),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적응형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은 환경의 다양함에 대응하기 위해 솔루션이 복잡해짐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여 솔루션을 환경 별로 분리한다 해도, 소프트웨어에 변경이 일어나면 분리된 솔루션 모두에 반영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 비용이 실로 적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솔루션 사이의 차이를 룰로 정의함으로써 기반 솔루션으로부터 다른 솔루션들을 자동으로 생성해내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동질적 메타프로그래밍 도구 개발을 위한 설계 방법

        유찬우(Chanwoo Yoo),박찬진(Chanjin Park),김희천(Heechern Kim),이형원(Hyungwon Lee),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3

        영역 특화 언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내부 영역 특화 언어를 작성할 수 있게 해 주는 메타프로그래밍 기능 역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연구들이 이질적 메타프로그래밍 도구를 제시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연구는 동질적 메타프로그래밍 도구의 설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메타프로그래밍 도구의 구현 시 파서 작성의 필요를 없앴으며, 프로그래머가 새로운 문법을 익히지 않고 기존에 사용하던 언어로 메타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 방식을 통해 기존 언어의 자산을 포기하지 않고도 기존 언어가 결여한 메타프로그래밍 기능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etaprogramming is drawing more attention with Domain Specific Languages(DSLs)' growing importance because internal DSLs can be easily written through metaprogramming. We present a design method for developing homogeneous metaprogramming tools for existing languages while previous related work focused on heterogeneous metaprogramming techniques. Our approach does not require programmers to implement a new parser and to learn a new syntax in metaprogramming. We expect that our approach will compensate for a lack of metaprogramming facilities of existing language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우울 및 불안이 음주동기 및 흡연동기에 미치는 영향

        유찬우(Yoo, Chanwoo),김근향(Kim, Keunhya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우울 및 불안과 음주 및 흡연 동기의 관계에서 반추와 걱정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4개의 일반계 고등학교를 재학중인 남녀 고등학생 70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Cooper(1994)의 음주동기척도, Smith et al.(2010)의 흡연동기척도, Kovacs(1985)의 소아우울척도, Reynolds와 Richmond(1978)의 소아불안척도, Nolen-Hoeksema와 Morrow(1991)의 반추반응척도와 Meyer, Miller, Metzger and Borkovec(1990)의 걱정질문지를 시행하였다. 자료를 경로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우울과 음주동기와의 관계에서 반추의 완전매개효과가 존재하였고, 불안과 음주동기와의 관계에서 반추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우울이 흡연동기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불안과 음주동기 및 흡연동기와의 관계에서 걱정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음주 및 흡연문제와 정신건강 문제를 다룰시 반추와 함께 동기에 대한 인식 및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예방적 개입과 정책에 대해 논의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and wor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drinking motivations, and smoking motiva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706 students and they were asked to fill out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Drinking Motives Questionnaire?Revised, the Brief?Wisconsin Inventory of Smoking Dependence Motives, the Child Depression Inventory,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the Rumination Response Scale, and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for Children. Firstly, s a result of path analysis, the full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motivations was found. Secondly, the full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rinking motivations was also found.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and a number of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특이값 분해 시의 코사인 유사도 변화에 대한 추정

        유찬우(Chanwoo Yoo)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Many machine learning models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use nearest neighbor methods to generate recommendation candidates. In this case, the dimension of users or items is usually very large, it is hard to use user and item vectors as they are, so it needs to generate embeddings of which the dimension reduced. When dimensionality reduction is done by matrix factorization methods lik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there is loss in cosine similarity between data points. The loss may results in inaccurate recommendation candidates because relatively farther neighbor may be regarded as closer one. In this paper, I defined a metric that measures the degree of preservation of relative rankings of cosine similarity as relative ranking precision. I also proposed a formula to estimate relative ranking precision with singular values.

      • 상태 유도 조합을 이용한 규칙 기반의 적응형 서비스 프레임워크

        정우성(Woosung Jung),유찬우(Chanwoo Yoo),박동훈(Donghun Park),이병정(Byoungjeong Lee),김희천(Heechern Kim),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C

        적응형 소프트웨어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 분야로 홈 네트워크, 지능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적응형 소프트웨어의 요구사항이나 시나리오의 구체화를 위한 비전을 제시하거나, 응용 구현의 사례를 보임으로써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인 재구성이 가능한 규칙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진화가 가능하며, 상태에 기반하여 행위를 판단하는 RASC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기존 서비스 조합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 중개자를 이용하였으며, 변이와 교차와 같은 유전 알고리즘 연산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RASC 도메인을 정의하였다. RASC 프레임워크는 블랙보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규칙을 공유하며, 서비스와 서비스 조합체 모두 자극-반응 모델을 따르고 자기유사성을 가지는 일종의 복잡계를 구성한다.

      • ISO 인증 조직의 CMMI 도입을 위한 ISO 9001 : 2000-CMMI 통합모델

        현승훈(Seunghoon Hyun),윤준호(Junho Yoon),이진영(Jinyoung Lee),이종원(Chongwon Lee),유찬우(Chanwoo Yoo),우치수(Chisu Wu),이병정(Byungj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ISO family와 CMMI는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표준과 지침을 제공한다. ISO 9001은 품질경영 시스템에 관한 표준인 반면 CMMI는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모델이다. ISO 인증 조직은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을 위하여 CMMI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용어나 적용 범위 및 내용의 상세함 등의 차이로 인해 ISO 인증 조직이 CMMI를 도입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른다. 이 논문에서는 ISO 인증 조직이 효과적으로 CMMI를 도입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ISO 9001 : 2000의 요구사항과 CMMI 실행지침 사이의 관계를 기준에 따라 일대일 관계로 대응시킨다. 그런 후 CMMI 실행지침들을 ISO 9001 : 2000 용어와 형식으로 바꾸어 ISO 9001 : 2000 요구사항과 통합한 모델을 만든다. 이러한 모델은 ISO 조직에게 기존 자선과 새롭게 도입해야 할 사항을 통합 모델을 가지고 차이 분석(Gap Analysis)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